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산업 생산, 10개월째 ‘증가세’
입력 2010.05.31 (22:07) 수정 2010.05.31 (22:18) 뉴스 9
<앵커 멘트>
산업 생산 증가세가 열달째 이어지면서 경기회복 기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반기부터 성장세가 둔화 될 거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김승조 기자입니다.
<리포트>
뽑은 치아를 가공 처리해 임플란트용 치아를 만들어 주는 회삽니다.
치아를 장기보관해 주는 서비스도 시작하면서 매출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환((주)한국치아은행 대표) : "경기가 좋아지니까 건강에 신경 쓰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매출이 매월 100%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경기 회복 흐름은 통계로도 확인됩니다.
지난달 광공업생산은 1년 전보다 19.9%가 늘어나면서 10개월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서비스업 생산도 6개월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82.2%로 높은 수준을 이어갔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도 14개월째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는 넉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면서 하반기 성장 둔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소매판매와 설비투자, 건설 부문은 한 달 전보다 모두 감소했습니다.
특히 남유럽 국가의 재정위기와 천안함 사태에 따른 지정학적 불안 상황이 지속될 경우 경기 상승 둔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승조입니다.
산업 생산 증가세가 열달째 이어지면서 경기회복 기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반기부터 성장세가 둔화 될 거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김승조 기자입니다.
<리포트>
뽑은 치아를 가공 처리해 임플란트용 치아를 만들어 주는 회삽니다.
치아를 장기보관해 주는 서비스도 시작하면서 매출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환((주)한국치아은행 대표) : "경기가 좋아지니까 건강에 신경 쓰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매출이 매월 100%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경기 회복 흐름은 통계로도 확인됩니다.
지난달 광공업생산은 1년 전보다 19.9%가 늘어나면서 10개월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서비스업 생산도 6개월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82.2%로 높은 수준을 이어갔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도 14개월째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는 넉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면서 하반기 성장 둔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소매판매와 설비투자, 건설 부문은 한 달 전보다 모두 감소했습니다.
특히 남유럽 국가의 재정위기와 천안함 사태에 따른 지정학적 불안 상황이 지속될 경우 경기 상승 둔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승조입니다.
- 산업 생산, 10개월째 ‘증가세’
-
- 입력 2010-05-31 22:07:41
- 수정2010-05-31 22:18:45

<앵커 멘트>
산업 생산 증가세가 열달째 이어지면서 경기회복 기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반기부터 성장세가 둔화 될 거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김승조 기자입니다.
<리포트>
뽑은 치아를 가공 처리해 임플란트용 치아를 만들어 주는 회삽니다.
치아를 장기보관해 주는 서비스도 시작하면서 매출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환((주)한국치아은행 대표) : "경기가 좋아지니까 건강에 신경 쓰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매출이 매월 100%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경기 회복 흐름은 통계로도 확인됩니다.
지난달 광공업생산은 1년 전보다 19.9%가 늘어나면서 10개월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서비스업 생산도 6개월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82.2%로 높은 수준을 이어갔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도 14개월째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는 넉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면서 하반기 성장 둔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소매판매와 설비투자, 건설 부문은 한 달 전보다 모두 감소했습니다.
특히 남유럽 국가의 재정위기와 천안함 사태에 따른 지정학적 불안 상황이 지속될 경우 경기 상승 둔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승조입니다.
산업 생산 증가세가 열달째 이어지면서 경기회복 기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반기부터 성장세가 둔화 될 거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김승조 기자입니다.
<리포트>
뽑은 치아를 가공 처리해 임플란트용 치아를 만들어 주는 회삽니다.
치아를 장기보관해 주는 서비스도 시작하면서 매출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정환((주)한국치아은행 대표) : "경기가 좋아지니까 건강에 신경 쓰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매출이 매월 100%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경기 회복 흐름은 통계로도 확인됩니다.
지난달 광공업생산은 1년 전보다 19.9%가 늘어나면서 10개월째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서비스업 생산도 6개월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도 82.2%로 높은 수준을 이어갔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도 14개월째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는 넉 달 연속 하락세를 보이면서 하반기 성장 둔화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달 소매판매와 설비투자, 건설 부문은 한 달 전보다 모두 감소했습니다.
특히 남유럽 국가의 재정위기와 천안함 사태에 따른 지정학적 불안 상황이 지속될 경우 경기 상승 둔화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승조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