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마술에서 예술로…영화감독이 된 마술사
입력 2016.03.31 (09:54) 수정 2016.03.31 (10:35) 930뉴스
<앵커 멘트>
최초의 공상과학영화를 만든 감독이 마술사였다는 사실 아십니까?
한국의 대표적인 젊은 마술가인 이은결씨가 마술적 기법을 이용해 영화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는 독특한 실험극에 도전했습니다.
송명훈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컴퓨터 그래픽도 없던 100여 년 전, 각종 특수효과들은 어떻게 촬영됐을까?
피에로가 손짓으로 마법을 걸더니 원반 위 투명 의자에 걸터 앉습니다.
원반은 돌고 배경은 멈춰 있지만, 이를 찍은 영상에선 그 반대의 상황이 펼쳐집니다.
손 재주로 화면에 자막을 입히고, 두개의 영상을 겹쳐 만드는 이중노출 촬영 과정도 마술적 재미를 더해 보여줍니다.
<인터뷰> 유리(관객) : "그동안 알고 있던 마술, 쇼에 집중돼 있는 느낌이 아니라 한 편의 영화 작품 같은 느낌이었어요. 완결된 작품을 보는게 아니라 그 과정을 함께 지켜보는..."
마술이 그저 오락적인 쇼가 아니라 영화 같은 예술의 원천임을 보여주려는 의도입니다.
그러기 위해 화려한 마술 무대를 떠나 이름도 대사도 없는 소극장의 피에로로 변신했습니다.
현실과 환상을 잇는 그 경계에 마술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은결(일루셔니스트 EG) : "이것은 현실일까요 허구일까요. 그런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우린 이미 현실같은 허구 속에, 허구 같은 현실 속에 살고 있으니까요."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최초의 공상과학영화를 만든 감독이 마술사였다는 사실 아십니까?
한국의 대표적인 젊은 마술가인 이은결씨가 마술적 기법을 이용해 영화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는 독특한 실험극에 도전했습니다.
송명훈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컴퓨터 그래픽도 없던 100여 년 전, 각종 특수효과들은 어떻게 촬영됐을까?
피에로가 손짓으로 마법을 걸더니 원반 위 투명 의자에 걸터 앉습니다.
원반은 돌고 배경은 멈춰 있지만, 이를 찍은 영상에선 그 반대의 상황이 펼쳐집니다.
손 재주로 화면에 자막을 입히고, 두개의 영상을 겹쳐 만드는 이중노출 촬영 과정도 마술적 재미를 더해 보여줍니다.
<인터뷰> 유리(관객) : "그동안 알고 있던 마술, 쇼에 집중돼 있는 느낌이 아니라 한 편의 영화 작품 같은 느낌이었어요. 완결된 작품을 보는게 아니라 그 과정을 함께 지켜보는..."
마술이 그저 오락적인 쇼가 아니라 영화 같은 예술의 원천임을 보여주려는 의도입니다.
그러기 위해 화려한 마술 무대를 떠나 이름도 대사도 없는 소극장의 피에로로 변신했습니다.
현실과 환상을 잇는 그 경계에 마술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은결(일루셔니스트 EG) : "이것은 현실일까요 허구일까요. 그런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우린 이미 현실같은 허구 속에, 허구 같은 현실 속에 살고 있으니까요."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 마술에서 예술로…영화감독이 된 마술사
-
- 입력 2016-03-31 10:02:50
- 수정2016-03-31 10:35:31

<앵커 멘트>
최초의 공상과학영화를 만든 감독이 마술사였다는 사실 아십니까?
한국의 대표적인 젊은 마술가인 이은결씨가 마술적 기법을 이용해 영화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는 독특한 실험극에 도전했습니다.
송명훈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컴퓨터 그래픽도 없던 100여 년 전, 각종 특수효과들은 어떻게 촬영됐을까?
피에로가 손짓으로 마법을 걸더니 원반 위 투명 의자에 걸터 앉습니다.
원반은 돌고 배경은 멈춰 있지만, 이를 찍은 영상에선 그 반대의 상황이 펼쳐집니다.
손 재주로 화면에 자막을 입히고, 두개의 영상을 겹쳐 만드는 이중노출 촬영 과정도 마술적 재미를 더해 보여줍니다.
<인터뷰> 유리(관객) : "그동안 알고 있던 마술, 쇼에 집중돼 있는 느낌이 아니라 한 편의 영화 작품 같은 느낌이었어요. 완결된 작품을 보는게 아니라 그 과정을 함께 지켜보는..."
마술이 그저 오락적인 쇼가 아니라 영화 같은 예술의 원천임을 보여주려는 의도입니다.
그러기 위해 화려한 마술 무대를 떠나 이름도 대사도 없는 소극장의 피에로로 변신했습니다.
현실과 환상을 잇는 그 경계에 마술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은결(일루셔니스트 EG) : "이것은 현실일까요 허구일까요. 그런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우린 이미 현실같은 허구 속에, 허구 같은 현실 속에 살고 있으니까요."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최초의 공상과학영화를 만든 감독이 마술사였다는 사실 아십니까?
한국의 대표적인 젊은 마술가인 이은결씨가 마술적 기법을 이용해 영화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는 독특한 실험극에 도전했습니다.
송명훈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컴퓨터 그래픽도 없던 100여 년 전, 각종 특수효과들은 어떻게 촬영됐을까?
피에로가 손짓으로 마법을 걸더니 원반 위 투명 의자에 걸터 앉습니다.
원반은 돌고 배경은 멈춰 있지만, 이를 찍은 영상에선 그 반대의 상황이 펼쳐집니다.
손 재주로 화면에 자막을 입히고, 두개의 영상을 겹쳐 만드는 이중노출 촬영 과정도 마술적 재미를 더해 보여줍니다.
<인터뷰> 유리(관객) : "그동안 알고 있던 마술, 쇼에 집중돼 있는 느낌이 아니라 한 편의 영화 작품 같은 느낌이었어요. 완결된 작품을 보는게 아니라 그 과정을 함께 지켜보는..."
마술이 그저 오락적인 쇼가 아니라 영화 같은 예술의 원천임을 보여주려는 의도입니다.
그러기 위해 화려한 마술 무대를 떠나 이름도 대사도 없는 소극장의 피에로로 변신했습니다.
현실과 환상을 잇는 그 경계에 마술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은결(일루셔니스트 EG) : "이것은 현실일까요 허구일까요. 그런건 중요하지 않습니다. 우린 이미 현실같은 허구 속에, 허구 같은 현실 속에 살고 있으니까요."
KBS 뉴스 송명훈입니다.
930뉴스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송명훈 기자 smh@kbs.co.kr
송명훈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