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구작업 가속도, 빠르게 정상 찾는다
입력 2002.09.08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처럼 복구작업에 속도가 붙으면서 수해 지역은 이제 안정을 되찾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조병관 기자입니다.
⊙기자: 전기도 전화도 없이 아흐레째 고립되어 있는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복구반의 손길이 바쁩니다.
마을 전체가 사라졌지만 컨테이너가 긴급수송되면서 그간 거처가 없어 뿔뿔이 흩어졌던 가족이 다시 모이게 됐습니다.
⊙황서근(강릉시 장현동): 컨테이너 박스를 제 위치에 정돈하자면 한 2, 3일 더 걸릴 것 같아요.
⊙기자: 물에 잠겼던 가재도구를 정리하고 밀려든 토사도 치워지면서 시가지가 점차 제모습을 찾아갑니다.
⊙권선태(강릉시 노암동): 황당하고 놀랐어요, 많이...
지금은 정리가 되니까 착잡해요.
⊙기자: 복구작업이 활기를 띠는 데는 자원봉사자들의 헌신적인 노력도 한몫합니다.
⊙김경자(경기도 안산시 시일동): 진짜 뭐라 그럴까, 눈물나요.
여기 오니까.
⊙기자: 하천변과 도로 곳곳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수해의 흔적들도 조금씩 치워지고 있습니다.
오늘 하루 9만여 명이 넘는 복구인력이 대거 투입되면서 그간 두절됐던 강원도내 48군데 도로 가운데 37군데가 이어졌고 고립마을도 48곳에서 10곳으로 줄어들었습니다.
휴일도 잊은 민관군의 복구작업으로 수해의 악몽에서 벗어나 차츰 안정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KBS뉴스 조병관입니다.
계속해서 조병관 기자입니다.
⊙기자: 전기도 전화도 없이 아흐레째 고립되어 있는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복구반의 손길이 바쁩니다.
마을 전체가 사라졌지만 컨테이너가 긴급수송되면서 그간 거처가 없어 뿔뿔이 흩어졌던 가족이 다시 모이게 됐습니다.
⊙황서근(강릉시 장현동): 컨테이너 박스를 제 위치에 정돈하자면 한 2, 3일 더 걸릴 것 같아요.
⊙기자: 물에 잠겼던 가재도구를 정리하고 밀려든 토사도 치워지면서 시가지가 점차 제모습을 찾아갑니다.
⊙권선태(강릉시 노암동): 황당하고 놀랐어요, 많이...
지금은 정리가 되니까 착잡해요.
⊙기자: 복구작업이 활기를 띠는 데는 자원봉사자들의 헌신적인 노력도 한몫합니다.
⊙김경자(경기도 안산시 시일동): 진짜 뭐라 그럴까, 눈물나요.
여기 오니까.
⊙기자: 하천변과 도로 곳곳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수해의 흔적들도 조금씩 치워지고 있습니다.
오늘 하루 9만여 명이 넘는 복구인력이 대거 투입되면서 그간 두절됐던 강원도내 48군데 도로 가운데 37군데가 이어졌고 고립마을도 48곳에서 10곳으로 줄어들었습니다.
휴일도 잊은 민관군의 복구작업으로 수해의 악몽에서 벗어나 차츰 안정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KBS뉴스 조병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복구작업 가속도, 빠르게 정상 찾는다
-
- 입력 2002-09-08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이처럼 복구작업에 속도가 붙으면서 수해 지역은 이제 안정을 되찾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조병관 기자입니다.
⊙기자: 전기도 전화도 없이 아흐레째 고립되어 있는 주민들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복구반의 손길이 바쁩니다.
마을 전체가 사라졌지만 컨테이너가 긴급수송되면서 그간 거처가 없어 뿔뿔이 흩어졌던 가족이 다시 모이게 됐습니다.
⊙황서근(강릉시 장현동): 컨테이너 박스를 제 위치에 정돈하자면 한 2, 3일 더 걸릴 것 같아요.
⊙기자: 물에 잠겼던 가재도구를 정리하고 밀려든 토사도 치워지면서 시가지가 점차 제모습을 찾아갑니다.
⊙권선태(강릉시 노암동): 황당하고 놀랐어요, 많이...
지금은 정리가 되니까 착잡해요.
⊙기자: 복구작업이 활기를 띠는 데는 자원봉사자들의 헌신적인 노력도 한몫합니다.
⊙김경자(경기도 안산시 시일동): 진짜 뭐라 그럴까, 눈물나요.
여기 오니까.
⊙기자: 하천변과 도로 곳곳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수해의 흔적들도 조금씩 치워지고 있습니다.
오늘 하루 9만여 명이 넘는 복구인력이 대거 투입되면서 그간 두절됐던 강원도내 48군데 도로 가운데 37군데가 이어졌고 고립마을도 48곳에서 10곳으로 줄어들었습니다.
휴일도 잊은 민관군의 복구작업으로 수해의 악몽에서 벗어나 차츰 안정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KBS뉴스 조병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