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 값 80% 뛸 때 고기 값 ‘뚝’…‘굶는 돼지들’

입력 2013.05.13 (21:38) 수정 2013.05.13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돼지고기값은 최근 7년 평균 떨어졌는데 사료비는 80%나 올라 급기야 굶는 돼지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양돈농가는 키울수록 손해를 보는 셈인데 사료 불매운동 움직임도 보입니다.

류호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린 돼지 3백 마리가 힘없이 누워 있습니다.

텅 빈 사료통, 이틀째 사료를 못 먹였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외상으로 사료를 가져와 먹여 왔지만 외상 빚이 2억 원어치가 넘자 이마저 끊긴 겁니다.

<인터뷰> 김재경(양돈 농가) : "저희가 돼지를 다 팔아서 사료 값을 주고 싶은데 여기 있는 돼지 다 팔아서 사료 값 줘도 사료 값이 다 안 갚아져요."

일주일에 두 번씩 사료 4∼500포대가 쌓여 있던 이 창고는 사료 값 부담 때문에 제때 구매를 못 하면서 이처럼 텅 비었습니다.

생산비의 60%를 차지하는 돼지 사료 값의 킬로그램 당 추이를 보니 최근 7년간 80% 올랐습니다.

반면, 돼지고기 도매 값은 킬로그램당 3천6백 원에서 3천2백 원으로 떨어졌습니다.

킬로그램당 생산비 4천 원에도 못 미쳐 120킬로그램짜리 한 마리 돼지를 팔 경우, 농가는 10만 원의 손해가 나고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김용모(양돈 농가) : "이거(돼지) 갖고 있으면 내가 적자 보는 거야. 우리 대한민국의 양돈 사업이 이대로 가면 전부 망합니다."

사료업체들은 올 들어 1분기에 3%에서 최대 20%까지 사료 값을 올렸습니다.

원자재 값 때문입니다.

<녹취> 사료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사료) 원료 대부분 외국에서 나고, 곡물이나 이런 게 작년 6월달부터 아주 최고치를 치달았잖아요. 그 때 수입했던 물량이 지금 들어오는 거라서"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사료 불매 운동까지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료 값 80% 뛸 때 고기 값 ‘뚝’…‘굶는 돼지들’
    • 입력 2013-05-13 21:38:56
    • 수정2013-05-13 22:02:20
    뉴스 9
<앵커 멘트>

돼지고기값은 최근 7년 평균 떨어졌는데 사료비는 80%나 올라 급기야 굶는 돼지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양돈농가는 키울수록 손해를 보는 셈인데 사료 불매운동 움직임도 보입니다.

류호성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린 돼지 3백 마리가 힘없이 누워 있습니다.

텅 빈 사료통, 이틀째 사료를 못 먹였기 때문입니다.

그동안 외상으로 사료를 가져와 먹여 왔지만 외상 빚이 2억 원어치가 넘자 이마저 끊긴 겁니다.

<인터뷰> 김재경(양돈 농가) : "저희가 돼지를 다 팔아서 사료 값을 주고 싶은데 여기 있는 돼지 다 팔아서 사료 값 줘도 사료 값이 다 안 갚아져요."

일주일에 두 번씩 사료 4∼500포대가 쌓여 있던 이 창고는 사료 값 부담 때문에 제때 구매를 못 하면서 이처럼 텅 비었습니다.

생산비의 60%를 차지하는 돼지 사료 값의 킬로그램 당 추이를 보니 최근 7년간 80% 올랐습니다.

반면, 돼지고기 도매 값은 킬로그램당 3천6백 원에서 3천2백 원으로 떨어졌습니다.

킬로그램당 생산비 4천 원에도 못 미쳐 120킬로그램짜리 한 마리 돼지를 팔 경우, 농가는 10만 원의 손해가 나고 있다는 겁니다.

<인터뷰> 김용모(양돈 농가) : "이거(돼지) 갖고 있으면 내가 적자 보는 거야. 우리 대한민국의 양돈 사업이 이대로 가면 전부 망합니다."

사료업체들은 올 들어 1분기에 3%에서 최대 20%까지 사료 값을 올렸습니다.

원자재 값 때문입니다.

<녹취> 사료업체 관계자(음성변조) : "(사료) 원료 대부분 외국에서 나고, 곡물이나 이런 게 작년 6월달부터 아주 최고치를 치달았잖아요. 그 때 수입했던 물량이 지금 들어오는 거라서"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사료 불매 운동까지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KBS 뉴스 류호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