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4명 가운데 1명 ‘스마트폰 중독’
입력 2014.03.24 (19:07)
수정 2014.03.24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 청소년 4명 가운데 1명 꼴로 스마트폰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제는 인터넷보다 스마트폰 중독이 더 걱정인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 고등학생은 최근 스마트폰 게임 아이템을 몰래 사려다 부모와 싸운 뒤 상담소를 찾았습니다.
<녹취> 이○○(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 "조금씩 훔치다보니 걸렸죠. 화를 굉장히 많이 내시더라고요. 친구들도 다 하는데 뭐가 그렇게 큰 문제가 되나 싶고"
스마트폰에 빠져 자신의 잘못을 판단하지 못하는 '중독' 상황입니다.
정부의 실태 조사결과, 이 군처럼 스마트폰에 중독된 청소년이 25.5%로, 전년에 비해 7.1% 포인트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하거나 습관적으로 과다사용하는 잠재적 위험군이 15.7%에서 23.1%로 크게 늘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은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뿐 아니라 간혹 폭력과 돌발 행위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인터뷰> 이은실(정보화진흥원 중독상담센터 책임연구원) : "내 생활에 방해받지 않는 시간을 설정해주고 사용한다는 것, 스마트보안관이라든지 자기가 스스로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앱을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 되겠죠."
정부도 연령별 맞춤형 예방 교육과 전문 상담 치료 인력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중독 청소년을 위한 기숙형 치료 기관 신설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정부는 현재 인터넷 게임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게임 셧다운제를 스마트폰 모바일 게임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우리나라 청소년 4명 가운데 1명 꼴로 스마트폰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제는 인터넷보다 스마트폰 중독이 더 걱정인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 고등학생은 최근 스마트폰 게임 아이템을 몰래 사려다 부모와 싸운 뒤 상담소를 찾았습니다.
<녹취> 이○○(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 "조금씩 훔치다보니 걸렸죠. 화를 굉장히 많이 내시더라고요. 친구들도 다 하는데 뭐가 그렇게 큰 문제가 되나 싶고"
스마트폰에 빠져 자신의 잘못을 판단하지 못하는 '중독' 상황입니다.
정부의 실태 조사결과, 이 군처럼 스마트폰에 중독된 청소년이 25.5%로, 전년에 비해 7.1% 포인트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하거나 습관적으로 과다사용하는 잠재적 위험군이 15.7%에서 23.1%로 크게 늘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은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뿐 아니라 간혹 폭력과 돌발 행위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인터뷰> 이은실(정보화진흥원 중독상담센터 책임연구원) : "내 생활에 방해받지 않는 시간을 설정해주고 사용한다는 것, 스마트보안관이라든지 자기가 스스로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앱을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 되겠죠."
정부도 연령별 맞춤형 예방 교육과 전문 상담 치료 인력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중독 청소년을 위한 기숙형 치료 기관 신설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정부는 현재 인터넷 게임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게임 셧다운제를 스마트폰 모바일 게임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청소년 4명 가운데 1명 ‘스마트폰 중독’
-
- 입력 2014-03-24 19:10:01
- 수정2014-03-24 22:12:43

<앵커 멘트>
우리나라 청소년 4명 가운데 1명 꼴로 스마트폰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제는 인터넷보다 스마트폰 중독이 더 걱정인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 고등학생은 최근 스마트폰 게임 아이템을 몰래 사려다 부모와 싸운 뒤 상담소를 찾았습니다.
<녹취> 이○○(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 "조금씩 훔치다보니 걸렸죠. 화를 굉장히 많이 내시더라고요. 친구들도 다 하는데 뭐가 그렇게 큰 문제가 되나 싶고"
스마트폰에 빠져 자신의 잘못을 판단하지 못하는 '중독' 상황입니다.
정부의 실태 조사결과, 이 군처럼 스마트폰에 중독된 청소년이 25.5%로, 전년에 비해 7.1% 포인트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하거나 습관적으로 과다사용하는 잠재적 위험군이 15.7%에서 23.1%로 크게 늘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은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뿐 아니라 간혹 폭력과 돌발 행위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인터뷰> 이은실(정보화진흥원 중독상담센터 책임연구원) : "내 생활에 방해받지 않는 시간을 설정해주고 사용한다는 것, 스마트보안관이라든지 자기가 스스로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앱을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 되겠죠."
정부도 연령별 맞춤형 예방 교육과 전문 상담 치료 인력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중독 청소년을 위한 기숙형 치료 기관 신설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정부는 현재 인터넷 게임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게임 셧다운제를 스마트폰 모바일 게임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우리나라 청소년 4명 가운데 1명 꼴로 스마트폰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제는 인터넷보다 스마트폰 중독이 더 걱정인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박경호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이 고등학생은 최근 스마트폰 게임 아이템을 몰래 사려다 부모와 싸운 뒤 상담소를 찾았습니다.
<녹취> 이○○(스마트폰 중독 청소년) : "조금씩 훔치다보니 걸렸죠. 화를 굉장히 많이 내시더라고요. 친구들도 다 하는데 뭐가 그렇게 큰 문제가 되나 싶고"
스마트폰에 빠져 자신의 잘못을 판단하지 못하는 '중독' 상황입니다.
정부의 실태 조사결과, 이 군처럼 스마트폰에 중독된 청소년이 25.5%로, 전년에 비해 7.1% 포인트나 증가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이 없으면 불안하거나 습관적으로 과다사용하는 잠재적 위험군이 15.7%에서 23.1%로 크게 늘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은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뿐 아니라 간혹 폭력과 돌발 행위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인터뷰> 이은실(정보화진흥원 중독상담센터 책임연구원) : "내 생활에 방해받지 않는 시간을 설정해주고 사용한다는 것, 스마트보안관이라든지 자기가 스스로 조절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앱을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 되겠죠."
정부도 연령별 맞춤형 예방 교육과 전문 상담 치료 인력을 늘리기로 했습니다.
또 중독 청소년을 위한 기숙형 치료 기관 신설 등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정부는 현재 인터넷 게임을 대상으로 시행 중인 게임 셧다운제를 스마트폰 모바일 게임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
박경호 기자 4right@kbs.co.kr
박경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