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신약 ‘올리타’ 운명은?…내일 ‘허가 취소’ 등 논의
입력 2016.10.03 (06:29)
수정 2016.10.03 (07: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논란의 발단이 된 항암치료 신약 '올리타'의 운명도 관심입니다.
한미약품 측은 일부 부작용에도 개발을 지속한다는 입장이지만 신규 암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이 금지되는 등 쉽지만은 않은 상황인데요.
식약처가 내일 관련 논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말기 폐암 환자들을 위한 한미약품의 '올리타'는 2상 임상 시험 단계를 거쳐 지난 5월 식약처의 조건부 승인을 받았습니다.
제약사 측은 부작용에 따른 사망 사건은 식약처의 승인을 받기 한 달 전 일이라며 개발 지속 방침을 밝혔습니다.
<녹취> 손지웅(한미약품 연구개발 총괄 부사장) : "기존 임상은 그대로 유지해 종결 시점까지 최종 보고서까지 저희 책임하에 진행할 것입니다."
하지만 식약처는 당시는 신약의 부작용인지가 명확하지 않았으며, 단순한 의심 단계였다는 입장입니다.
특히 이후에도 2건의 중증 피부 질환 부작용이 나타난 점 등을 들어 신규 암 환자의 올리타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추가 임상 시험을 하지 못하게 돼 현재로선 사실상 개발이 중단된 겁니다.
<녹취> 조병철(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교수) : "그동안 폐암 표적 항암제에서 거의 보고되지 않은 부작용입니다, 이런 중증 피부 독성이 생길 경우 환자의 생명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유사 성분의 폐암 신약이 한발 앞서 개발 중인 점도 부담입니다.
다국적제약사인 베링거인겔하임이 계약을 해지 한 것도 이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식약처는 내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를 열어 올리타의 시판 금지와 허가 취소 등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논란의 발단이 된 항암치료 신약 '올리타'의 운명도 관심입니다.
한미약품 측은 일부 부작용에도 개발을 지속한다는 입장이지만 신규 암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이 금지되는 등 쉽지만은 않은 상황인데요.
식약처가 내일 관련 논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말기 폐암 환자들을 위한 한미약품의 '올리타'는 2상 임상 시험 단계를 거쳐 지난 5월 식약처의 조건부 승인을 받았습니다.
제약사 측은 부작용에 따른 사망 사건은 식약처의 승인을 받기 한 달 전 일이라며 개발 지속 방침을 밝혔습니다.
<녹취> 손지웅(한미약품 연구개발 총괄 부사장) : "기존 임상은 그대로 유지해 종결 시점까지 최종 보고서까지 저희 책임하에 진행할 것입니다."
하지만 식약처는 당시는 신약의 부작용인지가 명확하지 않았으며, 단순한 의심 단계였다는 입장입니다.
특히 이후에도 2건의 중증 피부 질환 부작용이 나타난 점 등을 들어 신규 암 환자의 올리타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추가 임상 시험을 하지 못하게 돼 현재로선 사실상 개발이 중단된 겁니다.
<녹취> 조병철(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교수) : "그동안 폐암 표적 항암제에서 거의 보고되지 않은 부작용입니다, 이런 중증 피부 독성이 생길 경우 환자의 생명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유사 성분의 폐암 신약이 한발 앞서 개발 중인 점도 부담입니다.
다국적제약사인 베링거인겔하임이 계약을 해지 한 것도 이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식약처는 내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를 열어 올리타의 시판 금지와 허가 취소 등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폐암 신약 ‘올리타’ 운명은?…내일 ‘허가 취소’ 등 논의
-
- 입력 2016-10-03 06:30:56
- 수정2016-10-03 07:35:17

<앵커 멘트>
논란의 발단이 된 항암치료 신약 '올리타'의 운명도 관심입니다.
한미약품 측은 일부 부작용에도 개발을 지속한다는 입장이지만 신규 암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이 금지되는 등 쉽지만은 않은 상황인데요.
식약처가 내일 관련 논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말기 폐암 환자들을 위한 한미약품의 '올리타'는 2상 임상 시험 단계를 거쳐 지난 5월 식약처의 조건부 승인을 받았습니다.
제약사 측은 부작용에 따른 사망 사건은 식약처의 승인을 받기 한 달 전 일이라며 개발 지속 방침을 밝혔습니다.
<녹취> 손지웅(한미약품 연구개발 총괄 부사장) : "기존 임상은 그대로 유지해 종결 시점까지 최종 보고서까지 저희 책임하에 진행할 것입니다."
하지만 식약처는 당시는 신약의 부작용인지가 명확하지 않았으며, 단순한 의심 단계였다는 입장입니다.
특히 이후에도 2건의 중증 피부 질환 부작용이 나타난 점 등을 들어 신규 암 환자의 올리타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추가 임상 시험을 하지 못하게 돼 현재로선 사실상 개발이 중단된 겁니다.
<녹취> 조병철(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교수) : "그동안 폐암 표적 항암제에서 거의 보고되지 않은 부작용입니다, 이런 중증 피부 독성이 생길 경우 환자의 생명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유사 성분의 폐암 신약이 한발 앞서 개발 중인 점도 부담입니다.
다국적제약사인 베링거인겔하임이 계약을 해지 한 것도 이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식약처는 내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를 열어 올리타의 시판 금지와 허가 취소 등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논란의 발단이 된 항암치료 신약 '올리타'의 운명도 관심입니다.
한미약품 측은 일부 부작용에도 개발을 지속한다는 입장이지만 신규 암 환자에 대한 임상 시험이 금지되는 등 쉽지만은 않은 상황인데요.
식약처가 내일 관련 논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충헌 의학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말기 폐암 환자들을 위한 한미약품의 '올리타'는 2상 임상 시험 단계를 거쳐 지난 5월 식약처의 조건부 승인을 받았습니다.
제약사 측은 부작용에 따른 사망 사건은 식약처의 승인을 받기 한 달 전 일이라며 개발 지속 방침을 밝혔습니다.
<녹취> 손지웅(한미약품 연구개발 총괄 부사장) : "기존 임상은 그대로 유지해 종결 시점까지 최종 보고서까지 저희 책임하에 진행할 것입니다."
하지만 식약처는 당시는 신약의 부작용인지가 명확하지 않았으며, 단순한 의심 단계였다는 입장입니다.
특히 이후에도 2건의 중증 피부 질환 부작용이 나타난 점 등을 들어 신규 암 환자의 올리타 사용을 금지했습니다.
추가 임상 시험을 하지 못하게 돼 현재로선 사실상 개발이 중단된 겁니다.
<녹취> 조병철(연세암병원 폐암센터 교수) : "그동안 폐암 표적 항암제에서 거의 보고되지 않은 부작용입니다, 이런 중증 피부 독성이 생길 경우 환자의 생명에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유사 성분의 폐암 신약이 한발 앞서 개발 중인 점도 부담입니다.
다국적제약사인 베링거인겔하임이 계약을 해지 한 것도 이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식약처는 내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를 열어 올리타의 시판 금지와 허가 취소 등을 결정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이충헌입니다.
-
-
이충헌 기자 chleemd@kbs.co.kr
이충헌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