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건강정보] 겨울철 피부 건조주의보

입력 2011.12.27 (14: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운 겨울, 건강하게 보내기가 만만치 않죠?

피부도 건조하고 차가운 날씨로 인해 많은 공격을 받고 있는데요.

날씨가 추워지면 피부 습도를 자동으로 유지해주는 땀샘과 기름샘의 기능이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피부의 수분 보유량이 적어져 피부가 푸석푸석해집니다.

또 실내와 실외의 큰 온도차.

난방기 사용 등 여러 요인이 피부를 메마르고 거칠게 하죠.

<인터뷰> 조지 베르게스(피부과 전문의) : "추운 날씨에 피부를 보호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영양분과 수분, 피부 구성하는 필수적인 오일을 빼앗기게 됩니다."

피부를 건조한 채로 방치하면 가려움증이 심해지고 염증까지 유발할 수 있는데요.

피부 건조증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실내 온도는 20도를 넘지 않게, 습도는 60~70%로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겨울철에는 실내 오염도가 여름철에 비해 최소 2배 이상 높은데요.

환기를 자주 시켜주는 게 좋겠죠.

춥다고 뜨거운 물로 목욕을 하면 피부가 오히려 예민해질 수 있습니다.

또 자주 그리고 오래 씻으면 피부가 더 건조해집니다.

자극이 강하고 세정력이 뛰어난 비누보다는 약산성의 가벼운 비누를 사용하는 게 좋은데요.

씻고 난 후에는 가능한 한 빨리 보습제를 바르는 것도 잊지 말아야겠죠.

<인터뷰> 조지 베르게스(피부과 전문의) : "미지근한 물로 씻고 최대 10분을 넘기기 않아야 합니다. 샤워나 목욕 후에는 좋은 보습제를 바르세요."

신체의 면역 기능을 활성화하면 질환에 대한 방어력도 높아지고 덩달아 피부 건강에도 좋습니다.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등 균형잡힌 식생활이 중요한데요.

피부 건조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조금만 신경 써도 쉽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피부가 심하게 갈라지고 붉어지는 등 상태가 심각하다면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지구촌 건강 정보였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지구촌 건강정보] 겨울철 피부 건조주의보
    • 입력 2011-12-27 14:55:42
    지구촌뉴스
추운 겨울, 건강하게 보내기가 만만치 않죠? 피부도 건조하고 차가운 날씨로 인해 많은 공격을 받고 있는데요. 날씨가 추워지면 피부 습도를 자동으로 유지해주는 땀샘과 기름샘의 기능이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피부의 수분 보유량이 적어져 피부가 푸석푸석해집니다. 또 실내와 실외의 큰 온도차. 난방기 사용 등 여러 요인이 피부를 메마르고 거칠게 하죠. <인터뷰> 조지 베르게스(피부과 전문의) : "추운 날씨에 피부를 보호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영양분과 수분, 피부 구성하는 필수적인 오일을 빼앗기게 됩니다." 피부를 건조한 채로 방치하면 가려움증이 심해지고 염증까지 유발할 수 있는데요. 피부 건조증을 예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실내 온도는 20도를 넘지 않게, 습도는 60~70%로 유지하는 게 좋습니다. 겨울철에는 실내 오염도가 여름철에 비해 최소 2배 이상 높은데요. 환기를 자주 시켜주는 게 좋겠죠. 춥다고 뜨거운 물로 목욕을 하면 피부가 오히려 예민해질 수 있습니다. 또 자주 그리고 오래 씻으면 피부가 더 건조해집니다. 자극이 강하고 세정력이 뛰어난 비누보다는 약산성의 가벼운 비누를 사용하는 게 좋은데요. 씻고 난 후에는 가능한 한 빨리 보습제를 바르는 것도 잊지 말아야겠죠. <인터뷰> 조지 베르게스(피부과 전문의) : "미지근한 물로 씻고 최대 10분을 넘기기 않아야 합니다. 샤워나 목욕 후에는 좋은 보습제를 바르세요." 신체의 면역 기능을 활성화하면 질환에 대한 방어력도 높아지고 덩달아 피부 건강에도 좋습니다. 자극적인 음식을 피하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는 등 균형잡힌 식생활이 중요한데요. 피부 건조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렇게 일상생활에서 조금만 신경 써도 쉽게 개선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피부가 심하게 갈라지고 붉어지는 등 상태가 심각하다면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지구촌 건강 정보였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