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쓴소리 들은 대기업, 대책 마련 ‘전전긍긍’
입력 2010.07.29 (22:03) 뉴스 9
<앵커 멘트>
전경련에 앞서 쓴소리를 들었던, 대기업들은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부랴부랴 대책을 쏟아냈습니다.
김도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가장 먼저 움직인 곳은 금융권입니다.
하나캐피탈은 연 36%였던 개인신용대출 최고 금리를 7% 포인트나 낮췄습니다.
캐피탈사의 지나친 고금리를 대통령이 질타한지 나흘 만입니다.
다른 캐피탈업체들도 인하를 검토중이고 은행과 2금융권은 서민대출상품을 일제히 내놓고 있습니다.
<인터뷰>캐피탈 업체 관계자:"캐피탈 업계 전반에서 인하를 검토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기업들도 가시적 성과를 내놔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 대책 마련에 부심중입니다.
현대기아차는 협력사 상생 협의체의 참석 대상을 1차 협력사에서 2차 협력사까지 확대해 1차-2차 협력사 간 '상생 협의체'를 구성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감사팀이 나서 800여 개 협력업체와 본사의 협력 실태를 긴급 진단하고 있습니다.
LG도 이번 주 그룹 협력업체 담당 간부들이 모여 점검에 나설 계획입니다.
가장 고민이 깊은 쪽은 유통업계입니다.
기업형 수퍼마켓, 즉 SSM 사업이 중소기업 영역 침범하는 사례로 지적되면서 대형 유통기업들은 비상이 걸린 상태입니다.
일부에선 "더 이상 뭘 어떻게 하라는 얘기냐"라는 하소연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정부의 압박이 강해질수록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대기업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엽입니다.
전경련에 앞서 쓴소리를 들었던, 대기업들은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부랴부랴 대책을 쏟아냈습니다.
김도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가장 먼저 움직인 곳은 금융권입니다.
하나캐피탈은 연 36%였던 개인신용대출 최고 금리를 7% 포인트나 낮췄습니다.
캐피탈사의 지나친 고금리를 대통령이 질타한지 나흘 만입니다.
다른 캐피탈업체들도 인하를 검토중이고 은행과 2금융권은 서민대출상품을 일제히 내놓고 있습니다.
<인터뷰>캐피탈 업체 관계자:"캐피탈 업계 전반에서 인하를 검토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기업들도 가시적 성과를 내놔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 대책 마련에 부심중입니다.
현대기아차는 협력사 상생 협의체의 참석 대상을 1차 협력사에서 2차 협력사까지 확대해 1차-2차 협력사 간 '상생 협의체'를 구성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감사팀이 나서 800여 개 협력업체와 본사의 협력 실태를 긴급 진단하고 있습니다.
LG도 이번 주 그룹 협력업체 담당 간부들이 모여 점검에 나설 계획입니다.
가장 고민이 깊은 쪽은 유통업계입니다.
기업형 수퍼마켓, 즉 SSM 사업이 중소기업 영역 침범하는 사례로 지적되면서 대형 유통기업들은 비상이 걸린 상태입니다.
일부에선 "더 이상 뭘 어떻게 하라는 얘기냐"라는 하소연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정부의 압박이 강해질수록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대기업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엽입니다.
- 쓴소리 들은 대기업, 대책 마련 ‘전전긍긍’
-
- 입력 2010-07-29 22:03:26

<앵커 멘트>
전경련에 앞서 쓴소리를 들었던, 대기업들은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부랴부랴 대책을 쏟아냈습니다.
김도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가장 먼저 움직인 곳은 금융권입니다.
하나캐피탈은 연 36%였던 개인신용대출 최고 금리를 7% 포인트나 낮췄습니다.
캐피탈사의 지나친 고금리를 대통령이 질타한지 나흘 만입니다.
다른 캐피탈업체들도 인하를 검토중이고 은행과 2금융권은 서민대출상품을 일제히 내놓고 있습니다.
<인터뷰>캐피탈 업체 관계자:"캐피탈 업계 전반에서 인하를 검토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기업들도 가시적 성과를 내놔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 대책 마련에 부심중입니다.
현대기아차는 협력사 상생 협의체의 참석 대상을 1차 협력사에서 2차 협력사까지 확대해 1차-2차 협력사 간 '상생 협의체'를 구성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감사팀이 나서 800여 개 협력업체와 본사의 협력 실태를 긴급 진단하고 있습니다.
LG도 이번 주 그룹 협력업체 담당 간부들이 모여 점검에 나설 계획입니다.
가장 고민이 깊은 쪽은 유통업계입니다.
기업형 수퍼마켓, 즉 SSM 사업이 중소기업 영역 침범하는 사례로 지적되면서 대형 유통기업들은 비상이 걸린 상태입니다.
일부에선 "더 이상 뭘 어떻게 하라는 얘기냐"라는 하소연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정부의 압박이 강해질수록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대기업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엽입니다.
전경련에 앞서 쓴소리를 들었던, 대기업들은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부랴부랴 대책을 쏟아냈습니다.
김도엽 기자입니다.
<리포트>
가장 먼저 움직인 곳은 금융권입니다.
하나캐피탈은 연 36%였던 개인신용대출 최고 금리를 7% 포인트나 낮췄습니다.
캐피탈사의 지나친 고금리를 대통령이 질타한지 나흘 만입니다.
다른 캐피탈업체들도 인하를 검토중이고 은행과 2금융권은 서민대출상품을 일제히 내놓고 있습니다.
<인터뷰>캐피탈 업체 관계자:"캐피탈 업계 전반에서 인하를 검토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기업들도 가시적 성과를 내놔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 대책 마련에 부심중입니다.
현대기아차는 협력사 상생 협의체의 참석 대상을 1차 협력사에서 2차 협력사까지 확대해 1차-2차 협력사 간 '상생 협의체'를 구성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감사팀이 나서 800여 개 협력업체와 본사의 협력 실태를 긴급 진단하고 있습니다.
LG도 이번 주 그룹 협력업체 담당 간부들이 모여 점검에 나설 계획입니다.
가장 고민이 깊은 쪽은 유통업계입니다.
기업형 수퍼마켓, 즉 SSM 사업이 중소기업 영역 침범하는 사례로 지적되면서 대형 유통기업들은 비상이 걸린 상태입니다.
일부에선 "더 이상 뭘 어떻게 하라는 얘기냐"라는 하소연까지 나올 정도입니다.
정부의 압박이 강해질수록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대기업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도엽 기자 yop21@kbs.co.kr
김도엽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