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눈미백 수술, 안전성 미흡”

입력 2011.02.25 (22: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피부 미백이나 치아 미백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혹시 눈 흰자위를 하얗게 하는 눈 미백이라고 들어보셨습니까?



안전하지 않다니까 삼가시기 바랍니다.



김나나 기자가 부작용 사례들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눈이 쉽게 충혈돼 흰자위를 하얗게 해준다는 수술을 받은 김모 씨.



하지만 충혈이 더 심해지고 결막이 심하게 튀어나오는 부작용에 시달렸습니다.



<인터뷰> 김모 씨 : "결막이 자라났어요. 한쪽이. 또 자라서 물어보니 저한테 한다는 말이 당신만 그렇다."



하지만 복지부가 공식 집계한 합병증만 천 4백 2십 명으로 이 가운데 9백5십여 명은 눈의 상처가 깊어져 굳어지는 섬유화증식이나 안압 상승, 석회화 같은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어졌습니다.



<인터뷰> 김성주(대한안성형학회 회장) : "이러다가 녹아내리게 됩니다.안구 천공. 즉 눈이 터지는 일도 생길 수 있다."



결국 복지부는 오늘 눈미백수술은 국민건강에 위해를 초래하고 안전성이 미흡하다는 최종 결론을 내렸습니다.



<녹취> 엄영진(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 위원장) : "보건복지부 장관이 곧 조치할건데 예측하기로는 눈미백수술을 금지시킬 것 같다."



손상된 흰자위를 제거한 뒤 항생제 성분을 넣어 흰자위를 희게 만드는 수술 방식이 염증은 물론 천공이나 사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겁니다.



이에따라 눈미백수술은 중단될 것으로 보이지만 부작용 피해자들에 대한 정부차원의 보상 대책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KBS 뉴스 김나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복지부 “눈미백 수술, 안전성 미흡”
    • 입력 2011-02-25 22:06:10
    뉴스 9
<앵커 멘트>

피부 미백이나 치아 미백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혹시 눈 흰자위를 하얗게 하는 눈 미백이라고 들어보셨습니까?

안전하지 않다니까 삼가시기 바랍니다.

김나나 기자가 부작용 사례들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눈이 쉽게 충혈돼 흰자위를 하얗게 해준다는 수술을 받은 김모 씨.

하지만 충혈이 더 심해지고 결막이 심하게 튀어나오는 부작용에 시달렸습니다.

<인터뷰> 김모 씨 : "결막이 자라났어요. 한쪽이. 또 자라서 물어보니 저한테 한다는 말이 당신만 그렇다."

하지만 복지부가 공식 집계한 합병증만 천 4백 2십 명으로 이 가운데 9백5십여 명은 눈의 상처가 깊어져 굳어지는 섬유화증식이나 안압 상승, 석회화 같은 심각한 부작용으로 이어졌습니다.

<인터뷰> 김성주(대한안성형학회 회장) : "이러다가 녹아내리게 됩니다.안구 천공. 즉 눈이 터지는 일도 생길 수 있다."

결국 복지부는 오늘 눈미백수술은 국민건강에 위해를 초래하고 안전성이 미흡하다는 최종 결론을 내렸습니다.

<녹취> 엄영진(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 위원장) : "보건복지부 장관이 곧 조치할건데 예측하기로는 눈미백수술을 금지시킬 것 같다."

손상된 흰자위를 제거한 뒤 항생제 성분을 넣어 흰자위를 희게 만드는 수술 방식이 염증은 물론 천공이나 사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겁니다.

이에따라 눈미백수술은 중단될 것으로 보이지만 부작용 피해자들에 대한 정부차원의 보상 대책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KBS 뉴스 김나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