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유사휘발유 판매 기승…솜방망이 처벌 한계
입력 2011.02.12 (07:57) 수정 2011.02.12 (08:28) 뉴스광장
<앵커 멘트>
최근 기름값이 리터당 천9백 원을 넘나들면서 유사 휘발유 판매 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김재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사휘발유 판매업소에 승용차 한 대가 들어섭니다.
천막으로 가려진 곳에서 주유를 마친 승용차가 업소를 빠져나갑니다.
최근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천9백 원을 넘나들면서 휘발유보다 30% 정도 싼 유사휘발유를 찾고 있는 것입니다.
판매업소도 급증해 대구지역에만 동별로 평균 5곳이 넘는 6백여 곳이 성업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녹취> 판매자 : "저희 가게는 뭐 예전이랑 비슷한데 가게도 많이 생기고 넣는 사람도 꾸준히 넣으니까 수요는 많습니다."
특히 이같은 유사휘발유 판매업소는 대부분 주택이나 상가 밀집 지역에 위치해 있어 폭발 사고 등이 발생했을 때 대형사고의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또 엔진을 마모시켜 자동차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하고 대기오염 물질도 다량 배출합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최근 유사휘발유 단속권을 석유품질관리원에서 지방자치단체와 경찰로까지 확대했지만 단속되더라도 벌금형에 그쳐 뿌리 뽑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인터뷰> 류재상(대구시 에너지관리담당) : "두 번째 단속되면 벌금 5백만원, 3차에는 징역형 선고하도록 검찰과 논의 중입니다."
기름값이 폭등하는 가운데 솜방망이 처벌을 악용한 유사휘발유 판매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재노입니다.
최근 기름값이 리터당 천9백 원을 넘나들면서 유사 휘발유 판매 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김재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사휘발유 판매업소에 승용차 한 대가 들어섭니다.
천막으로 가려진 곳에서 주유를 마친 승용차가 업소를 빠져나갑니다.
최근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천9백 원을 넘나들면서 휘발유보다 30% 정도 싼 유사휘발유를 찾고 있는 것입니다.
판매업소도 급증해 대구지역에만 동별로 평균 5곳이 넘는 6백여 곳이 성업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녹취> 판매자 : "저희 가게는 뭐 예전이랑 비슷한데 가게도 많이 생기고 넣는 사람도 꾸준히 넣으니까 수요는 많습니다."
특히 이같은 유사휘발유 판매업소는 대부분 주택이나 상가 밀집 지역에 위치해 있어 폭발 사고 등이 발생했을 때 대형사고의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또 엔진을 마모시켜 자동차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하고 대기오염 물질도 다량 배출합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최근 유사휘발유 단속권을 석유품질관리원에서 지방자치단체와 경찰로까지 확대했지만 단속되더라도 벌금형에 그쳐 뿌리 뽑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인터뷰> 류재상(대구시 에너지관리담당) : "두 번째 단속되면 벌금 5백만원, 3차에는 징역형 선고하도록 검찰과 논의 중입니다."
기름값이 폭등하는 가운데 솜방망이 처벌을 악용한 유사휘발유 판매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재노입니다.
- 유사휘발유 판매 기승…솜방망이 처벌 한계
-
- 입력 2011-02-12 07:57:10
- 수정2011-02-12 08:28:59

<앵커 멘트>
최근 기름값이 리터당 천9백 원을 넘나들면서 유사 휘발유 판매 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김재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사휘발유 판매업소에 승용차 한 대가 들어섭니다.
천막으로 가려진 곳에서 주유를 마친 승용차가 업소를 빠져나갑니다.
최근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천9백 원을 넘나들면서 휘발유보다 30% 정도 싼 유사휘발유를 찾고 있는 것입니다.
판매업소도 급증해 대구지역에만 동별로 평균 5곳이 넘는 6백여 곳이 성업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녹취> 판매자 : "저희 가게는 뭐 예전이랑 비슷한데 가게도 많이 생기고 넣는 사람도 꾸준히 넣으니까 수요는 많습니다."
특히 이같은 유사휘발유 판매업소는 대부분 주택이나 상가 밀집 지역에 위치해 있어 폭발 사고 등이 발생했을 때 대형사고의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또 엔진을 마모시켜 자동차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하고 대기오염 물질도 다량 배출합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최근 유사휘발유 단속권을 석유품질관리원에서 지방자치단체와 경찰로까지 확대했지만 단속되더라도 벌금형에 그쳐 뿌리 뽑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인터뷰> 류재상(대구시 에너지관리담당) : "두 번째 단속되면 벌금 5백만원, 3차에는 징역형 선고하도록 검찰과 논의 중입니다."
기름값이 폭등하는 가운데 솜방망이 처벌을 악용한 유사휘발유 판매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재노입니다.
최근 기름값이 리터당 천9백 원을 넘나들면서 유사 휘발유 판매 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김재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유사휘발유 판매업소에 승용차 한 대가 들어섭니다.
천막으로 가려진 곳에서 주유를 마친 승용차가 업소를 빠져나갑니다.
최근 휘발유 가격이 리터당 천9백 원을 넘나들면서 휘발유보다 30% 정도 싼 유사휘발유를 찾고 있는 것입니다.
판매업소도 급증해 대구지역에만 동별로 평균 5곳이 넘는 6백여 곳이 성업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녹취> 판매자 : "저희 가게는 뭐 예전이랑 비슷한데 가게도 많이 생기고 넣는 사람도 꾸준히 넣으니까 수요는 많습니다."
특히 이같은 유사휘발유 판매업소는 대부분 주택이나 상가 밀집 지역에 위치해 있어 폭발 사고 등이 발생했을 때 대형사고의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또 엔진을 마모시켜 자동차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하고 대기오염 물질도 다량 배출합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최근 유사휘발유 단속권을 석유품질관리원에서 지방자치단체와 경찰로까지 확대했지만 단속되더라도 벌금형에 그쳐 뿌리 뽑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인터뷰> 류재상(대구시 에너지관리담당) : "두 번째 단속되면 벌금 5백만원, 3차에는 징역형 선고하도록 검찰과 논의 중입니다."
기름값이 폭등하는 가운데 솜방망이 처벌을 악용한 유사휘발유 판매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재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재노 기자 delaro@kbs.co.kr
김재노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