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확대경] 소방직 반발…“지휘체계 일원화 필요”
입력 2014.06.09 (21:18)
수정 2014.06.09 (22: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안전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지만, 정작 시민 안전을 지키는 소방관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안전처 안에 집단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열악한 근무 환경의 소방관들은 대형 재난 발생시 효과적인 대처를 위해 지휘체계가 일원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고아름, 김성한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1년 사다리차에서 승강기가 추락해 소방관이 숨졌습니다.
문제의 사다리차, 사용연한을 4년이나 넘긴 장비였습니다.
사고 이후 정부는 오래된 장비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했지만, 현장 상황은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지난 97년 도입된 사다리차.
교체기간을 5년 이상 넘겼습니다.
아침마다 꼼꼼히 점검하고 있지만, 기계 오작동은 어쩔 수가 없습니다.
<녹취> 소방관 : "출동할 때마다 불안하죠. 내가 다치는 건 괜찮습니다. 일반인이 다치면..."
전국 5천6백여 대 소방차량 가운데 사용 연한이 지난 차량은 천2백여 대.
다섯 대 가운데 한 대꼴 입니다.
방화 두건이나 마스크 등 기본적인 보호 장비도 충분히 지급되지 않습니다.
지난달 말에는 "인터넷을 통해 사비로 안전 장갑을 구입한다"는 전직 소방관의 증언이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김재병(마포소방서장) : "지자체 예산에 의지하다 보니까 지역별로 편차가 커.. 서울,경기는 그나마 괜찮은데 다른 지역은 심각."
재난 현장에서 사투를 벌이는 소방관들.
낡은 소방장비로 안전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기자 멘트>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이런 열악한 소방 방재 기능을 혁신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관이 바로 국가안전처인데요.
육상과 해양 재난을 담당할 2개의 본부가 큰 축을 이루게 됩니다.
소방방재청의 기능은 육상재난을 담당할 소방본부로, 해체되는 해양경찰청의 안전과 구조기능은 해양안전본부로 이관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국가 안전처가 신설돼도 소방직의 경우 소방방재청에 소속된 3백여 명만 소방본부로 들어가고, 4만 여명의 소방관들은 여전히 지방 공무원으로 남는다는 겁니다.
이렇게 해서는 일원화된 재난 지휘 체계가 어렵다며 소방 공무원들이 집단반발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쨍쨍 내리쬐는 땡볕 아래 화재 진압복을 껴입은 소방대원이 1인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모든 소방공무원을 신설되는 국가안전처 소속의 국가 공무원으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하위직 소방공무원들의 모임인 소방발전협의회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진영(소방발전협의회장/군산소방서) : "현장 대응체계가 현장 중심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단일화된 조직이 필요하고, 현재 99% 지방직에 있는 현장 소방 공무원들을 국가직화 해야됩니다."
소방공무원이 국가직과 지방직으로 분리돼 대형 재난이 발생했을 때 일사불란한 대응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국가안전처 조직 안을 만들고 있는 안행부 직제개편위원회의 민간위원 7명 가운데 소방전문가는 한 명도 없습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일선 소방관들의 실무적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이종영(중앙대 법학전문대 교수) : "신속하게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조직 체계를 우리가 갖춰야 합니다. 단일화되고 지휘 계통이 하나로 통일된 조직 계통을 갖출 때 국가안전처는 성공할 수 있습니다."
재난이 대형화되고 유형도 다양해짐에 따라 전국적 단위로 재난에 대처할 수 있는 일원화된 지휘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게 방재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요즘 안전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지만, 정작 시민 안전을 지키는 소방관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안전처 안에 집단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열악한 근무 환경의 소방관들은 대형 재난 발생시 효과적인 대처를 위해 지휘체계가 일원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고아름, 김성한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1년 사다리차에서 승강기가 추락해 소방관이 숨졌습니다.
문제의 사다리차, 사용연한을 4년이나 넘긴 장비였습니다.
사고 이후 정부는 오래된 장비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했지만, 현장 상황은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지난 97년 도입된 사다리차.
교체기간을 5년 이상 넘겼습니다.
아침마다 꼼꼼히 점검하고 있지만, 기계 오작동은 어쩔 수가 없습니다.
<녹취> 소방관 : "출동할 때마다 불안하죠. 내가 다치는 건 괜찮습니다. 일반인이 다치면..."
전국 5천6백여 대 소방차량 가운데 사용 연한이 지난 차량은 천2백여 대.
다섯 대 가운데 한 대꼴 입니다.
방화 두건이나 마스크 등 기본적인 보호 장비도 충분히 지급되지 않습니다.
지난달 말에는 "인터넷을 통해 사비로 안전 장갑을 구입한다"는 전직 소방관의 증언이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김재병(마포소방서장) : "지자체 예산에 의지하다 보니까 지역별로 편차가 커.. 서울,경기는 그나마 괜찮은데 다른 지역은 심각."
재난 현장에서 사투를 벌이는 소방관들.
낡은 소방장비로 안전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기자 멘트>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이런 열악한 소방 방재 기능을 혁신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관이 바로 국가안전처인데요.
육상과 해양 재난을 담당할 2개의 본부가 큰 축을 이루게 됩니다.
소방방재청의 기능은 육상재난을 담당할 소방본부로, 해체되는 해양경찰청의 안전과 구조기능은 해양안전본부로 이관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국가 안전처가 신설돼도 소방직의 경우 소방방재청에 소속된 3백여 명만 소방본부로 들어가고, 4만 여명의 소방관들은 여전히 지방 공무원으로 남는다는 겁니다.
이렇게 해서는 일원화된 재난 지휘 체계가 어렵다며 소방 공무원들이 집단반발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쨍쨍 내리쬐는 땡볕 아래 화재 진압복을 껴입은 소방대원이 1인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모든 소방공무원을 신설되는 국가안전처 소속의 국가 공무원으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하위직 소방공무원들의 모임인 소방발전협의회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진영(소방발전협의회장/군산소방서) : "현장 대응체계가 현장 중심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단일화된 조직이 필요하고, 현재 99% 지방직에 있는 현장 소방 공무원들을 국가직화 해야됩니다."
소방공무원이 국가직과 지방직으로 분리돼 대형 재난이 발생했을 때 일사불란한 대응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국가안전처 조직 안을 만들고 있는 안행부 직제개편위원회의 민간위원 7명 가운데 소방전문가는 한 명도 없습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일선 소방관들의 실무적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이종영(중앙대 법학전문대 교수) : "신속하게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조직 체계를 우리가 갖춰야 합니다. 단일화되고 지휘 계통이 하나로 통일된 조직 계통을 갖출 때 국가안전처는 성공할 수 있습니다."
재난이 대형화되고 유형도 다양해짐에 따라 전국적 단위로 재난에 대처할 수 있는 일원화된 지휘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게 방재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9확대경] 소방직 반발…“지휘체계 일원화 필요”
-
- 입력 2014-06-09 21:19:19
- 수정2014-06-09 22:29:35
<앵커 멘트>
요즘 안전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지만, 정작 시민 안전을 지키는 소방관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안전처 안에 집단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열악한 근무 환경의 소방관들은 대형 재난 발생시 효과적인 대처를 위해 지휘체계가 일원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고아름, 김성한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1년 사다리차에서 승강기가 추락해 소방관이 숨졌습니다.
문제의 사다리차, 사용연한을 4년이나 넘긴 장비였습니다.
사고 이후 정부는 오래된 장비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했지만, 현장 상황은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지난 97년 도입된 사다리차.
교체기간을 5년 이상 넘겼습니다.
아침마다 꼼꼼히 점검하고 있지만, 기계 오작동은 어쩔 수가 없습니다.
<녹취> 소방관 : "출동할 때마다 불안하죠. 내가 다치는 건 괜찮습니다. 일반인이 다치면..."
전국 5천6백여 대 소방차량 가운데 사용 연한이 지난 차량은 천2백여 대.
다섯 대 가운데 한 대꼴 입니다.
방화 두건이나 마스크 등 기본적인 보호 장비도 충분히 지급되지 않습니다.
지난달 말에는 "인터넷을 통해 사비로 안전 장갑을 구입한다"는 전직 소방관의 증언이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김재병(마포소방서장) : "지자체 예산에 의지하다 보니까 지역별로 편차가 커.. 서울,경기는 그나마 괜찮은데 다른 지역은 심각."
재난 현장에서 사투를 벌이는 소방관들.
낡은 소방장비로 안전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기자 멘트>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이런 열악한 소방 방재 기능을 혁신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관이 바로 국가안전처인데요.
육상과 해양 재난을 담당할 2개의 본부가 큰 축을 이루게 됩니다.
소방방재청의 기능은 육상재난을 담당할 소방본부로, 해체되는 해양경찰청의 안전과 구조기능은 해양안전본부로 이관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국가 안전처가 신설돼도 소방직의 경우 소방방재청에 소속된 3백여 명만 소방본부로 들어가고, 4만 여명의 소방관들은 여전히 지방 공무원으로 남는다는 겁니다.
이렇게 해서는 일원화된 재난 지휘 체계가 어렵다며 소방 공무원들이 집단반발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쨍쨍 내리쬐는 땡볕 아래 화재 진압복을 껴입은 소방대원이 1인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모든 소방공무원을 신설되는 국가안전처 소속의 국가 공무원으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하위직 소방공무원들의 모임인 소방발전협의회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진영(소방발전협의회장/군산소방서) : "현장 대응체계가 현장 중심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단일화된 조직이 필요하고, 현재 99% 지방직에 있는 현장 소방 공무원들을 국가직화 해야됩니다."
소방공무원이 국가직과 지방직으로 분리돼 대형 재난이 발생했을 때 일사불란한 대응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국가안전처 조직 안을 만들고 있는 안행부 직제개편위원회의 민간위원 7명 가운데 소방전문가는 한 명도 없습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일선 소방관들의 실무적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이종영(중앙대 법학전문대 교수) : "신속하게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조직 체계를 우리가 갖춰야 합니다. 단일화되고 지휘 계통이 하나로 통일된 조직 계통을 갖출 때 국가안전처는 성공할 수 있습니다."
재난이 대형화되고 유형도 다양해짐에 따라 전국적 단위로 재난에 대처할 수 있는 일원화된 지휘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게 방재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요즘 안전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지만, 정작 시민 안전을 지키는 소방관들은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안전처 안에 집단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열악한 근무 환경의 소방관들은 대형 재난 발생시 효과적인 대처를 위해 지휘체계가 일원화돼야 한다고 주장했는데요.
고아름, 김성한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
<리포트>
지난 2011년 사다리차에서 승강기가 추락해 소방관이 숨졌습니다.
문제의 사다리차, 사용연한을 4년이나 넘긴 장비였습니다.
사고 이후 정부는 오래된 장비를 사용하지 말라고 권고했지만, 현장 상황은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지난 97년 도입된 사다리차.
교체기간을 5년 이상 넘겼습니다.
아침마다 꼼꼼히 점검하고 있지만, 기계 오작동은 어쩔 수가 없습니다.
<녹취> 소방관 : "출동할 때마다 불안하죠. 내가 다치는 건 괜찮습니다. 일반인이 다치면..."
전국 5천6백여 대 소방차량 가운데 사용 연한이 지난 차량은 천2백여 대.
다섯 대 가운데 한 대꼴 입니다.
방화 두건이나 마스크 등 기본적인 보호 장비도 충분히 지급되지 않습니다.
지난달 말에는 "인터넷을 통해 사비로 안전 장갑을 구입한다"는 전직 소방관의 증언이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인터뷰> 김재병(마포소방서장) : "지자체 예산에 의지하다 보니까 지역별로 편차가 커.. 서울,경기는 그나마 괜찮은데 다른 지역은 심각."
재난 현장에서 사투를 벌이는 소방관들.
낡은 소방장비로 안전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고아름입니다.
<기자 멘트>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이런 열악한 소방 방재 기능을 혁신하기 위해 설치되는 기관이 바로 국가안전처인데요.
육상과 해양 재난을 담당할 2개의 본부가 큰 축을 이루게 됩니다.
소방방재청의 기능은 육상재난을 담당할 소방본부로, 해체되는 해양경찰청의 안전과 구조기능은 해양안전본부로 이관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국가 안전처가 신설돼도 소방직의 경우 소방방재청에 소속된 3백여 명만 소방본부로 들어가고, 4만 여명의 소방관들은 여전히 지방 공무원으로 남는다는 겁니다.
이렇게 해서는 일원화된 재난 지휘 체계가 어렵다며 소방 공무원들이 집단반발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쨍쨍 내리쬐는 땡볕 아래 화재 진압복을 껴입은 소방대원이 1인 시위를 벌이고 있습니다.
모든 소방공무원을 신설되는 국가안전처 소속의 국가 공무원으로 전환시켜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하위직 소방공무원들의 모임인 소방발전협의회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고진영(소방발전협의회장/군산소방서) : "현장 대응체계가 현장 중심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단일화된 조직이 필요하고, 현재 99% 지방직에 있는 현장 소방 공무원들을 국가직화 해야됩니다."
소방공무원이 국가직과 지방직으로 분리돼 대형 재난이 발생했을 때 일사불란한 대응이 어렵다는 것입니다.
국가안전처 조직 안을 만들고 있는 안행부 직제개편위원회의 민간위원 7명 가운데 소방전문가는 한 명도 없습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일선 소방관들의 실무적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인터뷰> 이종영(중앙대 법학전문대 교수) : "신속하게 인명을 구조할 수 있는 조직 체계를 우리가 갖춰야 합니다. 단일화되고 지휘 계통이 하나로 통일된 조직 계통을 갖출 때 국가안전처는 성공할 수 있습니다."
재난이 대형화되고 유형도 다양해짐에 따라 전국적 단위로 재난에 대처할 수 있는 일원화된 지휘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게 방재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KBS 뉴스 김성한입니다.
-
-
김성한 기자 albatross@kbs.co.kr
김성한 기자의 기사 모음 -
고아름 기자 areum@kbs.co.kr
고아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세월호 ‘침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