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판길 ‘낙상 사고’ 주의…한파 속 환자들 속출

입력 2012.02.02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빙판길 걸으시다가 미끄러지는 사고,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좀 넘어졌다고 별일 있겠느냐 하시겠지만 노인들은 골절사고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경하 기자가 주의할 점들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계속된 한파에 눈을 치우지 못한 주택가 뒷길은 빙판길로 변했습니다.

이 40대 여성도 어제 언덕길 맨홀에서 미끄러지는 바람에 허리를 다쳤습니다.

<인터뷰> 김선기(허리골절 환자) : "워낙 경사가 심하니까 염화칼슘을 다 뿌려놓은 상태인데도 그 정도로 미끄럽더라고요."

눈이 많이 내린 화요일 이후 사흘동안 119에 신고된 서울시내 미끄럼 사고는 143건이나 됩니다.

미끄러져 골절된 경우 잘못 움직이면 신경이나 인대까지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말고 주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성정은(소방교) : "최대한 안 움직인 상태에서 주변에 딱딱한 물건이 있으면 골절된 부위를 받쳐서 고정해주시고 구급대가 올 때까지 기다려주시는 게 좋습니다."

손목이나 발목이 골절되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허리나 엉덩이뼈가 골절되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병원에서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인터뷰> 김창우(정형외과 전문의) : "대퇴골 골절, 즉 엉덩뼈 골절로 인해서 노인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죠."

골절을 막으려면 골다공증 환자나 노인은 가급적 외출을 삼가고, 외출할 때는 보폭을 좁게 걷거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옷을 두껍게 입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구경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빙판길 ‘낙상 사고’ 주의…한파 속 환자들 속출
    • 입력 2012-02-02 22:02:43
    뉴스 9
<앵커 멘트> 빙판길 걸으시다가 미끄러지는 사고,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좀 넘어졌다고 별일 있겠느냐 하시겠지만 노인들은 골절사고로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경하 기자가 주의할 점들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계속된 한파에 눈을 치우지 못한 주택가 뒷길은 빙판길로 변했습니다. 이 40대 여성도 어제 언덕길 맨홀에서 미끄러지는 바람에 허리를 다쳤습니다. <인터뷰> 김선기(허리골절 환자) : "워낙 경사가 심하니까 염화칼슘을 다 뿌려놓은 상태인데도 그 정도로 미끄럽더라고요." 눈이 많이 내린 화요일 이후 사흘동안 119에 신고된 서울시내 미끄럼 사고는 143건이나 됩니다. 미끄러져 골절된 경우 잘못 움직이면 신경이나 인대까지 다칠 수 있기 때문에 움직이지 말고 주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뷰> 성정은(소방교) : "최대한 안 움직인 상태에서 주변에 딱딱한 물건이 있으면 골절된 부위를 받쳐서 고정해주시고 구급대가 올 때까지 기다려주시는 게 좋습니다." 손목이나 발목이 골절되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허리나 엉덩이뼈가 골절되면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병원에서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인터뷰> 김창우(정형외과 전문의) : "대퇴골 골절, 즉 엉덩뼈 골절로 인해서 노인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죠." 골절을 막으려면 골다공증 환자나 노인은 가급적 외출을 삼가고, 외출할 때는 보폭을 좁게 걷거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옷을 두껍게 입는 것이 좋습니다. KBS 뉴스 구경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