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대책본부, 실종자 가족 요구 대부분 수용
입력 2014.04.25 (21:13)
수정 2014.04.25 (22: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화에서 실종자 가족들이 요구한건 민간 잠수사의 참여와 다이빙 벨 투입이었습니다.
사고대책본부는 가족들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했습니다.
최준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실종자 가족들의 요구는 크게 두 가지.
먼저, 민간 잠수사를 사고해역에 투입해달라는 겁니다.
지금껏 민간 잠수사의 투입을 제한한 건 구조 실적이 미미하고, 수색 작업에 지장이 있다는 게 사고대책본부의 설명.
하지만, 실종자 가족들은 청해진 해운과 계약한 민간 구난 업체가 수색에 참여하고 있는 만큼 다른 민간 잠수사도 작업에 투입하라고 요구했고, 사고대책본부는 이를 수용했습니다.
<녹취> 고명석(해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현장 상황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현장에서 판단해서..."
실종자 가족들은 다이빙 벨의 투입도 강력하게 주장했습니다.
청해진해운과 계약한 구난 업체가 다이빙벨을 가져온 게 확인된 만큼 지난 21일 사고해역에 도착했던 또 다른 민간 업체의 다이빙벨도 투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결국, 다이빙벨은 실종자 가족들의 요구에 따라 사고해역에 도착했습니다.
<녹취> 고명석(해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가족분들의 의사를 존중해서 현장에서 (다이빙벨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사고대책본부는 또, 수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족들도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최준혁입니다.
대화에서 실종자 가족들이 요구한건 민간 잠수사의 참여와 다이빙 벨 투입이었습니다.
사고대책본부는 가족들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했습니다.
최준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실종자 가족들의 요구는 크게 두 가지.
먼저, 민간 잠수사를 사고해역에 투입해달라는 겁니다.
지금껏 민간 잠수사의 투입을 제한한 건 구조 실적이 미미하고, 수색 작업에 지장이 있다는 게 사고대책본부의 설명.
하지만, 실종자 가족들은 청해진 해운과 계약한 민간 구난 업체가 수색에 참여하고 있는 만큼 다른 민간 잠수사도 작업에 투입하라고 요구했고, 사고대책본부는 이를 수용했습니다.
<녹취> 고명석(해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현장 상황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현장에서 판단해서..."
실종자 가족들은 다이빙 벨의 투입도 강력하게 주장했습니다.
청해진해운과 계약한 구난 업체가 다이빙벨을 가져온 게 확인된 만큼 지난 21일 사고해역에 도착했던 또 다른 민간 업체의 다이빙벨도 투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결국, 다이빙벨은 실종자 가족들의 요구에 따라 사고해역에 도착했습니다.
<녹취> 고명석(해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가족분들의 의사를 존중해서 현장에서 (다이빙벨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사고대책본부는 또, 수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족들도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최준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고대책본부, 실종자 가족 요구 대부분 수용
-
- 입력 2014-04-25 21:15:13
- 수정2014-04-25 22:33:51

<앵커 멘트>
대화에서 실종자 가족들이 요구한건 민간 잠수사의 참여와 다이빙 벨 투입이었습니다.
사고대책본부는 가족들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했습니다.
최준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실종자 가족들의 요구는 크게 두 가지.
먼저, 민간 잠수사를 사고해역에 투입해달라는 겁니다.
지금껏 민간 잠수사의 투입을 제한한 건 구조 실적이 미미하고, 수색 작업에 지장이 있다는 게 사고대책본부의 설명.
하지만, 실종자 가족들은 청해진 해운과 계약한 민간 구난 업체가 수색에 참여하고 있는 만큼 다른 민간 잠수사도 작업에 투입하라고 요구했고, 사고대책본부는 이를 수용했습니다.
<녹취> 고명석(해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현장 상황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현장에서 판단해서..."
실종자 가족들은 다이빙 벨의 투입도 강력하게 주장했습니다.
청해진해운과 계약한 구난 업체가 다이빙벨을 가져온 게 확인된 만큼 지난 21일 사고해역에 도착했던 또 다른 민간 업체의 다이빙벨도 투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결국, 다이빙벨은 실종자 가족들의 요구에 따라 사고해역에 도착했습니다.
<녹취> 고명석(해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가족분들의 의사를 존중해서 현장에서 (다이빙벨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사고대책본부는 또, 수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족들도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최준혁입니다.
대화에서 실종자 가족들이 요구한건 민간 잠수사의 참여와 다이빙 벨 투입이었습니다.
사고대책본부는 가족들의 요구를 대부분 수용했습니다.
최준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실종자 가족들의 요구는 크게 두 가지.
먼저, 민간 잠수사를 사고해역에 투입해달라는 겁니다.
지금껏 민간 잠수사의 투입을 제한한 건 구조 실적이 미미하고, 수색 작업에 지장이 있다는 게 사고대책본부의 설명.
하지만, 실종자 가족들은 청해진 해운과 계약한 민간 구난 업체가 수색에 참여하고 있는 만큼 다른 민간 잠수사도 작업에 투입하라고 요구했고, 사고대책본부는 이를 수용했습니다.
<녹취> 고명석(해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현장 상황을 감안해야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현장에서 판단해서..."
실종자 가족들은 다이빙 벨의 투입도 강력하게 주장했습니다.
청해진해운과 계약한 구난 업체가 다이빙벨을 가져온 게 확인된 만큼 지난 21일 사고해역에 도착했던 또 다른 민간 업체의 다이빙벨도 투입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겁니다.
결국, 다이빙벨은 실종자 가족들의 요구에 따라 사고해역에 도착했습니다.
<녹취> 고명석(해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가족분들의 의사를 존중해서 현장에서 (다이빙벨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사고대책본부는 또, 수색 상황에 대한 정보를 가족들도 실시간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KBS 뉴스 최준혁입니다.
-
-
최준혁 기자 chunn@kbs.co.kr
최준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세월호 ‘침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