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회의록 삭제 경위 파악중…관련자 다음주 소환
입력 2013.10.03 (20:59)
수정 2013.10.04 (09: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10월 3일 개천절 KBS 9시 뉴습니다.
지난 2007년 남북정상회의록 폐기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이 회의록 초본이 왜 삭제됐는지, 그 경위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음주부터 참여정부 관련자들의 소환이 잇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김시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현재까지 확인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3개 가운데 삭제된 것은 회의록 초본입니다.
검찰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봉하마을로 가져갔다가 반납한 '봉하 이지원' 시스템에서 삭제된 흔적을 찾아 초본을 복원해 냈습니다.
검찰은 회의록 초본 삭제가 사실상 노 전 대통령의 지시로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노 전 대통령이 회의록을 청와대에 두지 말고 국정원에서 관리하라고 지시했다'는 조명균 전 비서관의 진술이 근거입니다.
하지만 왜, 정상회담 회의록 초본만 삭제했는지는 여전히 의문입니다.
초본은 남북정상회담에서 실제 오간 대화 내용과 가장 유사할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
때문에 뭔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민감한 표현들이 담겨 있어서 이를 삭제한 것 아니냐는 추측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검찰은 다음 주 초부터 참여정부 인사들을 불러 누가 삭제를 지시했고, 왜 국가기록원에 이관하지 않았는지를 집중 조사할 예정입니다.
검찰은 특히 이번 사건의 핵심인 조명균 전 비서관을 여러차례 불러 경위를 조사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10월 3일 개천절 KBS 9시 뉴습니다.
지난 2007년 남북정상회의록 폐기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이 회의록 초본이 왜 삭제됐는지, 그 경위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음주부터 참여정부 관련자들의 소환이 잇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김시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현재까지 확인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3개 가운데 삭제된 것은 회의록 초본입니다.
검찰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봉하마을로 가져갔다가 반납한 '봉하 이지원' 시스템에서 삭제된 흔적을 찾아 초본을 복원해 냈습니다.
검찰은 회의록 초본 삭제가 사실상 노 전 대통령의 지시로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노 전 대통령이 회의록을 청와대에 두지 말고 국정원에서 관리하라고 지시했다'는 조명균 전 비서관의 진술이 근거입니다.
하지만 왜, 정상회담 회의록 초본만 삭제했는지는 여전히 의문입니다.
초본은 남북정상회담에서 실제 오간 대화 내용과 가장 유사할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
때문에 뭔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민감한 표현들이 담겨 있어서 이를 삭제한 것 아니냐는 추측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검찰은 다음 주 초부터 참여정부 인사들을 불러 누가 삭제를 지시했고, 왜 국가기록원에 이관하지 않았는지를 집중 조사할 예정입니다.
검찰은 특히 이번 사건의 핵심인 조명균 전 비서관을 여러차례 불러 경위를 조사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檢, 회의록 삭제 경위 파악중…관련자 다음주 소환
-
- 입력 2013-10-03 21:01:01
- 수정2013-10-04 09:36:42

<앵커 멘트>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10월 3일 개천절 KBS 9시 뉴습니다.
지난 2007년 남북정상회의록 폐기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이 회의록 초본이 왜 삭제됐는지, 그 경위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음주부터 참여정부 관련자들의 소환이 잇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김시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현재까지 확인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3개 가운데 삭제된 것은 회의록 초본입니다.
검찰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봉하마을로 가져갔다가 반납한 '봉하 이지원' 시스템에서 삭제된 흔적을 찾아 초본을 복원해 냈습니다.
검찰은 회의록 초본 삭제가 사실상 노 전 대통령의 지시로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노 전 대통령이 회의록을 청와대에 두지 말고 국정원에서 관리하라고 지시했다'는 조명균 전 비서관의 진술이 근거입니다.
하지만 왜, 정상회담 회의록 초본만 삭제했는지는 여전히 의문입니다.
초본은 남북정상회담에서 실제 오간 대화 내용과 가장 유사할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
때문에 뭔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민감한 표현들이 담겨 있어서 이를 삭제한 것 아니냐는 추측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검찰은 다음 주 초부터 참여정부 인사들을 불러 누가 삭제를 지시했고, 왜 국가기록원에 이관하지 않았는지를 집중 조사할 예정입니다.
검찰은 특히 이번 사건의 핵심인 조명균 전 비서관을 여러차례 불러 경위를 조사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10월 3일 개천절 KBS 9시 뉴습니다.
지난 2007년 남북정상회의록 폐기 의혹 사건을 수사중인 검찰이 회의록 초본이 왜 삭제됐는지, 그 경위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음주부터 참여정부 관련자들의 소환이 잇따를 것으로 보입니다.
김시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현재까지 확인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3개 가운데 삭제된 것은 회의록 초본입니다.
검찰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봉하마을로 가져갔다가 반납한 '봉하 이지원' 시스템에서 삭제된 흔적을 찾아 초본을 복원해 냈습니다.
검찰은 회의록 초본 삭제가 사실상 노 전 대통령의 지시로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노 전 대통령이 회의록을 청와대에 두지 말고 국정원에서 관리하라고 지시했다'는 조명균 전 비서관의 진술이 근거입니다.
하지만 왜, 정상회담 회의록 초본만 삭제했는지는 여전히 의문입니다.
초본은 남북정상회담에서 실제 오간 대화 내용과 가장 유사할 것으로 추정되는 상황.
때문에 뭔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민감한 표현들이 담겨 있어서 이를 삭제한 것 아니냐는 추측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검찰은 다음 주 초부터 참여정부 인사들을 불러 누가 삭제를 지시했고, 왜 국가기록원에 이관하지 않았는지를 집중 조사할 예정입니다.
검찰은 특히 이번 사건의 핵심인 조명균 전 비서관을 여러차례 불러 경위를 조사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
-
김시원 기자 siwon@kbs.co.kr
김시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남북정상회담 ‘NLL 회의록’ 공방 재점화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