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약값 최고 23배 차이, 보험적자 부추겨
입력 2002.02.02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건강보험 급여비에서 약값의 비중은 무려 34%나 됩니다.
그런데 이런 약값이 제조회사에 따라 최고 2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웅수 기자입니다.
⊙기자: 안질환에 쓰이는 안약의 보험 약값은 제약회사에 따라 세 가지입니다.
동일한 성분의 1cc 값은 최고 6986원에서 최저 300원까지로 무려 23배나 차이가 납니다.
한 위궤양 약값도 제품별로 9배에서 20배까지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이종일(약사): 이해가 안 되는 얘기고, 이것은 시정이 돼야 되겠죠.
도저히 이해는 할 수 없는 사항입니다, 이런 상황은...
⊙기자: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 재정적자가 심화되자 최근에 와서야 뒤늦게 약값의 거품 제거에 나섰습니다.
약값 편차가 이렇게 심한 348개 품목에 대해 약값 인하조치를 내린 것입니다.
보건복지부는 또 이 달 안으로 500개품목에 대한 약값의 실사를 끝내고 추가로 7% 정도의 약가 인하조치를 단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의약계에서는 약값 인하 조치가 사용빈도가 낮은 약들에 집중돼 재정 절감 효과가 얼마나 있을지에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입니다.
더구나 한 해 약값으로 지불되는 4조 5000억원 가운데 얼마가 부당 지급됐는지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상기(보건복지부 보험관리과장): 특정 의약품을 집중적으로 처방하는 요양기관이라든지 이런 데에는 실사하고 연계를 해 가지고 약값 사후 관리를 강화할 그런 계획으로 있습니다.
⊙기자: 약값을 심의 의결하는 건강보험재정 심의위원회가 최근 표류하면서 약값의 편차를 줄이는 일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웅수입니다.
그런데 이런 약값이 제조회사에 따라 최고 2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웅수 기자입니다.
⊙기자: 안질환에 쓰이는 안약의 보험 약값은 제약회사에 따라 세 가지입니다.
동일한 성분의 1cc 값은 최고 6986원에서 최저 300원까지로 무려 23배나 차이가 납니다.
한 위궤양 약값도 제품별로 9배에서 20배까지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이종일(약사): 이해가 안 되는 얘기고, 이것은 시정이 돼야 되겠죠.
도저히 이해는 할 수 없는 사항입니다, 이런 상황은...
⊙기자: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 재정적자가 심화되자 최근에 와서야 뒤늦게 약값의 거품 제거에 나섰습니다.
약값 편차가 이렇게 심한 348개 품목에 대해 약값 인하조치를 내린 것입니다.
보건복지부는 또 이 달 안으로 500개품목에 대한 약값의 실사를 끝내고 추가로 7% 정도의 약가 인하조치를 단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의약계에서는 약값 인하 조치가 사용빈도가 낮은 약들에 집중돼 재정 절감 효과가 얼마나 있을지에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입니다.
더구나 한 해 약값으로 지불되는 4조 5000억원 가운데 얼마가 부당 지급됐는지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상기(보건복지부 보험관리과장): 특정 의약품을 집중적으로 처방하는 요양기관이라든지 이런 데에는 실사하고 연계를 해 가지고 약값 사후 관리를 강화할 그런 계획으로 있습니다.
⊙기자: 약값을 심의 의결하는 건강보험재정 심의위원회가 최근 표류하면서 약값의 편차를 줄이는 일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웅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같은 약값 최고 23배 차이, 보험적자 부추겨
-
- 입력 2002-02-02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data/fckeditor/vod/multi/kbs9/2002/20020202/1500K_new/130.jpg)
⊙앵커: 건강보험 급여비에서 약값의 비중은 무려 34%나 됩니다.
그런데 이런 약값이 제조회사에 따라 최고 2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웅수 기자입니다.
⊙기자: 안질환에 쓰이는 안약의 보험 약값은 제약회사에 따라 세 가지입니다.
동일한 성분의 1cc 값은 최고 6986원에서 최저 300원까지로 무려 23배나 차이가 납니다.
한 위궤양 약값도 제품별로 9배에서 20배까지 차이가 나고 있습니다.
⊙이종일(약사): 이해가 안 되는 얘기고, 이것은 시정이 돼야 되겠죠.
도저히 이해는 할 수 없는 사항입니다, 이런 상황은...
⊙기자: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 재정적자가 심화되자 최근에 와서야 뒤늦게 약값의 거품 제거에 나섰습니다.
약값 편차가 이렇게 심한 348개 품목에 대해 약값 인하조치를 내린 것입니다.
보건복지부는 또 이 달 안으로 500개품목에 대한 약값의 실사를 끝내고 추가로 7% 정도의 약가 인하조치를 단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의약계에서는 약값 인하 조치가 사용빈도가 낮은 약들에 집중돼 재정 절감 효과가 얼마나 있을지에 반신반의하는 분위기입니다.
더구나 한 해 약값으로 지불되는 4조 5000억원 가운데 얼마가 부당 지급됐는지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상기(보건복지부 보험관리과장): 특정 의약품을 집중적으로 처방하는 요양기관이라든지 이런 데에는 실사하고 연계를 해 가지고 약값 사후 관리를 강화할 그런 계획으로 있습니다.
⊙기자: 약값을 심의 의결하는 건강보험재정 심의위원회가 최근 표류하면서 약값의 편차를 줄이는 일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KBS뉴스 이웅수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