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성 심근증, 여성이 더 위험
입력 2002.12.03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스트레스 때문에 현대인들에게 심장질환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병이 없는데도 갑작스런 가슴통증이나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심근증인데 남성보다는 여성들에게 훨씬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홍수진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심한 충격이나 스트레스를 받는 순간 건강하던 사람이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쓰러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환자도 두 달 전쯤 이웃과의 말다툼 끝에 갑자기 쓰러졌습니다.
⊙이화영(스트레스성 심근증 환자): 너무 억울하다고 소리소리 지르고 그러다 보니까 숨이 막혀가지고 말을 못하겠더라고요.
⊙기자: 병명은 스트레스성 심근증.
심장근육의 일부가 멈춰서 온몸으로 보내야 할 혈액의 반밖에 내보내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혈관이 막히는 심근경색과 달리 심혈관의 막힌 부분은 보이지 않습니다.
한 대학병원이 3년간 심근경색 증세로 입원한 환자들을 조사한 결과 20명은 심장질환이 없는 스트레스성 심근증 환자였습니다.
특히 여성이 16명으로 남성보다 4배나 많았습니다.
감수성이 예민한 여성들이 외부의 자극에 더 쉽게 충격을 받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대부분 가족이나 이웃과의 다툼, 대수술 이후 등 극심한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가 원인이었습니다.
⊙권현철(성균관대 의대 내과 교수): 급격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올라가는 호르몬 자체가 심장에 독성과 손상을 일으켰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기자: 스트레스성 심근증의 대부분은 일주일이면 심장기능이 정상을 되찾습니다.
그러나 고혈압이나 당뇨환자에게 심한 스트레스는 금물입니다.
KBS뉴스 홍수진입니다.
지병이 없는데도 갑작스런 가슴통증이나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심근증인데 남성보다는 여성들에게 훨씬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홍수진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심한 충격이나 스트레스를 받는 순간 건강하던 사람이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쓰러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환자도 두 달 전쯤 이웃과의 말다툼 끝에 갑자기 쓰러졌습니다.
⊙이화영(스트레스성 심근증 환자): 너무 억울하다고 소리소리 지르고 그러다 보니까 숨이 막혀가지고 말을 못하겠더라고요.
⊙기자: 병명은 스트레스성 심근증.
심장근육의 일부가 멈춰서 온몸으로 보내야 할 혈액의 반밖에 내보내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혈관이 막히는 심근경색과 달리 심혈관의 막힌 부분은 보이지 않습니다.
한 대학병원이 3년간 심근경색 증세로 입원한 환자들을 조사한 결과 20명은 심장질환이 없는 스트레스성 심근증 환자였습니다.
특히 여성이 16명으로 남성보다 4배나 많았습니다.
감수성이 예민한 여성들이 외부의 자극에 더 쉽게 충격을 받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대부분 가족이나 이웃과의 다툼, 대수술 이후 등 극심한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가 원인이었습니다.
⊙권현철(성균관대 의대 내과 교수): 급격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올라가는 호르몬 자체가 심장에 독성과 손상을 일으켰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기자: 스트레스성 심근증의 대부분은 일주일이면 심장기능이 정상을 되찾습니다.
그러나 고혈압이나 당뇨환자에게 심한 스트레스는 금물입니다.
KBS뉴스 홍수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스트레스성 심근증, 여성이 더 위험
-
- 입력 2002-12-03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스트레스 때문에 현대인들에게 심장질환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지병이 없는데도 갑작스런 가슴통증이나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심근증인데 남성보다는 여성들에게 훨씬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홍수진 기자가 전해 드립니다.
⊙기자: 심한 충격이나 스트레스를 받는 순간 건강하던 사람이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쓰러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환자도 두 달 전쯤 이웃과의 말다툼 끝에 갑자기 쓰러졌습니다.
⊙이화영(스트레스성 심근증 환자): 너무 억울하다고 소리소리 지르고 그러다 보니까 숨이 막혀가지고 말을 못하겠더라고요.
⊙기자: 병명은 스트레스성 심근증.
심장근육의 일부가 멈춰서 온몸으로 보내야 할 혈액의 반밖에 내보내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혈관이 막히는 심근경색과 달리 심혈관의 막힌 부분은 보이지 않습니다.
한 대학병원이 3년간 심근경색 증세로 입원한 환자들을 조사한 결과 20명은 심장질환이 없는 스트레스성 심근증 환자였습니다.
특히 여성이 16명으로 남성보다 4배나 많았습니다.
감수성이 예민한 여성들이 외부의 자극에 더 쉽게 충격을 받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대부분 가족이나 이웃과의 다툼, 대수술 이후 등 극심한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가 원인이었습니다.
⊙권현철(성균관대 의대 내과 교수): 급격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올라가는 호르몬 자체가 심장에 독성과 손상을 일으켰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기자: 스트레스성 심근증의 대부분은 일주일이면 심장기능이 정상을 되찾습니다.
그러나 고혈압이나 당뇨환자에게 심한 스트레스는 금물입니다.
KBS뉴스 홍수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