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사이버테러, 악성코드 추적 원점…재정비 시급
입력 2013.03.24 (07:05) 수정 2013.03.24 (11:41) 일요뉴스타임
<앵커 멘트>
언론과 금융기관 사이버테러 발생 닷새째로 접어들었지만 아직 누가, 어떤 목적으로 했는지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방통위는 섣불리 중국을 지목했다가 말을 바꾸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김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일 발생한 방송과 금융기관 사이버 테러,
하루 뒤 방송통신위원회는 악성코드 발신지를 중국이라고 발표했다가, 다음 날 중국이 아니라 국내 농협 내부 직원의 컴퓨터였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녹취> 이승원(방통위 네트워크정보보호팀장) : "한번 더 확인 했어야 했는데 2차적으로 검증하는 절차를 저희가 소홀히 한 측면이 있습니다.“
이번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과정도 문제가 발견됐습니다.
이미 지난 해 7월부터 서버에 접근한 흔적이 발견됐지만, 백신업체들은 감지하지 못했습니다.
<녹취> 보안업체 관계자 : "여기 저기에 심어져 있던 악성코드가 (이번 전산장애 이후) 발견이 된거죠."
그 사이 각 회사의 업데이트 관리서버가 장악됐고, 결국 이 관리서버에 연결된 PC가 업데이트될때 악성코드가 함께 뿌려졌습니다.
게다가 2,3차 후속공격을 예고하는 '하스타티'라는 메세지도 남겼습니다.
<인터뷰>임동빈(정보보안업체 직원) : "핵심 서버까지 파괴할 수 있는 역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걸 살려놓은 이유는 다음 해킹의 발판으로 이것들을 살려놓지 않았냐"
정부의 대처는 허술했습니다.
전담기관이 불분명해 국민들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인터뷰>김동욱(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사이버 공격이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민간 시설을 통해서도 충분히 국가적인 재난이 발생하기 때문에 범정부적인 대응필요."
초유의 방송과 금융 사이버테러, 후속공격까지 예고된 상황에서 국가보안시스템 재정비가 시급합니다.
KBS뉴스 김민경입니다.
언론과 금융기관 사이버테러 발생 닷새째로 접어들었지만 아직 누가, 어떤 목적으로 했는지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방통위는 섣불리 중국을 지목했다가 말을 바꾸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김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일 발생한 방송과 금융기관 사이버 테러,
하루 뒤 방송통신위원회는 악성코드 발신지를 중국이라고 발표했다가, 다음 날 중국이 아니라 국내 농협 내부 직원의 컴퓨터였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녹취> 이승원(방통위 네트워크정보보호팀장) : "한번 더 확인 했어야 했는데 2차적으로 검증하는 절차를 저희가 소홀히 한 측면이 있습니다.“
이번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과정도 문제가 발견됐습니다.
이미 지난 해 7월부터 서버에 접근한 흔적이 발견됐지만, 백신업체들은 감지하지 못했습니다.
<녹취> 보안업체 관계자 : "여기 저기에 심어져 있던 악성코드가 (이번 전산장애 이후) 발견이 된거죠."
그 사이 각 회사의 업데이트 관리서버가 장악됐고, 결국 이 관리서버에 연결된 PC가 업데이트될때 악성코드가 함께 뿌려졌습니다.
게다가 2,3차 후속공격을 예고하는 '하스타티'라는 메세지도 남겼습니다.
<인터뷰>임동빈(정보보안업체 직원) : "핵심 서버까지 파괴할 수 있는 역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걸 살려놓은 이유는 다음 해킹의 발판으로 이것들을 살려놓지 않았냐"
정부의 대처는 허술했습니다.
전담기관이 불분명해 국민들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인터뷰>김동욱(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사이버 공격이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민간 시설을 통해서도 충분히 국가적인 재난이 발생하기 때문에 범정부적인 대응필요."
초유의 방송과 금융 사이버테러, 후속공격까지 예고된 상황에서 국가보안시스템 재정비가 시급합니다.
KBS뉴스 김민경입니다.
- 사이버테러, 악성코드 추적 원점…재정비 시급
-
- 입력 2013-03-24 07:05:41
- 수정2013-03-24 11:41:02

<앵커 멘트>
언론과 금융기관 사이버테러 발생 닷새째로 접어들었지만 아직 누가, 어떤 목적으로 했는지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방통위는 섣불리 중국을 지목했다가 말을 바꾸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김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일 발생한 방송과 금융기관 사이버 테러,
하루 뒤 방송통신위원회는 악성코드 발신지를 중국이라고 발표했다가, 다음 날 중국이 아니라 국내 농협 내부 직원의 컴퓨터였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녹취> 이승원(방통위 네트워크정보보호팀장) : "한번 더 확인 했어야 했는데 2차적으로 검증하는 절차를 저희가 소홀히 한 측면이 있습니다.“
이번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과정도 문제가 발견됐습니다.
이미 지난 해 7월부터 서버에 접근한 흔적이 발견됐지만, 백신업체들은 감지하지 못했습니다.
<녹취> 보안업체 관계자 : "여기 저기에 심어져 있던 악성코드가 (이번 전산장애 이후) 발견이 된거죠."
그 사이 각 회사의 업데이트 관리서버가 장악됐고, 결국 이 관리서버에 연결된 PC가 업데이트될때 악성코드가 함께 뿌려졌습니다.
게다가 2,3차 후속공격을 예고하는 '하스타티'라는 메세지도 남겼습니다.
<인터뷰>임동빈(정보보안업체 직원) : "핵심 서버까지 파괴할 수 있는 역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걸 살려놓은 이유는 다음 해킹의 발판으로 이것들을 살려놓지 않았냐"
정부의 대처는 허술했습니다.
전담기관이 불분명해 국민들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인터뷰>김동욱(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사이버 공격이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민간 시설을 통해서도 충분히 국가적인 재난이 발생하기 때문에 범정부적인 대응필요."
초유의 방송과 금융 사이버테러, 후속공격까지 예고된 상황에서 국가보안시스템 재정비가 시급합니다.
KBS뉴스 김민경입니다.
언론과 금융기관 사이버테러 발생 닷새째로 접어들었지만 아직 누가, 어떤 목적으로 했는지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방통위는 섣불리 중국을 지목했다가 말을 바꾸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김민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일 발생한 방송과 금융기관 사이버 테러,
하루 뒤 방송통신위원회는 악성코드 발신지를 중국이라고 발표했다가, 다음 날 중국이 아니라 국내 농협 내부 직원의 컴퓨터였다고 말을 바꿨습니다.
<녹취> 이승원(방통위 네트워크정보보호팀장) : "한번 더 확인 했어야 했는데 2차적으로 검증하는 절차를 저희가 소홀히 한 측면이 있습니다.“
이번 악성코드가 유포되는 과정도 문제가 발견됐습니다.
이미 지난 해 7월부터 서버에 접근한 흔적이 발견됐지만, 백신업체들은 감지하지 못했습니다.
<녹취> 보안업체 관계자 : "여기 저기에 심어져 있던 악성코드가 (이번 전산장애 이후) 발견이 된거죠."
그 사이 각 회사의 업데이트 관리서버가 장악됐고, 결국 이 관리서버에 연결된 PC가 업데이트될때 악성코드가 함께 뿌려졌습니다.
게다가 2,3차 후속공격을 예고하는 '하스타티'라는 메세지도 남겼습니다.
<인터뷰>임동빈(정보보안업체 직원) : "핵심 서버까지 파괴할 수 있는 역량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걸 살려놓은 이유는 다음 해킹의 발판으로 이것들을 살려놓지 않았냐"
정부의 대처는 허술했습니다.
전담기관이 불분명해 국민들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인터뷰>김동욱(정보통신정책연구원) : "사이버 공격이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민간 시설을 통해서도 충분히 국가적인 재난이 발생하기 때문에 범정부적인 대응필요."
초유의 방송과 금융 사이버테러, 후속공격까지 예고된 상황에서 국가보안시스템 재정비가 시급합니다.
KBS뉴스 김민경입니다.
일요뉴스타임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김민경 기자 minkyung@kbs.co.kr
김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