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멘트>
대규모 방사능 오염지역 토양이 자연적으로 정화되기까지는 수백 년이 걸리는데요.
방사성 물질을 한 달안에 98%까지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홍정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후쿠시마 원전에서 유출된 방사성 물질은 수십 킬로미터에 걸쳐 토양을 오염시켰습니다.
이렇게 오염된 토양은 죽음의 땅으로 변해 길게는 수백 년동안 회복되지 못합니다.
이런 곳에 투입돼 한 달 안에 방사성 물질을 98%까지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정화 장치는 오염된 토양이나 콘크리트를 질산에 넣어 세척한 뒤, 방사성 물질이 가라앉은 용기에 전압을 가해 한쪽으로 방사성 물질을 모아 추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계남(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 "토양 세척 장치에서 80% 제거된 것을 다시 동정기 장치에 넣어 제거를 하면은 우라늄은 98% 이상, 세슘은 96% 이상 한 달 안에 제거할 수 있는.."
연구진은 이번 장치가 미국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 장치보다 방사성 물질 제거율이 배 가량 뛰어나고, 무엇보다 6개월이나 걸렸던 정화기간을 한 달로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오염물질을 침전시켜 걸러낸 뒤 질산액을 재사용하기 때문에 2차 오염의 우려도 덜었습니다.
실제 규모로 개발돼 곧바로 현장에 투입될 수 있습니다. 이 장치를 스무개로 늘려 설비를 갖추게 되면 연간 약 20만 리터의 방사성 오염 토양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원자력연구원측은 일본 연구진과 협의해 원전사고가 난 후쿠시마의 오염지역에 이 장치의 투입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대규모 방사능 오염지역 토양이 자연적으로 정화되기까지는 수백 년이 걸리는데요.
방사성 물질을 한 달안에 98%까지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홍정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후쿠시마 원전에서 유출된 방사성 물질은 수십 킬로미터에 걸쳐 토양을 오염시켰습니다.
이렇게 오염된 토양은 죽음의 땅으로 변해 길게는 수백 년동안 회복되지 못합니다.
이런 곳에 투입돼 한 달 안에 방사성 물질을 98%까지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정화 장치는 오염된 토양이나 콘크리트를 질산에 넣어 세척한 뒤, 방사성 물질이 가라앉은 용기에 전압을 가해 한쪽으로 방사성 물질을 모아 추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계남(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 "토양 세척 장치에서 80% 제거된 것을 다시 동정기 장치에 넣어 제거를 하면은 우라늄은 98% 이상, 세슘은 96% 이상 한 달 안에 제거할 수 있는.."
연구진은 이번 장치가 미국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 장치보다 방사성 물질 제거율이 배 가량 뛰어나고, 무엇보다 6개월이나 걸렸던 정화기간을 한 달로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오염물질을 침전시켜 걸러낸 뒤 질산액을 재사용하기 때문에 2차 오염의 우려도 덜었습니다.
실제 규모로 개발돼 곧바로 현장에 투입될 수 있습니다. 이 장치를 스무개로 늘려 설비를 갖추게 되면 연간 약 20만 리터의 방사성 오염 토양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원자력연구원측은 일본 연구진과 협의해 원전사고가 난 후쿠시마의 오염지역에 이 장치의 투입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사능 오염 토양 한 달 만에 정화”
-
- 입력 2011-06-21 07:04:31
<앵커 멘트>
대규모 방사능 오염지역 토양이 자연적으로 정화되기까지는 수백 년이 걸리는데요.
방사성 물질을 한 달안에 98%까지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홍정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후쿠시마 원전에서 유출된 방사성 물질은 수십 킬로미터에 걸쳐 토양을 오염시켰습니다.
이렇게 오염된 토양은 죽음의 땅으로 변해 길게는 수백 년동안 회복되지 못합니다.
이런 곳에 투입돼 한 달 안에 방사성 물질을 98%까지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이 개발한 정화 장치는 오염된 토양이나 콘크리트를 질산에 넣어 세척한 뒤, 방사성 물질이 가라앉은 용기에 전압을 가해 한쪽으로 방사성 물질을 모아 추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김계남(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 "토양 세척 장치에서 80% 제거된 것을 다시 동정기 장치에 넣어 제거를 하면은 우라늄은 98% 이상, 세슘은 96% 이상 한 달 안에 제거할 수 있는.."
연구진은 이번 장치가 미국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존 장치보다 방사성 물질 제거율이 배 가량 뛰어나고, 무엇보다 6개월이나 걸렸던 정화기간을 한 달로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오염물질을 침전시켜 걸러낸 뒤 질산액을 재사용하기 때문에 2차 오염의 우려도 덜었습니다.
실제 규모로 개발돼 곧바로 현장에 투입될 수 있습니다. 이 장치를 스무개로 늘려 설비를 갖추게 되면 연간 약 20만 리터의 방사성 오염 토양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원자력연구원측은 일본 연구진과 협의해 원전사고가 난 후쿠시마의 오염지역에 이 장치의 투입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홍정표입니다.
-
-
홍정표 기자 real-eyes@kbs.co.kr
홍정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