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사, ‘비싼 LTE’로 유도…3G 사용자는 ‘찬밥’
입력 2013.08.29 (21:18)
수정 2013.08.29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이동통신사들이 LTE경쟁에 돌입해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한 3G휴대전화는 아예 신규가입도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박경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내 한 휴대전화 판매점. 3G 휴대전화를 개통하려 하자, LTE가 좋다며 가입을 유도합니다.
<녹취> A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3G 모델은...그런데 왜 하시려는 건데요. 3G 폰은 보조금이 없어요, 비싸게 구입하셔야 해요."
다른 매장은 아예 3G 신규 가입은 받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B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아예 폰 자체가 없는 거예요. LTE 밖에 안 나와요."
3G 폰은 LTE보다는 느려도, 인터넷과 영상통화 서비스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고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LTE에선 10만 원이 넘어야 가능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경우, 3G는 5만 원대부터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소연(3G 사용자) : "지금까지 3G로 계속 쓰면서 크게 불편한 점이나 그런 거를 느끼지 못해서 그렇게 바꿔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안 해 봤어요."
지난 6월 기준으로 3G 사용자는 2210만여 명, LTE 가입자 2297만여 명과 엇비슷합니다.
그러나 이동통신사들은 소비자 편익은 무시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3G보다는 비싼 LTE 신규가입자를 늘려야 수익성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주홍(녹색소비자연대 국장) : "3G로 내도 아무런 기술적인 문제가 없는데 자사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선택권이 제한되고 있기때문에."
이동통신사들이 LTE 가입자를 늘리면 늘릴수록 가계의 통신요금 부담을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요즘 이동통신사들이 LTE경쟁에 돌입해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한 3G휴대전화는 아예 신규가입도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박경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내 한 휴대전화 판매점. 3G 휴대전화를 개통하려 하자, LTE가 좋다며 가입을 유도합니다.
<녹취> A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3G 모델은...그런데 왜 하시려는 건데요. 3G 폰은 보조금이 없어요, 비싸게 구입하셔야 해요."
다른 매장은 아예 3G 신규 가입은 받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B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아예 폰 자체가 없는 거예요. LTE 밖에 안 나와요."
3G 폰은 LTE보다는 느려도, 인터넷과 영상통화 서비스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고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LTE에선 10만 원이 넘어야 가능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경우, 3G는 5만 원대부터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소연(3G 사용자) : "지금까지 3G로 계속 쓰면서 크게 불편한 점이나 그런 거를 느끼지 못해서 그렇게 바꿔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안 해 봤어요."
지난 6월 기준으로 3G 사용자는 2210만여 명, LTE 가입자 2297만여 명과 엇비슷합니다.
그러나 이동통신사들은 소비자 편익은 무시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3G보다는 비싼 LTE 신규가입자를 늘려야 수익성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주홍(녹색소비자연대 국장) : "3G로 내도 아무런 기술적인 문제가 없는데 자사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선택권이 제한되고 있기때문에."
이동통신사들이 LTE 가입자를 늘리면 늘릴수록 가계의 통신요금 부담을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통사, ‘비싼 LTE’로 유도…3G 사용자는 ‘찬밥’
-
- 입력 2013-08-29 21:18:40
- 수정2013-08-29 22:05:52

<앵커 멘트>
요즘 이동통신사들이 LTE경쟁에 돌입해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한 3G휴대전화는 아예 신규가입도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박경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내 한 휴대전화 판매점. 3G 휴대전화를 개통하려 하자, LTE가 좋다며 가입을 유도합니다.
<녹취> A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3G 모델은...그런데 왜 하시려는 건데요. 3G 폰은 보조금이 없어요, 비싸게 구입하셔야 해요."
다른 매장은 아예 3G 신규 가입은 받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B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아예 폰 자체가 없는 거예요. LTE 밖에 안 나와요."
3G 폰은 LTE보다는 느려도, 인터넷과 영상통화 서비스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고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LTE에선 10만 원이 넘어야 가능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경우, 3G는 5만 원대부터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소연(3G 사용자) : "지금까지 3G로 계속 쓰면서 크게 불편한 점이나 그런 거를 느끼지 못해서 그렇게 바꿔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안 해 봤어요."
지난 6월 기준으로 3G 사용자는 2210만여 명, LTE 가입자 2297만여 명과 엇비슷합니다.
그러나 이동통신사들은 소비자 편익은 무시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3G보다는 비싼 LTE 신규가입자를 늘려야 수익성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주홍(녹색소비자연대 국장) : "3G로 내도 아무런 기술적인 문제가 없는데 자사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선택권이 제한되고 있기때문에."
이동통신사들이 LTE 가입자를 늘리면 늘릴수록 가계의 통신요금 부담을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요즘 이동통신사들이 LTE경쟁에 돌입해 상대적으로 요금이 저렴한 3G휴대전화는 아예 신규가입도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박경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시내 한 휴대전화 판매점. 3G 휴대전화를 개통하려 하자, LTE가 좋다며 가입을 유도합니다.
<녹취> A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3G 모델은...그런데 왜 하시려는 건데요. 3G 폰은 보조금이 없어요, 비싸게 구입하셔야 해요."
다른 매장은 아예 3G 신규 가입은 받지 않고 있습니다.
<녹취> B판매점 직원(음성변조) : "아예 폰 자체가 없는 거예요. LTE 밖에 안 나와요."
3G 폰은 LTE보다는 느려도, 인터넷과 영상통화 서비스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고 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LTE에선 10만 원이 넘어야 가능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경우, 3G는 5만 원대부터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소연(3G 사용자) : "지금까지 3G로 계속 쓰면서 크게 불편한 점이나 그런 거를 느끼지 못해서 그렇게 바꿔야겠다는 생각을 많이 안 해 봤어요."
지난 6월 기준으로 3G 사용자는 2210만여 명, LTE 가입자 2297만여 명과 엇비슷합니다.
그러나 이동통신사들은 소비자 편익은 무시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3G보다는 비싼 LTE 신규가입자를 늘려야 수익성이 좋아지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주홍(녹색소비자연대 국장) : "3G로 내도 아무런 기술적인 문제가 없는데 자사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소비자의 선택권이 제한되고 있기때문에."
이동통신사들이 LTE 가입자를 늘리면 늘릴수록 가계의 통신요금 부담을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
박경호 기자 4right@kbs.co.kr
박경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