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무더위 속 학교 급식 식중독 관리 ‘빨간불’
입력 2012.06.05 (22:02) 수정 2012.06.06 (16:10) 뉴스 9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해마다 6월은 식중독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특히 올해는 더운 날씨가 오랫동안 이어지면서 학교 급식의 위생관리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구영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의 한 고등학교.
지난 금요일부터 학생 45명이 집단으로 설사와 복통 증세를 보였습니다.
일부 학생은 증상이 심해 병원 치료를 받았고, 보건소에서는 가검물을 채취해, 정확한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학생 : "설사하고 심한 애들은 구토하고... (몇번이나?) 주말부터 서너번 정도요."
올들어 학교 급식 관련 식중독 의심사고는 17건에 680여명.
특히, 해마다 전체 식중독 사고의 평균 22%가 6월에 집중되는 만큼, 이달 들어 위험지수는 더 높아진 상탭니다.
서울의 한 중학교.
급식 자재 납품 차량 문을 여니, 죽은 벌레가 나옵니다.
냉동차량 온도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이민학(서울시교육청) : "영하 18도가 유지돼야 하는데, 온도 유지가 안되네요.."
재료는 필요한 만큼만 주문해 쓰고 남는 것은 폐기해야 합니다.
<인터뷰> 김수득(서울시교육청 체육건강과장) : "날씨가 더워지면 식품이 부패위험이 크기 때문에 납품단계부터 모두 점검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조달청도 급식납품업체 2천 6백여곳을 전수 조사하기로 하는 등, 급식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해마다 6월은 식중독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특히 올해는 더운 날씨가 오랫동안 이어지면서 학교 급식의 위생관리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구영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의 한 고등학교.
지난 금요일부터 학생 45명이 집단으로 설사와 복통 증세를 보였습니다.
일부 학생은 증상이 심해 병원 치료를 받았고, 보건소에서는 가검물을 채취해, 정확한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학생 : "설사하고 심한 애들은 구토하고... (몇번이나?) 주말부터 서너번 정도요."
올들어 학교 급식 관련 식중독 의심사고는 17건에 680여명.
특히, 해마다 전체 식중독 사고의 평균 22%가 6월에 집중되는 만큼, 이달 들어 위험지수는 더 높아진 상탭니다.
서울의 한 중학교.
급식 자재 납품 차량 문을 여니, 죽은 벌레가 나옵니다.
냉동차량 온도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이민학(서울시교육청) : "영하 18도가 유지돼야 하는데, 온도 유지가 안되네요.."
재료는 필요한 만큼만 주문해 쓰고 남는 것은 폐기해야 합니다.
<인터뷰> 김수득(서울시교육청 체육건강과장) : "날씨가 더워지면 식품이 부패위험이 크기 때문에 납품단계부터 모두 점검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조달청도 급식납품업체 2천 6백여곳을 전수 조사하기로 하는 등, 급식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 무더위 속 학교 급식 식중독 관리 ‘빨간불’
-
- 입력 2012-06-05 22:02:55
- 수정2012-06-06 16:10:42

<앵커 멘트>
해마다 6월은 식중독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특히 올해는 더운 날씨가 오랫동안 이어지면서 학교 급식의 위생관리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구영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의 한 고등학교.
지난 금요일부터 학생 45명이 집단으로 설사와 복통 증세를 보였습니다.
일부 학생은 증상이 심해 병원 치료를 받았고, 보건소에서는 가검물을 채취해, 정확한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학생 : "설사하고 심한 애들은 구토하고... (몇번이나?) 주말부터 서너번 정도요."
올들어 학교 급식 관련 식중독 의심사고는 17건에 680여명.
특히, 해마다 전체 식중독 사고의 평균 22%가 6월에 집중되는 만큼, 이달 들어 위험지수는 더 높아진 상탭니다.
서울의 한 중학교.
급식 자재 납품 차량 문을 여니, 죽은 벌레가 나옵니다.
냉동차량 온도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이민학(서울시교육청) : "영하 18도가 유지돼야 하는데, 온도 유지가 안되네요.."
재료는 필요한 만큼만 주문해 쓰고 남는 것은 폐기해야 합니다.
<인터뷰> 김수득(서울시교육청 체육건강과장) : "날씨가 더워지면 식품이 부패위험이 크기 때문에 납품단계부터 모두 점검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조달청도 급식납품업체 2천 6백여곳을 전수 조사하기로 하는 등, 급식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해마다 6월은 식중독 사고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특히 올해는 더운 날씨가 오랫동안 이어지면서 학교 급식의 위생관리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
구영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인천의 한 고등학교.
지난 금요일부터 학생 45명이 집단으로 설사와 복통 증세를 보였습니다.
일부 학생은 증상이 심해 병원 치료를 받았고, 보건소에서는 가검물을 채취해, 정확한 원인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학생 : "설사하고 심한 애들은 구토하고... (몇번이나?) 주말부터 서너번 정도요."
올들어 학교 급식 관련 식중독 의심사고는 17건에 680여명.
특히, 해마다 전체 식중독 사고의 평균 22%가 6월에 집중되는 만큼, 이달 들어 위험지수는 더 높아진 상탭니다.
서울의 한 중학교.
급식 자재 납품 차량 문을 여니, 죽은 벌레가 나옵니다.
냉동차량 온도도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습니다.
<녹취> 이민학(서울시교육청) : "영하 18도가 유지돼야 하는데, 온도 유지가 안되네요.."
재료는 필요한 만큼만 주문해 쓰고 남는 것은 폐기해야 합니다.
<인터뷰> 김수득(서울시교육청 체육건강과장) : "날씨가 더워지면 식품이 부패위험이 크기 때문에 납품단계부터 모두 점검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조달청도 급식납품업체 2천 6백여곳을 전수 조사하기로 하는 등, 급식 안전 관리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구영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구영희 기자 younghee@kbs.co.kr
구영희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