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다양성 영화 전용관’ 유명무실…왜?
입력 2015.03.20 (06:52) 수정 2015.03.20 (13:33)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개봉관을 확보하기 힘든 소규모 영화를 상영할 수 있도록 '다양성 영화'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양성 영화' 선정 기준에 맞지 않는 영화들이 전용관에서 상영되면서 작은 영화들이 설 자리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어찌 된 일인지 이세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양성 영화 전용관에서 SNS의 위험성을 다룬 영화가 상영 중입니다.
영화진흥위원회의 다양성 영화 심사에 통과한 이 영화는 지난 12일 개봉한 이후 줄곧 이 예술영화 전용관에서 상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개봉일 당시 상영관 수가 전국 353개로 상영관이 200개 미만이어야 한다는 영진위의 다양성 영화 선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같은 날 개봉한 또 다른 영화 역시 다양성 영화로 인정받았지만 개봉 당일 상영관 수는 326갭니다.
지난 6일 심사 당시 서류에는 각각 상영관 수가 '미정'과 '180개 관 예정'으로 돼 있기 때문입니다.
<녹취> 영진위 관계자 : "접수 당시에 적용된 기준이니까 엄밀히 말하면 어긴 것은 아니에요. 그런데 개봉 후 영화에 대해서 소급해서 처리한다는 규정이 사실상 지금 없기 때문에..."
다양성 영화로 선정되면 전국 49개 전용 영화관에서 상영할 수 있습니다.
웬만한 상업영화 수준의 영화가 상영될 경우 소규모 영화가 설 자리는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선구(청주씨네마테크 사무국장) : "해외의 아트버스터 영화들과 상업영화의 모호한 경계에 서 있는 영화들까지도 같이 (다양성 영화 시장) 안으로 지원이 들어오기 때문에…"
작품성 있는 다양한 영화를 관객들에게 보여주자는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선 제도 보완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개봉관을 확보하기 힘든 소규모 영화를 상영할 수 있도록 '다양성 영화'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양성 영화' 선정 기준에 맞지 않는 영화들이 전용관에서 상영되면서 작은 영화들이 설 자리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어찌 된 일인지 이세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양성 영화 전용관에서 SNS의 위험성을 다룬 영화가 상영 중입니다.
영화진흥위원회의 다양성 영화 심사에 통과한 이 영화는 지난 12일 개봉한 이후 줄곧 이 예술영화 전용관에서 상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개봉일 당시 상영관 수가 전국 353개로 상영관이 200개 미만이어야 한다는 영진위의 다양성 영화 선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같은 날 개봉한 또 다른 영화 역시 다양성 영화로 인정받았지만 개봉 당일 상영관 수는 326갭니다.
지난 6일 심사 당시 서류에는 각각 상영관 수가 '미정'과 '180개 관 예정'으로 돼 있기 때문입니다.
<녹취> 영진위 관계자 : "접수 당시에 적용된 기준이니까 엄밀히 말하면 어긴 것은 아니에요. 그런데 개봉 후 영화에 대해서 소급해서 처리한다는 규정이 사실상 지금 없기 때문에..."
다양성 영화로 선정되면 전국 49개 전용 영화관에서 상영할 수 있습니다.
웬만한 상업영화 수준의 영화가 상영될 경우 소규모 영화가 설 자리는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선구(청주씨네마테크 사무국장) : "해외의 아트버스터 영화들과 상업영화의 모호한 경계에 서 있는 영화들까지도 같이 (다양성 영화 시장) 안으로 지원이 들어오기 때문에…"
작품성 있는 다양한 영화를 관객들에게 보여주자는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선 제도 보완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 ‘다양성 영화 전용관’ 유명무실…왜?
-
- 입력 2015-03-20 06:54:19
- 수정2015-03-20 13:33:54

<앵커 멘트>
개봉관을 확보하기 힘든 소규모 영화를 상영할 수 있도록 '다양성 영화'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양성 영화' 선정 기준에 맞지 않는 영화들이 전용관에서 상영되면서 작은 영화들이 설 자리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어찌 된 일인지 이세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양성 영화 전용관에서 SNS의 위험성을 다룬 영화가 상영 중입니다.
영화진흥위원회의 다양성 영화 심사에 통과한 이 영화는 지난 12일 개봉한 이후 줄곧 이 예술영화 전용관에서 상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개봉일 당시 상영관 수가 전국 353개로 상영관이 200개 미만이어야 한다는 영진위의 다양성 영화 선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같은 날 개봉한 또 다른 영화 역시 다양성 영화로 인정받았지만 개봉 당일 상영관 수는 326갭니다.
지난 6일 심사 당시 서류에는 각각 상영관 수가 '미정'과 '180개 관 예정'으로 돼 있기 때문입니다.
<녹취> 영진위 관계자 : "접수 당시에 적용된 기준이니까 엄밀히 말하면 어긴 것은 아니에요. 그런데 개봉 후 영화에 대해서 소급해서 처리한다는 규정이 사실상 지금 없기 때문에..."
다양성 영화로 선정되면 전국 49개 전용 영화관에서 상영할 수 있습니다.
웬만한 상업영화 수준의 영화가 상영될 경우 소규모 영화가 설 자리는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선구(청주씨네마테크 사무국장) : "해외의 아트버스터 영화들과 상업영화의 모호한 경계에 서 있는 영화들까지도 같이 (다양성 영화 시장) 안으로 지원이 들어오기 때문에…"
작품성 있는 다양한 영화를 관객들에게 보여주자는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선 제도 보완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개봉관을 확보하기 힘든 소규모 영화를 상영할 수 있도록 '다양성 영화'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다양성 영화' 선정 기준에 맞지 않는 영화들이 전용관에서 상영되면서 작은 영화들이 설 자리가 줄어들고 있습니다.
어찌 된 일인지 이세중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다양성 영화 전용관에서 SNS의 위험성을 다룬 영화가 상영 중입니다.
영화진흥위원회의 다양성 영화 심사에 통과한 이 영화는 지난 12일 개봉한 이후 줄곧 이 예술영화 전용관에서 상영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개봉일 당시 상영관 수가 전국 353개로 상영관이 200개 미만이어야 한다는 영진위의 다양성 영화 선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같은 날 개봉한 또 다른 영화 역시 다양성 영화로 인정받았지만 개봉 당일 상영관 수는 326갭니다.
지난 6일 심사 당시 서류에는 각각 상영관 수가 '미정'과 '180개 관 예정'으로 돼 있기 때문입니다.
<녹취> 영진위 관계자 : "접수 당시에 적용된 기준이니까 엄밀히 말하면 어긴 것은 아니에요. 그런데 개봉 후 영화에 대해서 소급해서 처리한다는 규정이 사실상 지금 없기 때문에..."
다양성 영화로 선정되면 전국 49개 전용 영화관에서 상영할 수 있습니다.
웬만한 상업영화 수준의 영화가 상영될 경우 소규모 영화가 설 자리는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인터뷰> 김선구(청주씨네마테크 사무국장) : "해외의 아트버스터 영화들과 상업영화의 모호한 경계에 서 있는 영화들까지도 같이 (다양성 영화 시장) 안으로 지원이 들어오기 때문에…"
작품성 있는 다양한 영화를 관객들에게 보여주자는 본래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선 제도 보완이 절실합니다.
KBS 뉴스 이세중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광장 1부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이세중 기자 center@kbs.co.kr
이세중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