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빚더미 독이 든 성배’ 평창올림픽 준비에만 2천억
입력 2015.02.08 (21:18) 수정 2015.02.25 (10:49) 뉴스 9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멘트>
강원도에서 열리는 평창 올림픽 개막이 이제 3년 남았습니다.
지금은 경기장 공사가 한창인데요,
그런데 벌써부터 올림픽 준비를 위한 막대한 예산이 강원도민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상처뿐인 영광은 아닐지, 박상용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까지 1096일.
강원도 곳곳에서 경기장을 새로 만드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서울과 개최 도시를 잇는 복선 철도 역시 30% 이상 건설됐습니다.
경기장 건설과 교통망 확충 등 동계올림픽을 위해 투입되는 예산은 11조 4천 3백억 원입니다.
<인터뷰> 김지영(강원도 동계올림픽 본부장) : "올해 경기장의 10%의 공정율을 보이는데 현재 신설된 경기장은 다 착공을 완료한.."
<녹취> "강원도는 각성하라!"
그러나 문제는 돈입니다.
경기장 대다수는 1회용이란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스피드스케이트장과 아이스하키장은 대회 이후 철거될 예정이고 개,폐회식장의 좌석 40%는 뜯어냅니다.
한 번 쓰고 철거될 경기장들의 공사비만 2천억 원입니다.
재정 자립도가 20%대인 강원도는 올림픽 준비에만 2천억 원 넘게 빚을 내야합니다.
<인터뷰> 유성철(강원도시민단체연대회의) : "대부분 시설을 새로 만들고해야했기 때문에 흑자를 낸다는 것 자체가 사실 거짓말.."
16일 간의 아시안게임을 치른 인천시는 재정난이 가중되면서 각종 복지예산을 삭감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준복(인천참여예산센터 소장) : "민생복지 예산이 640억 줄었는데,,시정부도 올해 예산이 5천 억 부족하다고 해서"
세계 각 국이 재정적자와의 전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올림픽 준비는 대회의 성패를 좌우할 기준이 됐습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강원도에서 열리는 평창 올림픽 개막이 이제 3년 남았습니다.
지금은 경기장 공사가 한창인데요,
그런데 벌써부터 올림픽 준비를 위한 막대한 예산이 강원도민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상처뿐인 영광은 아닐지, 박상용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까지 1096일.
강원도 곳곳에서 경기장을 새로 만드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서울과 개최 도시를 잇는 복선 철도 역시 30% 이상 건설됐습니다.
경기장 건설과 교통망 확충 등 동계올림픽을 위해 투입되는 예산은 11조 4천 3백억 원입니다.
<인터뷰> 김지영(강원도 동계올림픽 본부장) : "올해 경기장의 10%의 공정율을 보이는데 현재 신설된 경기장은 다 착공을 완료한.."
<녹취> "강원도는 각성하라!"
그러나 문제는 돈입니다.
경기장 대다수는 1회용이란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스피드스케이트장과 아이스하키장은 대회 이후 철거될 예정이고 개,폐회식장의 좌석 40%는 뜯어냅니다.
한 번 쓰고 철거될 경기장들의 공사비만 2천억 원입니다.
재정 자립도가 20%대인 강원도는 올림픽 준비에만 2천억 원 넘게 빚을 내야합니다.
<인터뷰> 유성철(강원도시민단체연대회의) : "대부분 시설을 새로 만들고해야했기 때문에 흑자를 낸다는 것 자체가 사실 거짓말.."
16일 간의 아시안게임을 치른 인천시는 재정난이 가중되면서 각종 복지예산을 삭감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준복(인천참여예산센터 소장) : "민생복지 예산이 640억 줄었는데,,시정부도 올해 예산이 5천 억 부족하다고 해서"
세계 각 국이 재정적자와의 전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올림픽 준비는 대회의 성패를 좌우할 기준이 됐습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 ‘빚더미 독이 든 성배’ 평창올림픽 준비에만 2천억
-
- 입력 2015-02-08 21:19:43
- 수정2015-02-25 10:49:40

<앵커 멘트>
강원도에서 열리는 평창 올림픽 개막이 이제 3년 남았습니다.
지금은 경기장 공사가 한창인데요,
그런데 벌써부터 올림픽 준비를 위한 막대한 예산이 강원도민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상처뿐인 영광은 아닐지, 박상용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까지 1096일.
강원도 곳곳에서 경기장을 새로 만드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서울과 개최 도시를 잇는 복선 철도 역시 30% 이상 건설됐습니다.
경기장 건설과 교통망 확충 등 동계올림픽을 위해 투입되는 예산은 11조 4천 3백억 원입니다.
<인터뷰> 김지영(강원도 동계올림픽 본부장) : "올해 경기장의 10%의 공정율을 보이는데 현재 신설된 경기장은 다 착공을 완료한.."
<녹취> "강원도는 각성하라!"
그러나 문제는 돈입니다.
경기장 대다수는 1회용이란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스피드스케이트장과 아이스하키장은 대회 이후 철거될 예정이고 개,폐회식장의 좌석 40%는 뜯어냅니다.
한 번 쓰고 철거될 경기장들의 공사비만 2천억 원입니다.
재정 자립도가 20%대인 강원도는 올림픽 준비에만 2천억 원 넘게 빚을 내야합니다.
<인터뷰> 유성철(강원도시민단체연대회의) : "대부분 시설을 새로 만들고해야했기 때문에 흑자를 낸다는 것 자체가 사실 거짓말.."
16일 간의 아시안게임을 치른 인천시는 재정난이 가중되면서 각종 복지예산을 삭감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준복(인천참여예산센터 소장) : "민생복지 예산이 640억 줄었는데,,시정부도 올해 예산이 5천 억 부족하다고 해서"
세계 각 국이 재정적자와의 전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올림픽 준비는 대회의 성패를 좌우할 기준이 됐습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강원도에서 열리는 평창 올림픽 개막이 이제 3년 남았습니다.
지금은 경기장 공사가 한창인데요,
그런데 벌써부터 올림픽 준비를 위한 막대한 예산이 강원도민의 어깨를 짓누르고 있습니다.
상처뿐인 영광은 아닐지, 박상용 기자가 분석했습니다.
<리포트>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까지 1096일.
강원도 곳곳에서 경기장을 새로 만드는 공사가 한창입니다.
서울과 개최 도시를 잇는 복선 철도 역시 30% 이상 건설됐습니다.
경기장 건설과 교통망 확충 등 동계올림픽을 위해 투입되는 예산은 11조 4천 3백억 원입니다.
<인터뷰> 김지영(강원도 동계올림픽 본부장) : "올해 경기장의 10%의 공정율을 보이는데 현재 신설된 경기장은 다 착공을 완료한.."
<녹취> "강원도는 각성하라!"
그러나 문제는 돈입니다.
경기장 대다수는 1회용이란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스피드스케이트장과 아이스하키장은 대회 이후 철거될 예정이고 개,폐회식장의 좌석 40%는 뜯어냅니다.
한 번 쓰고 철거될 경기장들의 공사비만 2천억 원입니다.
재정 자립도가 20%대인 강원도는 올림픽 준비에만 2천억 원 넘게 빚을 내야합니다.
<인터뷰> 유성철(강원도시민단체연대회의) : "대부분 시설을 새로 만들고해야했기 때문에 흑자를 낸다는 것 자체가 사실 거짓말.."
16일 간의 아시안게임을 치른 인천시는 재정난이 가중되면서 각종 복지예산을 삭감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박준복(인천참여예산센터 소장) : "민생복지 예산이 640억 줄었는데,,시정부도 올해 예산이 5천 억 부족하다고 해서"
세계 각 국이 재정적자와의 전쟁을 벌이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올림픽 준비는 대회의 성패를 좌우할 기준이 됐습니다.
KBS 뉴스 박상용입니다.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박상용 기자 miso@kbs.co.kr
박상용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