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겨울철이면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납니다.
일조량이 부족한 때문인데 특히 여성들에게서 그 증상이 더 심하다고 합니다.
천희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몸이 계속 늘어지고 모든 일에 의욕이 없어 병원을 찾은 환자입니다.
밤마다 불면증도 심해서 생활이 어려울 정도입니다.
⊙우울증 환자: 내 자신이 비참한 생각이 들어요.
내가 꼭 살아야 하나 (싶어요.)
⊙기자: 3년째 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는 이 환자는 겨울이면 증상이 더 심해진다고 호소합니다.
⊙우울증 환자: 사람 만나기 싫고, 말하는 것도 피곤하고 귀찮아요.
⊙기자: 고려대 안암병원 우울증센터는 겨울에 우울증 환자가 다른 계절보다 20% 정도 많다고 밝혔습니다.
겨울철 우울증의 주된 이유는 일조량 부족입니다.
겨울에는 봄보다 일조시간이 30% 이상 짧기 때문에 일조량이 그만큼 적습니다.
일조시간이 부족하면 우리 몸에서 밤낮의 길이를 감지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이 더 많이 분비됩니다.
⊙이민수(고대안암병원 우울증센터): 멜라토닌이 많아지면 낮을 밤으로 인식하게 되죠.
하니까 자고 싶고 의욕도 떨어지고 행동도 적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것이 심해지면 우울증상이 되죠.
⊙기자: 겨울철 우울증은 봄이 되면 자연 치유되기도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광선치료나 약물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낮에는 밖에서 햇볕을 쪼이며 산책이나 운동을 하는 것이 겨울철 우울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KBS뉴스 천희성입니다.
일조량이 부족한 때문인데 특히 여성들에게서 그 증상이 더 심하다고 합니다.
천희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몸이 계속 늘어지고 모든 일에 의욕이 없어 병원을 찾은 환자입니다.
밤마다 불면증도 심해서 생활이 어려울 정도입니다.
⊙우울증 환자: 내 자신이 비참한 생각이 들어요.
내가 꼭 살아야 하나 (싶어요.)
⊙기자: 3년째 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는 이 환자는 겨울이면 증상이 더 심해진다고 호소합니다.
⊙우울증 환자: 사람 만나기 싫고, 말하는 것도 피곤하고 귀찮아요.
⊙기자: 고려대 안암병원 우울증센터는 겨울에 우울증 환자가 다른 계절보다 20% 정도 많다고 밝혔습니다.
겨울철 우울증의 주된 이유는 일조량 부족입니다.
겨울에는 봄보다 일조시간이 30% 이상 짧기 때문에 일조량이 그만큼 적습니다.
일조시간이 부족하면 우리 몸에서 밤낮의 길이를 감지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이 더 많이 분비됩니다.
⊙이민수(고대안암병원 우울증센터): 멜라토닌이 많아지면 낮을 밤으로 인식하게 되죠.
하니까 자고 싶고 의욕도 떨어지고 행동도 적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것이 심해지면 우울증상이 되죠.
⊙기자: 겨울철 우울증은 봄이 되면 자연 치유되기도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광선치료나 약물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낮에는 밖에서 햇볕을 쪼이며 산책이나 운동을 하는 것이 겨울철 우울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KBS뉴스 천희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겨울철, 우울증 늘어나
-
- 입력 2002-01-1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겨울철이면 우울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납니다.
일조량이 부족한 때문인데 특히 여성들에게서 그 증상이 더 심하다고 합니다.
천희성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몸이 계속 늘어지고 모든 일에 의욕이 없어 병원을 찾은 환자입니다.
밤마다 불면증도 심해서 생활이 어려울 정도입니다.
⊙우울증 환자: 내 자신이 비참한 생각이 들어요.
내가 꼭 살아야 하나 (싶어요.)
⊙기자: 3년째 우울증 치료를 받고 있는 이 환자는 겨울이면 증상이 더 심해진다고 호소합니다.
⊙우울증 환자: 사람 만나기 싫고, 말하는 것도 피곤하고 귀찮아요.
⊙기자: 고려대 안암병원 우울증센터는 겨울에 우울증 환자가 다른 계절보다 20% 정도 많다고 밝혔습니다.
겨울철 우울증의 주된 이유는 일조량 부족입니다.
겨울에는 봄보다 일조시간이 30% 이상 짧기 때문에 일조량이 그만큼 적습니다.
일조시간이 부족하면 우리 몸에서 밤낮의 길이를 감지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이 더 많이 분비됩니다.
⊙이민수(고대안암병원 우울증센터): 멜라토닌이 많아지면 낮을 밤으로 인식하게 되죠.
하니까 자고 싶고 의욕도 떨어지고 행동도 적어지게 됩니다.
이러한 것이 심해지면 우울증상이 되죠.
⊙기자: 겨울철 우울증은 봄이 되면 자연 치유되기도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광선치료나 약물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고 낮에는 밖에서 햇볕을 쪼이며 산책이나 운동을 하는 것이 겨울철 우울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KBS뉴스 천희성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