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부문 비정규직 만 5천 명 무기계약직 전환

입력 2016.02.17 (19:21) 수정 2016.02.17 (1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정부가 내년까지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만 5천 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고용 비율을 제한하는 목표관리제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김영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공공기관의 환경미화원으로 입사했던 김모 씨는 11개월 만에 해고됐습니다.

1년 넘게 일하면 퇴직금을 줘야 한다는 이유였습니다.

<녹취> 김00(기간제 해고자/음성변조) : "2년 있으면 무기계약직을 만들어 준다고 했는데 (근로계약서를) 6개월, 3개월씩 쓰고…."

정부는 상시 지속적 업무에 종사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만 5천여 명을 내년까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정부들어 모두 9만 명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는 것입니다.

무분별한 비정규직 고용을 막기 위한 목표관리제도 올해부터 시행합니다.

비정규직의 비율을 공공기관은 정원의 5%, 지방 공기업은 8% 이내로 제한합니다.

<녹취> 황보국(고용노동부 공공노사정책관) : "정해진 목표 비율 준수를 유도하기 위해 기관 평가에 반영하고 면밀히 모니터링 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은 공공부문 비정규직이 30만 명을 넘고, 간접 고용이 11만여 명으로 해마다 늘고 있는 만큼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공부문 비정규직 만 5천 명 무기계약직 전환
    • 입력 2016-02-17 19:22:08
    • 수정2016-02-17 19:26:51
    뉴스 7
<앵커 멘트>

정부가 내년까지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만 5천 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공공부문의 비정규직 고용 비율을 제한하는 목표관리제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

김영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공공기관의 환경미화원으로 입사했던 김모 씨는 11개월 만에 해고됐습니다.

1년 넘게 일하면 퇴직금을 줘야 한다는 이유였습니다.

<녹취> 김00(기간제 해고자/음성변조) : "2년 있으면 무기계약직을 만들어 준다고 했는데 (근로계약서를) 6개월, 3개월씩 쓰고…."

정부는 상시 지속적 업무에 종사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만 5천여 명을 내년까지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정부들어 모두 9만 명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되는 것입니다.

무분별한 비정규직 고용을 막기 위한 목표관리제도 올해부터 시행합니다.

비정규직의 비율을 공공기관은 정원의 5%, 지방 공기업은 8% 이내로 제한합니다.

<녹취> 황보국(고용노동부 공공노사정책관) : "정해진 목표 비율 준수를 유도하기 위해 기관 평가에 반영하고 면밀히 모니터링 해 나갈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은 공공부문 비정규직이 30만 명을 넘고, 간접 고용이 11만여 명으로 해마다 늘고 있는 만큼 제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촉구했습니다.

KBS 뉴스 김영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