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 김종진 앵커 :
KBS가 연중기획으로 다루고 있는 가정을 세우자, 오늘은 화목한 가정의 전제가 되는 부부금슬의 중요성을 생각해 봅니다.
김주영 기자입니다.
⊙ 김주영 기자 :
지난 98년 한해동안 우리나라 부부 가운데 12만쌍이 이혼했습니다. 해마다 이혼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법적으로 이혼은 아니지만 실제 깨져있는 가정도 많습니다. 이 여성들도 모두 가정을 떠난 주부들입니다. 대부분 남편을 피해 가정을 탈출한 것입니다.
⊙ 주부 :
술주정만 안 했으면 좋겠더라고요. 방에 들어와 잠을 못 자게 해요.
⊙ 김주영 기자 :
함께 가정을 떠나온 자녀들이 화목한 가정의 의미를 알 리가 없습니다.
⊙ 초등학교 2년 :
안 보고 싶어요. 아빠가 때리고 술주정 하니까요.
⊙ 김주영 기자 :
그러나 여기온 주부 가운데 20%만이 실제로 이혼하고 60%는 가정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원인을 제공했던 남편측이 반성한 것입니다. 무엇보다 남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 황인의 (경기도 의정부시) :
교육적인 부분도 엄마한테 완전히 일임하지 않고 같이 부부가 방과후의 생활이나 이런 부분에 대해서 대화를 많이 하는 편이에요.
⊙ 김주영 기자 :
가정의 화목은 어쩌면 단순하고 쉬운 일 일 수 있습니다. 서로에 대한 이해와 대화가 중요합니다.
⊙ 이상헌 (건전가정운동협의회장) :
남편과 아내의 역할이라고 하는 것은 이제는 한 가정을 지켜나아가는데 공동 책임, 또 상호 보완적인 책임을 서로 가져야 된다는 그런 얘기입니다.
⊙ 김주영 기자 :
한 대기업 조사로는 직원들의 61%가 가정의 화목과 안정된 삶을 새해 가장 큰 소망으로 꼽았습니다. 화목한 가정은 그러나 먼 곳에 있는 희망사항이라기 보다는 가족, 특히 부부가 어떻게 만들어가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KBS 뉴스, 김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정을 세웁시다] 화목한 가정위해 부부 함께 노력해야
-
- 입력 2000-01-07 21:00:00

부부
⊙ 김종진 앵커 :
KBS가 연중기획으로 다루고 있는 가정을 세우자, 오늘은 화목한 가정의 전제가 되는 부부금슬의 중요성을 생각해 봅니다.
김주영 기자입니다.
⊙ 김주영 기자 :
지난 98년 한해동안 우리나라 부부 가운데 12만쌍이 이혼했습니다. 해마다 이혼율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법적으로 이혼은 아니지만 실제 깨져있는 가정도 많습니다. 이 여성들도 모두 가정을 떠난 주부들입니다. 대부분 남편을 피해 가정을 탈출한 것입니다.
⊙ 주부 :
술주정만 안 했으면 좋겠더라고요. 방에 들어와 잠을 못 자게 해요.
⊙ 김주영 기자 :
함께 가정을 떠나온 자녀들이 화목한 가정의 의미를 알 리가 없습니다.
⊙ 초등학교 2년 :
안 보고 싶어요. 아빠가 때리고 술주정 하니까요.
⊙ 김주영 기자 :
그러나 여기온 주부 가운데 20%만이 실제로 이혼하고 60%는 가정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원인을 제공했던 남편측이 반성한 것입니다. 무엇보다 남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 황인의 (경기도 의정부시) :
교육적인 부분도 엄마한테 완전히 일임하지 않고 같이 부부가 방과후의 생활이나 이런 부분에 대해서 대화를 많이 하는 편이에요.
⊙ 김주영 기자 :
가정의 화목은 어쩌면 단순하고 쉬운 일 일 수 있습니다. 서로에 대한 이해와 대화가 중요합니다.
⊙ 이상헌 (건전가정운동협의회장) :
남편과 아내의 역할이라고 하는 것은 이제는 한 가정을 지켜나아가는데 공동 책임, 또 상호 보완적인 책임을 서로 가져야 된다는 그런 얘기입니다.
⊙ 김주영 기자 :
한 대기업 조사로는 직원들의 61%가 가정의 화목과 안정된 삶을 새해 가장 큰 소망으로 꼽았습니다. 화목한 가정은 그러나 먼 곳에 있는 희망사항이라기 보다는 가족, 특히 부부가 어떻게 만들어가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KBS 뉴스, 김주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