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징용 피해자’ 日 기업 첫 ‘배상 의향’

입력 2013.08.19 (06:35) 수정 2013.08.19 (07:4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서울고법이 일제 때 한국인 강제 징용 피해자에게 배상 판결을 내린 것에 대해 일본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신일철 스미토모금속'이 배상 의향을 밝혔습니다.

'미쓰비시'와 '후지코시' 등 징용 배상 소송이 걸려 있는 다른 일본 기업에도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 이재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1943년 18살의 나이에 강제 징용된 여운택 씨 등 4명은 지난달 서울고법으로부터 1인당 1억원 씩의 배상 판결을 받았습니다.

<녹취> 여운택(강제 징용 피해자) : "염려와 힘을 써주신 여러분께 백 번 감사를 드립니다."

당시 이에 불복해 즉각 대법원에 상고했던 신일철 스미토모 금속이 일본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배상 의향을 밝혔습니다.

대법원에서 판결이 확정되면 배상금을 지급하겠다는 것입니다.

신일철은, 포스코 지분 5%를 갖고 있어 재산을 가압류해 강제 집행할 경우 외교적 갈등도 빚어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을 통해 강제 징용 배상은 이미 끝났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부산고법도 최근 강제 징용 피해자 5명의 유가족이 미쓰비시 중공업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1인당 8천만 원씩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린 바 있습니다.

현재 생존해 있는 강제 징용 피해자는 모두 2만 5천여 명.

현재 제기된 소송만 4건이어서 앞으로 강제 징용관련 일본 기업들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재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강제 징용 피해자’ 日 기업 첫 ‘배상 의향’
    • 입력 2013-08-19 06:37:27
    • 수정2013-08-19 07:48:26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서울고법이 일제 때 한국인 강제 징용 피해자에게 배상 판결을 내린 것에 대해 일본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신일철 스미토모금속'이 배상 의향을 밝혔습니다.

'미쓰비시'와 '후지코시' 등 징용 배상 소송이 걸려 있는 다른 일본 기업에도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 이재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1943년 18살의 나이에 강제 징용된 여운택 씨 등 4명은 지난달 서울고법으로부터 1인당 1억원 씩의 배상 판결을 받았습니다.

<녹취> 여운택(강제 징용 피해자) : "염려와 힘을 써주신 여러분께 백 번 감사를 드립니다."

당시 이에 불복해 즉각 대법원에 상고했던 신일철 스미토모 금속이 일본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배상 의향을 밝혔습니다.

대법원에서 판결이 확정되면 배상금을 지급하겠다는 것입니다.

신일철은, 포스코 지분 5%를 갖고 있어 재산을 가압류해 강제 집행할 경우 외교적 갈등도 빚어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을 통해 강제 징용 배상은 이미 끝났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부산고법도 최근 강제 징용 피해자 5명의 유가족이 미쓰비시 중공업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1인당 8천만 원씩 지급하라는 판결을 내린 바 있습니다.

현재 생존해 있는 강제 징용 피해자는 모두 2만 5천여 명.

현재 제기된 소송만 4건이어서 앞으로 강제 징용관련 일본 기업들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습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이재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