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따리상’ 동원해 중국산 밀수 농산물 대거 유통
입력 2014.07.21 (19:22)
수정 2014.07.21 (19:4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중국을 오가는 이른바 '보따리상'을 동원해 중국산 밀수 농산물을 대량으로 유통한 일당이 검거됐습니다.
하루에 동원된 보따리상이 300명이 넘기도 했습니다.
김수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창고 한가운데, 막 중국에서 들여 온 농산물이 쌓여 있습니다.
한쪽에선 이를 새 포대에 담는 작업이 계속됩니다.
관세를 피하기 위해 밀수한 농산물을 정식 수입품으로 둔갑시키는 '포대갈이'를 하고 있는 겁니다.
이 밀수에 동원된 이들은 배를 타고 중국과 한국을 오가는 이른바, 중국인 보따리상!
1인당 최대 50kg까지는 세관 신고 없이 통과된다는 점을 악용했습니다.
밀수업자들이 하루에 동원한 보따리상이 300명을 넘기도 했습니다.
<녹취> 평택항 보따리상(음성변조) : "원래 자가 소유용으로 (관세 없이) 주는 거에요. 우리가 나가서 판매를 하면 불법이에요. 그것 때문에 우리가 걸리는 건데. "
이런 방법으로 이들이 지난 3월부터 최근까지 들여온 농산물이 6백여 톤, 시가로 32억 원어치가 넘습니다.
정상적으로 수입하면 600%가 넘는 높은 관세를 물어야 하는 녹두와 콩, 참깨 등이 주로 밀수됐는데 수도권 잡곡류 판매업소를 통해 유통됐습니다.
<인터뷰> 김동성(경위/서울지방경찰청 국제범죄수사3대) : "곡물을 밀수입하면 곡물의 위해성분 검사를 받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운 농약잔류 성분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있을 수 있고요."
경찰은 밀수업자 39살 박모씨와 보따리상 44살 양모씨 등 9명을 불구속입건하고, 동일 수법의 농산물 밀수 사례에 대해 추가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중국을 오가는 이른바 '보따리상'을 동원해 중국산 밀수 농산물을 대량으로 유통한 일당이 검거됐습니다.
하루에 동원된 보따리상이 300명이 넘기도 했습니다.
김수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창고 한가운데, 막 중국에서 들여 온 농산물이 쌓여 있습니다.
한쪽에선 이를 새 포대에 담는 작업이 계속됩니다.
관세를 피하기 위해 밀수한 농산물을 정식 수입품으로 둔갑시키는 '포대갈이'를 하고 있는 겁니다.
이 밀수에 동원된 이들은 배를 타고 중국과 한국을 오가는 이른바, 중국인 보따리상!
1인당 최대 50kg까지는 세관 신고 없이 통과된다는 점을 악용했습니다.
밀수업자들이 하루에 동원한 보따리상이 300명을 넘기도 했습니다.
<녹취> 평택항 보따리상(음성변조) : "원래 자가 소유용으로 (관세 없이) 주는 거에요. 우리가 나가서 판매를 하면 불법이에요. 그것 때문에 우리가 걸리는 건데. "
이런 방법으로 이들이 지난 3월부터 최근까지 들여온 농산물이 6백여 톤, 시가로 32억 원어치가 넘습니다.
정상적으로 수입하면 600%가 넘는 높은 관세를 물어야 하는 녹두와 콩, 참깨 등이 주로 밀수됐는데 수도권 잡곡류 판매업소를 통해 유통됐습니다.
<인터뷰> 김동성(경위/서울지방경찰청 국제범죄수사3대) : "곡물을 밀수입하면 곡물의 위해성분 검사를 받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운 농약잔류 성분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있을 수 있고요."
경찰은 밀수업자 39살 박모씨와 보따리상 44살 양모씨 등 9명을 불구속입건하고, 동일 수법의 농산물 밀수 사례에 대해 추가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보따리상’ 동원해 중국산 밀수 농산물 대거 유통
-
- 입력 2014-07-21 19:24:04
- 수정2014-07-21 19:46:02
<앵커 멘트>
중국을 오가는 이른바 '보따리상'을 동원해 중국산 밀수 농산물을 대량으로 유통한 일당이 검거됐습니다.
하루에 동원된 보따리상이 300명이 넘기도 했습니다.
김수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창고 한가운데, 막 중국에서 들여 온 농산물이 쌓여 있습니다.
한쪽에선 이를 새 포대에 담는 작업이 계속됩니다.
관세를 피하기 위해 밀수한 농산물을 정식 수입품으로 둔갑시키는 '포대갈이'를 하고 있는 겁니다.
이 밀수에 동원된 이들은 배를 타고 중국과 한국을 오가는 이른바, 중국인 보따리상!
1인당 최대 50kg까지는 세관 신고 없이 통과된다는 점을 악용했습니다.
밀수업자들이 하루에 동원한 보따리상이 300명을 넘기도 했습니다.
<녹취> 평택항 보따리상(음성변조) : "원래 자가 소유용으로 (관세 없이) 주는 거에요. 우리가 나가서 판매를 하면 불법이에요. 그것 때문에 우리가 걸리는 건데. "
이런 방법으로 이들이 지난 3월부터 최근까지 들여온 농산물이 6백여 톤, 시가로 32억 원어치가 넘습니다.
정상적으로 수입하면 600%가 넘는 높은 관세를 물어야 하는 녹두와 콩, 참깨 등이 주로 밀수됐는데 수도권 잡곡류 판매업소를 통해 유통됐습니다.
<인터뷰> 김동성(경위/서울지방경찰청 국제범죄수사3대) : "곡물을 밀수입하면 곡물의 위해성분 검사를 받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운 농약잔류 성분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있을 수 있고요."
경찰은 밀수업자 39살 박모씨와 보따리상 44살 양모씨 등 9명을 불구속입건하고, 동일 수법의 농산물 밀수 사례에 대해 추가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중국을 오가는 이른바 '보따리상'을 동원해 중국산 밀수 농산물을 대량으로 유통한 일당이 검거됐습니다.
하루에 동원된 보따리상이 300명이 넘기도 했습니다.
김수연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창고 한가운데, 막 중국에서 들여 온 농산물이 쌓여 있습니다.
한쪽에선 이를 새 포대에 담는 작업이 계속됩니다.
관세를 피하기 위해 밀수한 농산물을 정식 수입품으로 둔갑시키는 '포대갈이'를 하고 있는 겁니다.
이 밀수에 동원된 이들은 배를 타고 중국과 한국을 오가는 이른바, 중국인 보따리상!
1인당 최대 50kg까지는 세관 신고 없이 통과된다는 점을 악용했습니다.
밀수업자들이 하루에 동원한 보따리상이 300명을 넘기도 했습니다.
<녹취> 평택항 보따리상(음성변조) : "원래 자가 소유용으로 (관세 없이) 주는 거에요. 우리가 나가서 판매를 하면 불법이에요. 그것 때문에 우리가 걸리는 건데. "
이런 방법으로 이들이 지난 3월부터 최근까지 들여온 농산물이 6백여 톤, 시가로 32억 원어치가 넘습니다.
정상적으로 수입하면 600%가 넘는 높은 관세를 물어야 하는 녹두와 콩, 참깨 등이 주로 밀수됐는데 수도권 잡곡류 판매업소를 통해 유통됐습니다.
<인터뷰> 김동성(경위/서울지방경찰청 국제범죄수사3대) : "곡물을 밀수입하면 곡물의 위해성분 검사를 받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해로운 농약잔류 성분이라든지 이런 것들이 있을 수 있고요."
경찰은 밀수업자 39살 박모씨와 보따리상 44살 양모씨 등 9명을 불구속입건하고, 동일 수법의 농산물 밀수 사례에 대해 추가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KBS 뉴스 김수연입니다.
-
-
김수연 기자 kbsksy@kbs.co.kr
김수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