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튼튼 생생 365일] 중년 폐경 여성, 무릎관절 비상!

입력 2011.10.01 (21:43) 수정 2011.10.16 (08: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어머니들 구부리고 앉아서 집안일 하시다 보면 허리,무릎 할 것 없이 다 쑤신다고 하시잖아요,

더군다나 폐경기 이후에는 무릎관절 손상이 더 심해진다고 하네요,

예방법은 없는지 박광식 의학전문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폐경기 이후 시작된 무릎 통증으로 병원을 찾은 50대 여성의 MRI 사진입니다.

까맣게 보여야 할 무릎뼈 색깔이 일부 하얗게 변해 무릎 연골이 손상됐음을 보여줍니다.

재활을 위해 날마다 고정식 자전거 타면서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시킵니다.

<인터뷰>김은화(무릎 연골 연화증 환자): "폐경 3-4년 후에 무릎이 굉장히 뼈끼리 서로 부딪히는 그런 느낌, 계단을 내려오면서 똑하면서 잘못 내려오고…"

한 관절전문병원 조사결과 무릎관절수술을 받은 중년 여성의 80%가 이미 폐경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욱이 처음 무릎 통증을 느낀 시기는 '폐경 직후 3년 이내'라는 응답이 58%로 가장 많았습니다.

<인터뷰>고용곤(정형외과 전문의): "여성호르몬이 연골을 보호하는데 이게 감소해서 연골을 보호하지 못하고요. 갱년기가 되면서 여성분들이 체중이 많이 늘거든요. 무릎에 부하가 많아 연골손상이 쉽게 올 수 있습니다."

실제로 몸무게 1kg 증가할 때마다 무릎의 하중은 3배에서 최대 5배까지 증가합니다.

여기에 무릎을 꿇고 걸레질을 하거나 쪼그려 앉아서 손빨래를 하는 집안 일이 더해지면 무릎 손상은 더 빨리 진행됩니다.

<인터뷰>염승철(척추관절센터 한의사): "무릎에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하게 되면 무릎 사이 관절 면과 연골 인대 등에 무리를 주게 돼 심한 손상을 유발시키게 됩니다."

우선, 무엇보다 무릎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가사노동의 잘못된 습관을 고치는 게 중요합니다.

또한, 식이 조절과 꾸준한 운동으로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하루에 2번, 벽에 등을 기댄 채 앉았다 일어나기 등 무릎 근육을 지속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이 무릎을 보호하는 지름길입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튼튼 생생 365일] 중년 폐경 여성, 무릎관절 비상!
    • 입력 2011-10-01 21:43:41
    • 수정2011-10-16 08:38:40
    뉴스 9
<앵커 멘트> 어머니들 구부리고 앉아서 집안일 하시다 보면 허리,무릎 할 것 없이 다 쑤신다고 하시잖아요, 더군다나 폐경기 이후에는 무릎관절 손상이 더 심해진다고 하네요, 예방법은 없는지 박광식 의학전문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리포트> 폐경기 이후 시작된 무릎 통증으로 병원을 찾은 50대 여성의 MRI 사진입니다. 까맣게 보여야 할 무릎뼈 색깔이 일부 하얗게 변해 무릎 연골이 손상됐음을 보여줍니다. 재활을 위해 날마다 고정식 자전거 타면서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시킵니다. <인터뷰>김은화(무릎 연골 연화증 환자): "폐경 3-4년 후에 무릎이 굉장히 뼈끼리 서로 부딪히는 그런 느낌, 계단을 내려오면서 똑하면서 잘못 내려오고…" 한 관절전문병원 조사결과 무릎관절수술을 받은 중년 여성의 80%가 이미 폐경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욱이 처음 무릎 통증을 느낀 시기는 '폐경 직후 3년 이내'라는 응답이 58%로 가장 많았습니다. <인터뷰>고용곤(정형외과 전문의): "여성호르몬이 연골을 보호하는데 이게 감소해서 연골을 보호하지 못하고요. 갱년기가 되면서 여성분들이 체중이 많이 늘거든요. 무릎에 부하가 많아 연골손상이 쉽게 올 수 있습니다." 실제로 몸무게 1kg 증가할 때마다 무릎의 하중은 3배에서 최대 5배까지 증가합니다. 여기에 무릎을 꿇고 걸레질을 하거나 쪼그려 앉아서 손빨래를 하는 집안 일이 더해지면 무릎 손상은 더 빨리 진행됩니다. <인터뷰>염승철(척추관절센터 한의사): "무릎에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하게 되면 무릎 사이 관절 면과 연골 인대 등에 무리를 주게 돼 심한 손상을 유발시키게 됩니다." 우선, 무엇보다 무릎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도록 가사노동의 잘못된 습관을 고치는 게 중요합니다. 또한, 식이 조절과 꾸준한 운동으로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하루에 2번, 벽에 등을 기댄 채 앉았다 일어나기 등 무릎 근육을 지속적으로 강화시키는 것이 무릎을 보호하는 지름길입니다. KBS 뉴스 박광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