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이상 조짐…봄꽃 전국 동시 개화
입력 2012.05.23 (07:03)
수정 2012.05.23 (17: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봄꽃은 보통 남부에서 피기 시작해 중부지방으로 올라왔지만 올해는 전국에서 거의 동시에 피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달 들어 초여름 같은 날씨가 계속되면서 나타난 생태계의 이상 조짐입니다.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만 마리의 벌들이 꿀을 모으느라 분주히 움직입니다.
아까시 꿀을 따와 벌집에 채우고 있습니다.
보통 때는 이곳 경북지역에서 더 북쪽으로 올라가 다음달 초까지 꿀을 계속 모았지만 올해는 벌써 막바지 단계입니다.
올해는 전국에서 거의 동시에 아까시 꽃이 피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홍주(양봉업) : "예년에 비하면 1주 내지 2주 가까이 채취 기간이 짧아진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까시의 개화시기가 예년과 비슷했던 2007년의 경우 5월 초 경남 하동부터 꿀을 채취해 6월 초엔 강원도 양구까지 올라갔지만, 올해는 하동과 양구의 개화시기가 거의 비슷합니다.
이 때문에 국립산림과학원은 올해 아까시 꿀 생산량이 30%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난달 중순까지 늦추위가 이어진 뒤 하순부터는 고온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 근본 이유입니다.
아까시나무뿐 아니라 대부분의 봄꽃이 핀 기간도 크게 줄었습니다.
목련과 벚꽃이 피었던 기간은 예년 평균 17일에서 9일과 8일로 줄어드는 등 개화기간이 평균 49%나 단축됐습니다.
개화기간이 갑자기 짧아지면서 꽃가루를 옮기는 이 같은 벌과 나비 등도 안정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꽃에서 곤충, 새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에도 영향을 주면서 결국 생태계 전체에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유근옥(박사/국립산림과학원) : "지구 온난화의 완만한 변화보다는 급속한 변화가 생태계에 큰 충격을 줘서 교란을 가중시킬 수가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반도 중부지방의 온난화가 남부지방보다 더 빨리 진행되고 있어 향후 생태계가 예측하기 힘든 방향으로 급변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봄꽃은 보통 남부에서 피기 시작해 중부지방으로 올라왔지만 올해는 전국에서 거의 동시에 피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달 들어 초여름 같은 날씨가 계속되면서 나타난 생태계의 이상 조짐입니다.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만 마리의 벌들이 꿀을 모으느라 분주히 움직입니다.
아까시 꿀을 따와 벌집에 채우고 있습니다.
보통 때는 이곳 경북지역에서 더 북쪽으로 올라가 다음달 초까지 꿀을 계속 모았지만 올해는 벌써 막바지 단계입니다.
올해는 전국에서 거의 동시에 아까시 꽃이 피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홍주(양봉업) : "예년에 비하면 1주 내지 2주 가까이 채취 기간이 짧아진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까시의 개화시기가 예년과 비슷했던 2007년의 경우 5월 초 경남 하동부터 꿀을 채취해 6월 초엔 강원도 양구까지 올라갔지만, 올해는 하동과 양구의 개화시기가 거의 비슷합니다.
이 때문에 국립산림과학원은 올해 아까시 꿀 생산량이 30%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난달 중순까지 늦추위가 이어진 뒤 하순부터는 고온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 근본 이유입니다.
아까시나무뿐 아니라 대부분의 봄꽃이 핀 기간도 크게 줄었습니다.
목련과 벚꽃이 피었던 기간은 예년 평균 17일에서 9일과 8일로 줄어드는 등 개화기간이 평균 49%나 단축됐습니다.
개화기간이 갑자기 짧아지면서 꽃가루를 옮기는 이 같은 벌과 나비 등도 안정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꽃에서 곤충, 새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에도 영향을 주면서 결국 생태계 전체에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유근옥(박사/국립산림과학원) : "지구 온난화의 완만한 변화보다는 급속한 변화가 생태계에 큰 충격을 줘서 교란을 가중시킬 수가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반도 중부지방의 온난화가 남부지방보다 더 빨리 진행되고 있어 향후 생태계가 예측하기 힘든 방향으로 급변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생태계 이상 조짐…봄꽃 전국 동시 개화
-
- 입력 2012-05-23 07:03:48
- 수정2012-05-23 17:21:20

<앵커 멘트>
봄꽃은 보통 남부에서 피기 시작해 중부지방으로 올라왔지만 올해는 전국에서 거의 동시에 피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달 들어 초여름 같은 날씨가 계속되면서 나타난 생태계의 이상 조짐입니다.
김성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수만 마리의 벌들이 꿀을 모으느라 분주히 움직입니다.
아까시 꿀을 따와 벌집에 채우고 있습니다.
보통 때는 이곳 경북지역에서 더 북쪽으로 올라가 다음달 초까지 꿀을 계속 모았지만 올해는 벌써 막바지 단계입니다.
올해는 전국에서 거의 동시에 아까시 꽃이 피었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홍주(양봉업) : "예년에 비하면 1주 내지 2주 가까이 채취 기간이 짧아진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까시의 개화시기가 예년과 비슷했던 2007년의 경우 5월 초 경남 하동부터 꿀을 채취해 6월 초엔 강원도 양구까지 올라갔지만, 올해는 하동과 양구의 개화시기가 거의 비슷합니다.
이 때문에 국립산림과학원은 올해 아까시 꿀 생산량이 30%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난달 중순까지 늦추위가 이어진 뒤 하순부터는 고온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 근본 이유입니다.
아까시나무뿐 아니라 대부분의 봄꽃이 핀 기간도 크게 줄었습니다.
목련과 벚꽃이 피었던 기간은 예년 평균 17일에서 9일과 8일로 줄어드는 등 개화기간이 평균 49%나 단축됐습니다.
개화기간이 갑자기 짧아지면서 꽃가루를 옮기는 이 같은 벌과 나비 등도 안정적으로 적응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꽃에서 곤충, 새로 이어지는 먹이사슬에도 영향을 주면서 결국 생태계 전체에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유근옥(박사/국립산림과학원) : "지구 온난화의 완만한 변화보다는 급속한 변화가 생태계에 큰 충격을 줘서 교란을 가중시킬 수가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반도 중부지방의 온난화가 남부지방보다 더 빨리 진행되고 있어 향후 생태계가 예측하기 힘든 방향으로 급변할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
김성한 기자 albatross@kbs.co.kr
김성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