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담] 치매 치료물질 개발한, 서유헌 서울대 교수 인터뷰

입력 2000.01.03 (21: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용화 눈 앞


⊙ 황현정 앵커:

새로운 치매 치료물질을 개발한 서울 의대 서유헌 교수를 중계차로 연결합니다.

서 교수님 반갑습니다.


⊙ 서유헌 (서울의대 교수) :

네, 반갑습니다.


⊙ 황현정 앵커 :

지금 동물실험하고 독성실험까지 끝난 단계라죠? 언제쯤 약으로 접할 수 있겠습니까?


⊙ 서유현 (서울의대 교수) :

앞으로 정상인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1상, 2상, 3상이 끝나는데 최소한 2~3년은 더 소요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황현정 앵커 :

치매 치료가 현재 세계적으로 어느 수준까지 가능합니까?


⊙ 서유헌 (서울의대 교수) :

근본적인 원인적인 치료는 아직 되지 있지 않구요, 그 다음에 병의 진행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약은 아직 없습니다. 다만 기억이나 인지 기능의 일부를 개선하는 그런 치료제가 나와 있습니다.


⊙ 황현정 앵커 :

이번에 개발하신 것이 기존의 치매치료제에 비해서 탁월하다던데 어떻게 다릅니까?


⊙ 서유헌 (서울의대 교수) :

기존의 치료제는 우리가 알츠하이머 치매에만 작용한다든지 혈관성 치매에만 작용하는 어느 한 가지만 작용을 했는데 저희들이 개발한 이 DHEA란 약은 양쪽 치매에 같이 작용을 해서 걸린 신경기능을 올려줘 가지고 기억기능을 올려줄 뿐만 아니라 또한 치매에서 나타나는 신경 세포가 죽어가는 과정을 일부 막아주는 예방 효과도 있습니다. 또한 그에 못지 않게 부작용이나 독작용은 기존의 다른 어떤 치매 치료제보다도 극소하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말을 할 수 있겠습니다.


⊙ 황현정 앵커 :

치매환자의 숫자가 지금 국내적으로 또 전세계적으로 얼마나 됩니까?


⊙ 서유헌 (서울의대 교수) :

아직 전세계적인 정확한 통계는 나와 있지 않지만 대략 우리가 65세 이상 노인환자의 약 10%가 치매 환자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한 20~30만 명, 미국에서는 400만 명 이상, 일본에서는 100만 명~200만 명, 그래서 전세계적으로는 약 한 2,000만 명 정도의 치매환자가 있으리라고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


⊙ 황현정 앵커:

서유헌 교수님 감사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 대담] 치매 치료물질 개발한, 서유헌 서울대 교수 인터뷰
    • 입력 2000-01-03 21:00:00
    뉴스 9

실용화 눈 앞


⊙ 황현정 앵커:

새로운 치매 치료물질을 개발한 서울 의대 서유헌 교수를 중계차로 연결합니다.

서 교수님 반갑습니다.


⊙ 서유헌 (서울의대 교수) :

네, 반갑습니다.


⊙ 황현정 앵커 :

지금 동물실험하고 독성실험까지 끝난 단계라죠? 언제쯤 약으로 접할 수 있겠습니까?


⊙ 서유현 (서울의대 교수) :

앞으로 정상인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1상, 2상, 3상이 끝나는데 최소한 2~3년은 더 소요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황현정 앵커 :

치매 치료가 현재 세계적으로 어느 수준까지 가능합니까?


⊙ 서유헌 (서울의대 교수) :

근본적인 원인적인 치료는 아직 되지 있지 않구요, 그 다음에 병의 진행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약은 아직 없습니다. 다만 기억이나 인지 기능의 일부를 개선하는 그런 치료제가 나와 있습니다.


⊙ 황현정 앵커 :

이번에 개발하신 것이 기존의 치매치료제에 비해서 탁월하다던데 어떻게 다릅니까?


⊙ 서유헌 (서울의대 교수) :

기존의 치료제는 우리가 알츠하이머 치매에만 작용한다든지 혈관성 치매에만 작용하는 어느 한 가지만 작용을 했는데 저희들이 개발한 이 DHEA란 약은 양쪽 치매에 같이 작용을 해서 걸린 신경기능을 올려줘 가지고 기억기능을 올려줄 뿐만 아니라 또한 치매에서 나타나는 신경 세포가 죽어가는 과정을 일부 막아주는 예방 효과도 있습니다. 또한 그에 못지 않게 부작용이나 독작용은 기존의 다른 어떤 치매 치료제보다도 극소하다는 것이 큰 장점으로 말을 할 수 있겠습니다.


⊙ 황현정 앵커 :

치매환자의 숫자가 지금 국내적으로 또 전세계적으로 얼마나 됩니까?


⊙ 서유헌 (서울의대 교수) :

아직 전세계적인 정확한 통계는 나와 있지 않지만 대략 우리가 65세 이상 노인환자의 약 10%가 치매 환자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한 20~30만 명, 미국에서는 400만 명 이상, 일본에서는 100만 명~200만 명, 그래서 전세계적으로는 약 한 2,000만 명 정도의 치매환자가 있으리라고 추정을 하고 있습니다.


⊙ 황현정 앵커:

서유헌 교수님 감사합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