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앵커대담] 홍준표 새 대표에게 듣는다
입력 2011.07.04 (22:19) 뉴스 9
<앵커 멘트>
오늘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홍준표 신임 한나라당 대표를 연결해서 당선 소감과 정국운영 구상을 들어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당선을 축하드립니다.
<질문> 비주류로 당 대표에 당선되셨습니다.소감이 남다를 것 같은데요 어떻습니까?
<답변>
변방에서 중심으로 왔죠. 그렇지만 변방 정신은 잊어버리지 않고 치열하게 살아왔다.
<질문> 지난 4월 재보궐 선거 뒤 당의 변화와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컸습니다. 대표로서 당의 쇄신과 개혁 어떻게 이끌어 나갈 생각이십니까?
<답변>
지금 최고위원 당선된 분들 대체로 같은 생각 갖고 있다. 정책 지향점은 조금씩 차이 있지만 정부 여당이기 때문에 정부와 사전 협의하는 절차 강화해서 서민 경제 사는 방향으로 정책을 바꾸겠다.
<질문> 경선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줄세우기 논란 과 계파 대립이 여전했습니다. 당장 총선 승리가 과제인데 당화합과 총선 승리 복안은 어떤 겁니까.
<답변>
우선 계파 활동을 하지 말고 총선 이후 대선 후보 경선 때 각자 계파에서 활동하도록 그런 조치를 하겠다
<질문> 대선 준비도 중요한데 청와대와 정부와의 관계, 또 박근혜 전 대표와의 관계 설정, 어떻게 해나갈 생각이십니까?
<답변>
청와대와 정부와의 관계는 앞으로 사전에 긴밀히 협의해서 당이 선거하는 방향으로 끌고가겠다. 박근혜 비롯해 유력 대선 후보들과 관계는, 이건 대선 때의 관계지 당장 급한 것은 총선이다. 총선때까지 별 문제 없을 것이다.
<질문> 한미 FTA 같이 첨예한 현안과 추가 감세,대학 등록금 등 여러 난제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해법은 어떻게 구상하고 계시는지 야당과의 관계는 어떻게 풀어나갈지, 말씀해 주십시오.
<답변>
우선 한미 FTA는 8월경 처리해달라고 남경필 최고위원한테 얘기했다. 대학등록금 문제는 사업 구조조정과 병행하기로 정리했고 그 다음에 야당과의 관계는 협력할건 협력한다, 특히 서민 정책에 관해서 타협은 타협하되 원칙을 훼손되지 않는 범위로 하겠다.
오늘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홍준표 신임 한나라당 대표를 연결해서 당선 소감과 정국운영 구상을 들어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당선을 축하드립니다.
<질문> 비주류로 당 대표에 당선되셨습니다.소감이 남다를 것 같은데요 어떻습니까?
<답변>
변방에서 중심으로 왔죠. 그렇지만 변방 정신은 잊어버리지 않고 치열하게 살아왔다.
<질문> 지난 4월 재보궐 선거 뒤 당의 변화와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컸습니다. 대표로서 당의 쇄신과 개혁 어떻게 이끌어 나갈 생각이십니까?
<답변>
지금 최고위원 당선된 분들 대체로 같은 생각 갖고 있다. 정책 지향점은 조금씩 차이 있지만 정부 여당이기 때문에 정부와 사전 협의하는 절차 강화해서 서민 경제 사는 방향으로 정책을 바꾸겠다.
<질문> 경선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줄세우기 논란 과 계파 대립이 여전했습니다. 당장 총선 승리가 과제인데 당화합과 총선 승리 복안은 어떤 겁니까.
<답변>
우선 계파 활동을 하지 말고 총선 이후 대선 후보 경선 때 각자 계파에서 활동하도록 그런 조치를 하겠다
<질문> 대선 준비도 중요한데 청와대와 정부와의 관계, 또 박근혜 전 대표와의 관계 설정, 어떻게 해나갈 생각이십니까?
<답변>
청와대와 정부와의 관계는 앞으로 사전에 긴밀히 협의해서 당이 선거하는 방향으로 끌고가겠다. 박근혜 비롯해 유력 대선 후보들과 관계는, 이건 대선 때의 관계지 당장 급한 것은 총선이다. 총선때까지 별 문제 없을 것이다.
<질문> 한미 FTA 같이 첨예한 현안과 추가 감세,대학 등록금 등 여러 난제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해법은 어떻게 구상하고 계시는지 야당과의 관계는 어떻게 풀어나갈지, 말씀해 주십시오.
<답변>
우선 한미 FTA는 8월경 처리해달라고 남경필 최고위원한테 얘기했다. 대학등록금 문제는 사업 구조조정과 병행하기로 정리했고 그 다음에 야당과의 관계는 협력할건 협력한다, 특히 서민 정책에 관해서 타협은 타협하되 원칙을 훼손되지 않는 범위로 하겠다.
- [앵커대담] 홍준표 새 대표에게 듣는다
-
- 입력 2011-07-04 22:19:07

<앵커 멘트>
오늘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홍준표 신임 한나라당 대표를 연결해서 당선 소감과 정국운영 구상을 들어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당선을 축하드립니다.
<질문> 비주류로 당 대표에 당선되셨습니다.소감이 남다를 것 같은데요 어떻습니까?
<답변>
변방에서 중심으로 왔죠. 그렇지만 변방 정신은 잊어버리지 않고 치열하게 살아왔다.
<질문> 지난 4월 재보궐 선거 뒤 당의 변화와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컸습니다. 대표로서 당의 쇄신과 개혁 어떻게 이끌어 나갈 생각이십니까?
<답변>
지금 최고위원 당선된 분들 대체로 같은 생각 갖고 있다. 정책 지향점은 조금씩 차이 있지만 정부 여당이기 때문에 정부와 사전 협의하는 절차 강화해서 서민 경제 사는 방향으로 정책을 바꾸겠다.
<질문> 경선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줄세우기 논란 과 계파 대립이 여전했습니다. 당장 총선 승리가 과제인데 당화합과 총선 승리 복안은 어떤 겁니까.
<답변>
우선 계파 활동을 하지 말고 총선 이후 대선 후보 경선 때 각자 계파에서 활동하도록 그런 조치를 하겠다
<질문> 대선 준비도 중요한데 청와대와 정부와의 관계, 또 박근혜 전 대표와의 관계 설정, 어떻게 해나갈 생각이십니까?
<답변>
청와대와 정부와의 관계는 앞으로 사전에 긴밀히 협의해서 당이 선거하는 방향으로 끌고가겠다. 박근혜 비롯해 유력 대선 후보들과 관계는, 이건 대선 때의 관계지 당장 급한 것은 총선이다. 총선때까지 별 문제 없을 것이다.
<질문> 한미 FTA 같이 첨예한 현안과 추가 감세,대학 등록금 등 여러 난제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해법은 어떻게 구상하고 계시는지 야당과의 관계는 어떻게 풀어나갈지, 말씀해 주십시오.
<답변>
우선 한미 FTA는 8월경 처리해달라고 남경필 최고위원한테 얘기했다. 대학등록금 문제는 사업 구조조정과 병행하기로 정리했고 그 다음에 야당과의 관계는 협력할건 협력한다, 특히 서민 정책에 관해서 타협은 타협하되 원칙을 훼손되지 않는 범위로 하겠다.
오늘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된 홍준표 신임 한나라당 대표를 연결해서 당선 소감과 정국운영 구상을 들어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당선을 축하드립니다.
<질문> 비주류로 당 대표에 당선되셨습니다.소감이 남다를 것 같은데요 어떻습니까?
<답변>
변방에서 중심으로 왔죠. 그렇지만 변방 정신은 잊어버리지 않고 치열하게 살아왔다.
<질문> 지난 4월 재보궐 선거 뒤 당의 변화와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그 어느 때보다 컸습니다. 대표로서 당의 쇄신과 개혁 어떻게 이끌어 나갈 생각이십니까?
<답변>
지금 최고위원 당선된 분들 대체로 같은 생각 갖고 있다. 정책 지향점은 조금씩 차이 있지만 정부 여당이기 때문에 정부와 사전 협의하는 절차 강화해서 서민 경제 사는 방향으로 정책을 바꾸겠다.
<질문> 경선이 치열하게 전개되면서 줄세우기 논란 과 계파 대립이 여전했습니다. 당장 총선 승리가 과제인데 당화합과 총선 승리 복안은 어떤 겁니까.
<답변>
우선 계파 활동을 하지 말고 총선 이후 대선 후보 경선 때 각자 계파에서 활동하도록 그런 조치를 하겠다
<질문> 대선 준비도 중요한데 청와대와 정부와의 관계, 또 박근혜 전 대표와의 관계 설정, 어떻게 해나갈 생각이십니까?
<답변>
청와대와 정부와의 관계는 앞으로 사전에 긴밀히 협의해서 당이 선거하는 방향으로 끌고가겠다. 박근혜 비롯해 유력 대선 후보들과 관계는, 이건 대선 때의 관계지 당장 급한 것은 총선이다. 총선때까지 별 문제 없을 것이다.
<질문> 한미 FTA 같이 첨예한 현안과 추가 감세,대학 등록금 등 여러 난제들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해법은 어떻게 구상하고 계시는지 야당과의 관계는 어떻게 풀어나갈지, 말씀해 주십시오.
<답변>
우선 한미 FTA는 8월경 처리해달라고 남경필 최고위원한테 얘기했다. 대학등록금 문제는 사업 구조조정과 병행하기로 정리했고 그 다음에 야당과의 관계는 협력할건 협력한다, 특히 서민 정책에 관해서 타협은 타협하되 원칙을 훼손되지 않는 범위로 하겠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