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경제] 설 물가 비상

입력 2011.02.01 (07:4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설은 다가오고 있는데 물가는 치솟아 서민들의 한숨이 커지고 있습니다.

실태와 함께 대책은 없는지 알아봅니다.

경제부 이해연기자 나와 있습니다.

주부들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 어느 정도입니까?

<리포트>

네, 한결같이 월급은 안 오르는데 물가만 자꾸 오른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설 준비를 위해 시장에 나온 주부들은 뭐든지 선뜻 사지 못하는 모습이었습니다.

특히 정육점 앞에선 너무 비싸다는 손님들의 푸념이 이어졌습니다.

구제역 여파로 돼지고기 값이 급등했기 때문인데요.

주부의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인터뷰> 나영순(서울시 화곡동) : “종손으로 며느리여서 너무 힘들죠.여기가 더 싼가 저기가 더 싼가 돌아다니며 계속 물어봐요”

사과와 배 등 설 성수품 가격은 많게는 60%까지 올랐습니다.

배추와 대파 가격도 두 배 이상 뛰었습니다.

지난주 경남의 한 공판장에서는 돼지고기가 소고기보다 더 비싸게 팔리는 기현상이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모두 이상 기온에다 구제역까지 각종 악재가 겹쳤기 때문입니다.

수입을 해서라도 모자라는 물량을 채우면 됩니다만 국제적으로도 기상악화로 인해 작황이 나빠 수입물가도 치솟은 상태입니다.

먹을거리 공급에 빨간불이 켜진겁니다.

<질문> “설 차례상 차리는데도 부담이 크겠군요?”

<답변>

네, 지난해보다 비용 부담이 커졌습니다.

한국물가협회가 지난 1월 중순 4인 가족으로 19만 150원이 들 것으로 예측했었습니다.

지난해보다 15.4퍼센트가 증가한 금액인데요.

하지만 설이 임박하면서 물가는 더 올랐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고기 과일뿐만 아니라 다른 제수용품도 오름세이기 때문인데요.

견과류도 올라 대추는 12%, 곶감도 42% 넘게 올랐습니다.

이에따라 차례상 차림 비용은 당초 예상치보다 더 늘어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 “고삐 풀린 물가, 대책은 없는 겁니까?”

<답변>

정부는 전 부처를 동원해 물가 잡기 총력전에 나서고 있긴 합니다.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전격 인상하면서 지원 사격에 나섰습니다.

일단 정부는 단기 대책으로 농산물의 경우 농협을 통해 공급 물량을 50% 이상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돼지고기와 일부 물품은 관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해 수입품 가격을 낮추는 극약 처방까지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농산물의 경우 생산 물량 자체가 워낙 적다보니 공급 확대에 한계가 있습니다.

또 지금 가격을 눌러놔도, 그만큼 하반기 물가가 인상될 수 있다는 풍선효과에 대한 우려도 만만치 않습니다.

전문가의 말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인터뷰> 임희정(현대경제연구원) : “풍선효과 등으로 지금은 눌려 있지만 그 분량만큼 인상이 되면 물가 불안이 이어 질 것입니다”

이 때문에 물가 불안이 장기화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는데요,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대책에 그칠 것이 아니라 농산물 선물시장 도입 등 식품물가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보다 장기적인 처방을 주문하고 있습니다.

<질문>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신흥국들도 식품 물가가 치솟고 있죠?”

<답변>

네,이상 기온과 달러화 약세 등의 여파로 급등하고 있습니다.

먼저 소비자물가부터 보겠습니다.

아르헨티나는 12.4%, 인도 9.4%, 브라질 5.9%, 중국도 5.4%, 러시아는 8.8% 올랐습니다.

특히, 식품가격지수는 지난달 214.8로 종전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

치솟는 먹을거리 물가로 정권까지 위협받는 나라들도 있습니다.

알제리와 요르단 등에서는 물가 폭등해 항의해 반정부 시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시위 참가자의 말입니다.

<인터뷰> 알제리 식품가격 인상 반대 시위자 : “젊은이들이 나라를 떠날수 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설탕같은 식품가격을 올려 우리를 어렵게하고 있습니다”

<질문> “그렇다면 이런 나라들은 치솟는 식품물가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

<답변>

일단 고물가에 금리 정책으로 금리를 올리는 국가가 많습니다.

인도는 기준금리를 지난해 6차례 올린데 이어 지난 25일 또 0.25%포인트 인상했습니다. .

브라질도 19일 기준금리를 11.25%로 0.5% 올렸고요, 중국, 칠레, 타이완, 태국 등도 기준금리 인상에 가세했습니다.

이같은 금리정책만으로는 공급에서 발생한 식품 물가를 잡지 못하기 때문에 잇따라 시장 규제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선 칠리 고추값이 몇 주 새 5배 오르자 정부가 고추 종자 무상제공에 나섰습니다.

인도에선 카레 주재료인 양파값이 4배 이상 오르는 등 식품물가에 비상이 걸리자 일부 농산물에 대한 수출금지 조치를 취했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많은 신흥국 정부들이 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등 그야말로 총력전을 벌이고 있는 모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존경제] 설 물가 비상
    • 입력 2011-02-01 07:40:52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설은 다가오고 있는데 물가는 치솟아 서민들의 한숨이 커지고 있습니다. 실태와 함께 대책은 없는지 알아봅니다. 경제부 이해연기자 나와 있습니다. 주부들이 체감하는 장바구니 물가 어느 정도입니까? <리포트> 네, 한결같이 월급은 안 오르는데 물가만 자꾸 오른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설 준비를 위해 시장에 나온 주부들은 뭐든지 선뜻 사지 못하는 모습이었습니다. 특히 정육점 앞에선 너무 비싸다는 손님들의 푸념이 이어졌습니다. 구제역 여파로 돼지고기 값이 급등했기 때문인데요. 주부의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인터뷰> 나영순(서울시 화곡동) : “종손으로 며느리여서 너무 힘들죠.여기가 더 싼가 저기가 더 싼가 돌아다니며 계속 물어봐요” 사과와 배 등 설 성수품 가격은 많게는 60%까지 올랐습니다. 배추와 대파 가격도 두 배 이상 뛰었습니다. 지난주 경남의 한 공판장에서는 돼지고기가 소고기보다 더 비싸게 팔리는 기현상이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모두 이상 기온에다 구제역까지 각종 악재가 겹쳤기 때문입니다. 수입을 해서라도 모자라는 물량을 채우면 됩니다만 국제적으로도 기상악화로 인해 작황이 나빠 수입물가도 치솟은 상태입니다. 먹을거리 공급에 빨간불이 켜진겁니다. <질문> “설 차례상 차리는데도 부담이 크겠군요?” <답변> 네, 지난해보다 비용 부담이 커졌습니다. 한국물가협회가 지난 1월 중순 4인 가족으로 19만 150원이 들 것으로 예측했었습니다. 지난해보다 15.4퍼센트가 증가한 금액인데요. 하지만 설이 임박하면서 물가는 더 올랐습니다. 앞서 말씀 드린 고기 과일뿐만 아니라 다른 제수용품도 오름세이기 때문인데요. 견과류도 올라 대추는 12%, 곶감도 42% 넘게 올랐습니다. 이에따라 차례상 차림 비용은 당초 예상치보다 더 늘어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질문> “고삐 풀린 물가, 대책은 없는 겁니까?” <답변> 정부는 전 부처를 동원해 물가 잡기 총력전에 나서고 있긴 합니다.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전격 인상하면서 지원 사격에 나섰습니다. 일단 정부는 단기 대책으로 농산물의 경우 농협을 통해 공급 물량을 50% 이상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돼지고기와 일부 물품은 관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해 수입품 가격을 낮추는 극약 처방까지 내놓았습니다. 하지만 농산물의 경우 생산 물량 자체가 워낙 적다보니 공급 확대에 한계가 있습니다. 또 지금 가격을 눌러놔도, 그만큼 하반기 물가가 인상될 수 있다는 풍선효과에 대한 우려도 만만치 않습니다. 전문가의 말 말 들어보시겠습니다. <인터뷰> 임희정(현대경제연구원) : “풍선효과 등으로 지금은 눌려 있지만 그 분량만큼 인상이 되면 물가 불안이 이어 질 것입니다” 이 때문에 물가 불안이 장기화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는데요, 전문가들은 단기적인 대책에 그칠 것이 아니라 농산물 선물시장 도입 등 식품물가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보다 장기적인 처방을 주문하고 있습니다. <질문>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신흥국들도 식품 물가가 치솟고 있죠?” <답변> 네,이상 기온과 달러화 약세 등의 여파로 급등하고 있습니다. 먼저 소비자물가부터 보겠습니다. 아르헨티나는 12.4%, 인도 9.4%, 브라질 5.9%, 중국도 5.4%, 러시아는 8.8% 올랐습니다. 특히, 식품가격지수는 지난달 214.8로 종전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 치솟는 먹을거리 물가로 정권까지 위협받는 나라들도 있습니다. 알제리와 요르단 등에서는 물가 폭등해 항의해 반정부 시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시위 참가자의 말입니다. <인터뷰> 알제리 식품가격 인상 반대 시위자 : “젊은이들이 나라를 떠날수 밖에 없습니다. 정부는 설탕같은 식품가격을 올려 우리를 어렵게하고 있습니다” <질문> “그렇다면 이런 나라들은 치솟는 식품물가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 <답변> 일단 고물가에 금리 정책으로 금리를 올리는 국가가 많습니다. 인도는 기준금리를 지난해 6차례 올린데 이어 지난 25일 또 0.25%포인트 인상했습니다. . 브라질도 19일 기준금리를 11.25%로 0.5% 올렸고요, 중국, 칠레, 타이완, 태국 등도 기준금리 인상에 가세했습니다. 이같은 금리정책만으로는 공급에서 발생한 식품 물가를 잡지 못하기 때문에 잇따라 시장 규제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선 칠리 고추값이 몇 주 새 5배 오르자 정부가 고추 종자 무상제공에 나섰습니다. 인도에선 카레 주재료인 양파값이 4배 이상 오르는 등 식품물가에 비상이 걸리자 일부 농산물에 대한 수출금지 조치를 취했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많은 신흥국 정부들이 시장에 직접 개입하는 등 그야말로 총력전을 벌이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