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영남권 신공항 우여곡절 끝 또 ‘갈등’

입력 2016.06.15 (21:29) 수정 2016.06.15 (22: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김해공항 모습입니다.

해마다 이용객들이 늘면서 출국장과 입국장 모두 온종일 붐비는데요.

특히 최근엔 저가항공사까지 대거 가세하면서 공항 수용 능력이 이미 한계에 이르렀다는 분석입니다.

실제로 지난해 590만 명이 김해공항을 이용했습니다.

1년 수용 최대치를 50만 명 초과했고, 2020년에는 이용객이 800만 명을 넘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옵니다.

이런 폭발적인 항공 수요 때문에 한때 백지화됐던 영남권 신공항 추진이 다시 진행됐고 이제 다음주, 최종 입지가 발표됩니다.

황진우 기자입니다.

[연관 기사] ☞ 밀양이냐 가덕도냐? 지역주의 늪에 빠진 신공항

▼우여곡절 끝에 또 갈등▼

<리포트>

영남권 신공항은 노무현 정부 때 처음 검토됐고, 이명박 정부 들어 실제 추진됐습니다.

35개 후보지가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 두 곳으로 압축됐는데, 부산은 가덕도를 지지했고 울산과 경남, 대구와 경북 4개 시도는 밀양을 밀었습니다.

당시 여당 소속 허남식 부산시장과 야당 출신 김두관 경남지사는 사활을 걸고 맞붙었습니다.

하지만, 2011년 타당성 조사 결과 가덕도가 38.3점, 밀양이 39.9점으로 두 지역 모두 사업 착수의 기준이 되는 50점에 못 미쳐 탈락하고, 계획은 백지화됩니다.

<녹취> 박창호(신공항 입지평가위원장/2011년 3월 30일) : "사업비가 과다하고 경제성이 미흡하여 공항입지로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습니다."

영남권 신공항 계획은 불과 1년 뒤인 2012년 박근혜, 문재인 두 대선 후보가 공약에 넣으면서 다시 살아납니다.

박근혜 정부는 출범 직후 영남권 신공항 재추진을 결정했고, 지난해 영남권 5개 시도는 외국기관의 용역 결과를 수용하겠다며, 유치경쟁을 벌이지 않기로 약속합니다.

<녹취> 서병수(부산시장/지난해 1월 19일) :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 필요한 공항의 위치가 반드시 되도록..."

<녹취> 홍준표(경남지사) : "국가 전체 이익을 위해서 판단하는 것으로..."

그러나 지난 총선 과정에서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의 "대구에 선물 보따리" 발언이 미묘한 파장을 낳은 데 이어 부산지역 시민단체 등이 조사가 밀양에 유리한 쪽으로 진행됐다며 반발하고 나서면서 다시 갈등이 첨예하게 불붙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진우입니다.

▼밀양 vs. 가덕도 입지 분석▼

<기자 멘트>

활주로와 관제센터, 터미널....

이런 공항 하나 세우는 데는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갑니다.

최대 10조 원이 투입되는데요.

일자리도 생기고 특히 100% 국비로 짓다보니, 공항이 들어서는 자치단체로선 더 없이 좋은 일입니다.

그래서 대구경북과 부산은 각각 밀양과 가덕도에 이런 공항을 짓겠다며 경쟁해왔습니다.

두 곳의 장단점, 비교적 뚜렷합니다.

밀양은 내륙에 있어서 주변 시·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접근성이 좋습니다.

KTX와 도로가 이미 구축돼 있는 것도 장점입니다.

반면 내륙인 만큼 상대적으로 이착륙 때 위험성이 있고 주변 산을 깎아야 하는데다, 소음 피해로 24시간 운영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런 밀양의 단점, 그대로 가덕도의 장점이 됩니다.

이렇게 바다에 있다 보니 민가와 장애물이 없어 24시간 이착륙할 수 있고 향후 공항 확장도 쉽습니다.

반면 부산을 빼곤 기타 영남권에서 접근이 어렵고, 바다 매립비용이 많이 들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신공항은 이런 입지를 포함해 철저한 경제적 분석으로 결정해야 하는 만큼 정치권과 자체단체, 한발 물러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영인 기자입니다.

▼신공항 선정…정치 논리 절대 안 된다▼

<리포트>

개항 14년 된 양양 국제공항입니다.

올해 월 평균 이용객이 870여 명에 불과합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영동권 신공항 건설' 공약에 따라 3천 5백억 원을 들여 만들었지만 해마다 80억 원씩 적자만 쌓이고 있습니다.

<녹취> 양양국제공항 관계자(음성변조) : "공항을 하려면 배후도시 인구가 백 만 (명)정도는 돼야 되거든요.배후도시 인구가 너무 없다보니까 한계가 좀 있습니다."

당시 유력 정치인의 고향에 건설된 3천억 원짜리 무안 국제공항도 해마다 수십억 원씩 적자를 내고 있습니다.

역시 당시 실세 정치인이 주도한 울진 공항은 현재 비행교육훈련원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때문에, 정부는 이번 영남권 신공항 부지 선정 용역을 프랑스 업체에 맡겨 진행하고 있습니다.

애초부터 정치 논리를 최대한 배제하겠다는 겁니다.

<인터뷰> 허희영(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 : "어느 지역이 가져가느냐, 거기에만 초미의 관심사인데 건설이 끝났을 때, 개항했을 때 공항의 역할을 할 수 있겠는가..."

신공항 최종 입지가 결정되면 기획재정부가 예비 타당성 조사를 합니다.

10조 원 정도 들어가는 국가적인 사업인만큼 정치권의 부당한 압력을 허용해선 안된다는 목소리가 많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영남권 신공항 우여곡절 끝 또 ‘갈등’
    • 입력 2016-06-15 21:31:04
    • 수정2016-06-15 22:45:08
    뉴스 9
<앵커 멘트>

김해공항 모습입니다.

해마다 이용객들이 늘면서 출국장과 입국장 모두 온종일 붐비는데요.

특히 최근엔 저가항공사까지 대거 가세하면서 공항 수용 능력이 이미 한계에 이르렀다는 분석입니다.

실제로 지난해 590만 명이 김해공항을 이용했습니다.

1년 수용 최대치를 50만 명 초과했고, 2020년에는 이용객이 800만 명을 넘을 것이라는 예측도 나옵니다.

이런 폭발적인 항공 수요 때문에 한때 백지화됐던 영남권 신공항 추진이 다시 진행됐고 이제 다음주, 최종 입지가 발표됩니다.

황진우 기자입니다.

[연관 기사] ☞ 밀양이냐 가덕도냐? 지역주의 늪에 빠진 신공항

▼우여곡절 끝에 또 갈등▼

<리포트>

영남권 신공항은 노무현 정부 때 처음 검토됐고, 이명박 정부 들어 실제 추진됐습니다.

35개 후보지가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 두 곳으로 압축됐는데, 부산은 가덕도를 지지했고 울산과 경남, 대구와 경북 4개 시도는 밀양을 밀었습니다.

당시 여당 소속 허남식 부산시장과 야당 출신 김두관 경남지사는 사활을 걸고 맞붙었습니다.

하지만, 2011년 타당성 조사 결과 가덕도가 38.3점, 밀양이 39.9점으로 두 지역 모두 사업 착수의 기준이 되는 50점에 못 미쳐 탈락하고, 계획은 백지화됩니다.

<녹취> 박창호(신공항 입지평가위원장/2011년 3월 30일) : "사업비가 과다하고 경제성이 미흡하여 공항입지로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을 도출하였습니다."

영남권 신공항 계획은 불과 1년 뒤인 2012년 박근혜, 문재인 두 대선 후보가 공약에 넣으면서 다시 살아납니다.

박근혜 정부는 출범 직후 영남권 신공항 재추진을 결정했고, 지난해 영남권 5개 시도는 외국기관의 용역 결과를 수용하겠다며, 유치경쟁을 벌이지 않기로 약속합니다.

<녹취> 서병수(부산시장/지난해 1월 19일) : "국가 백년대계를 위해 필요한 공항의 위치가 반드시 되도록..."

<녹취> 홍준표(경남지사) : "국가 전체 이익을 위해서 판단하는 것으로..."

그러나 지난 총선 과정에서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의 "대구에 선물 보따리" 발언이 미묘한 파장을 낳은 데 이어 부산지역 시민단체 등이 조사가 밀양에 유리한 쪽으로 진행됐다며 반발하고 나서면서 다시 갈등이 첨예하게 불붙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진우입니다.

▼밀양 vs. 가덕도 입지 분석▼

<기자 멘트>

활주로와 관제센터, 터미널....

이런 공항 하나 세우는 데는 천문학적인 돈이 들어갑니다.

최대 10조 원이 투입되는데요.

일자리도 생기고 특히 100% 국비로 짓다보니, 공항이 들어서는 자치단체로선 더 없이 좋은 일입니다.

그래서 대구경북과 부산은 각각 밀양과 가덕도에 이런 공항을 짓겠다며 경쟁해왔습니다.

두 곳의 장단점, 비교적 뚜렷합니다.

밀양은 내륙에 있어서 주변 시·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접근성이 좋습니다.

KTX와 도로가 이미 구축돼 있는 것도 장점입니다.

반면 내륙인 만큼 상대적으로 이착륙 때 위험성이 있고 주변 산을 깎아야 하는데다, 소음 피해로 24시간 운영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런 밀양의 단점, 그대로 가덕도의 장점이 됩니다.

이렇게 바다에 있다 보니 민가와 장애물이 없어 24시간 이착륙할 수 있고 향후 공항 확장도 쉽습니다.

반면 부산을 빼곤 기타 영남권에서 접근이 어렵고, 바다 매립비용이 많이 들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신공항은 이런 입지를 포함해 철저한 경제적 분석으로 결정해야 하는 만큼 정치권과 자체단체, 한발 물러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영인 기자입니다.

▼신공항 선정…정치 논리 절대 안 된다▼

<리포트>

개항 14년 된 양양 국제공항입니다.

올해 월 평균 이용객이 870여 명에 불과합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영동권 신공항 건설' 공약에 따라 3천 5백억 원을 들여 만들었지만 해마다 80억 원씩 적자만 쌓이고 있습니다.

<녹취> 양양국제공항 관계자(음성변조) : "공항을 하려면 배후도시 인구가 백 만 (명)정도는 돼야 되거든요.배후도시 인구가 너무 없다보니까 한계가 좀 있습니다."

당시 유력 정치인의 고향에 건설된 3천억 원짜리 무안 국제공항도 해마다 수십억 원씩 적자를 내고 있습니다.

역시 당시 실세 정치인이 주도한 울진 공항은 현재 비행교육훈련원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때문에, 정부는 이번 영남권 신공항 부지 선정 용역을 프랑스 업체에 맡겨 진행하고 있습니다.

애초부터 정치 논리를 최대한 배제하겠다는 겁니다.

<인터뷰> 허희영(한국항공대 경영학과 교수) : "어느 지역이 가져가느냐, 거기에만 초미의 관심사인데 건설이 끝났을 때, 개항했을 때 공항의 역할을 할 수 있겠는가..."

신공항 최종 입지가 결정되면 기획재정부가 예비 타당성 조사를 합니다.

10조 원 정도 들어가는 국가적인 사업인만큼 정치권의 부당한 압력을 허용해선 안된다는 목소리가 많습니다.

KBS 뉴스 김영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2024 파리 올림픽 배너 이미지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