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훈련 중단 종료” “대화 준비” 대북 강온 전략?
입력 2018.08.29 (23:16)
수정 2018.08.29 (23: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미국이 한미 연합군사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하고 나섰습니다.
비핵화 협상의 교착 국면에서 나온 이야기인데 향후 북미 간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됩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이재원 특파원, 미국 국방장관이 한미 연합군사 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 했는데 어떤 맥락에서 나온 발언인가요?
[기자]
네, 매티스 국방장관이 오늘 기자 브리핑에서 한 발언인데, 보다 정확히 말하면 한미 연합군사 훈련을 더 이상 중단할 계획이 없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한미 연합군사 훈련 중단은 아시다시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처음 밝힌 내용입니다.
북한의 비핵화 약속에 대한 우호적인 조치로 이해가 됐었습니다.
그런 만큼 한미 연합군사 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한 것은 북미 비핵화 협상의 교착 상태에 대해 미국이 강하게 불만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매티스 장관은 그 동안 몇몇 대규모 훈련이 중단된 적은 있지만, 한반도에서 군사 훈련을 안 한 적은 없었다, 따라서 군사 훈련 재개가 아니라 일부 훈련 중단을 취소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가 대화보다는 압박 모드로 전환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기자]
트럼프 정부의 기본 정책은 북핵 문제를 미국 안보의 최우선 순위에 놓고 평화적 방법으로 해결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핵 문제의 주도권을 잡고 매티스 국방장관은 후방에서 지원하는 정도의 역할 분담을 맡아 왔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매티스 국방장관이 발언을 하고 나선 점이 주목됩니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도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재고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제기하면서 대북 제재 유지를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북핵 해법에 대한 미국의 전면적 정책 기조 전환으로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 약속을 이행할 준비가 되면 미국도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며 여전히 방북 가능성을 열어 뒀습니다.
현재로서는 북한이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오도록 하기 위한 미국의 다각적 조치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미국이 한미 연합군사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하고 나섰습니다.
비핵화 협상의 교착 국면에서 나온 이야기인데 향후 북미 간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됩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이재원 특파원, 미국 국방장관이 한미 연합군사 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 했는데 어떤 맥락에서 나온 발언인가요?
[기자]
네, 매티스 국방장관이 오늘 기자 브리핑에서 한 발언인데, 보다 정확히 말하면 한미 연합군사 훈련을 더 이상 중단할 계획이 없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한미 연합군사 훈련 중단은 아시다시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처음 밝힌 내용입니다.
북한의 비핵화 약속에 대한 우호적인 조치로 이해가 됐었습니다.
그런 만큼 한미 연합군사 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한 것은 북미 비핵화 협상의 교착 상태에 대해 미국이 강하게 불만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매티스 장관은 그 동안 몇몇 대규모 훈련이 중단된 적은 있지만, 한반도에서 군사 훈련을 안 한 적은 없었다, 따라서 군사 훈련 재개가 아니라 일부 훈련 중단을 취소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가 대화보다는 압박 모드로 전환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기자]
트럼프 정부의 기본 정책은 북핵 문제를 미국 안보의 최우선 순위에 놓고 평화적 방법으로 해결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핵 문제의 주도권을 잡고 매티스 국방장관은 후방에서 지원하는 정도의 역할 분담을 맡아 왔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매티스 국방장관이 발언을 하고 나선 점이 주목됩니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도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재고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제기하면서 대북 제재 유지를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북핵 해법에 대한 미국의 전면적 정책 기조 전환으로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 약속을 이행할 준비가 되면 미국도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며 여전히 방북 가능성을 열어 뒀습니다.
현재로서는 북한이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오도록 하기 위한 미국의 다각적 조치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훈련 중단 종료” “대화 준비” 대북 강온 전략?
-
- 입력 2018-08-29 23:20:57
- 수정2018-08-29 23:43:39
[앵커]
미국이 한미 연합군사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하고 나섰습니다.
비핵화 협상의 교착 국면에서 나온 이야기인데 향후 북미 간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됩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이재원 특파원, 미국 국방장관이 한미 연합군사 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 했는데 어떤 맥락에서 나온 발언인가요?
[기자]
네, 매티스 국방장관이 오늘 기자 브리핑에서 한 발언인데, 보다 정확히 말하면 한미 연합군사 훈련을 더 이상 중단할 계획이 없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한미 연합군사 훈련 중단은 아시다시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처음 밝힌 내용입니다.
북한의 비핵화 약속에 대한 우호적인 조치로 이해가 됐었습니다.
그런 만큼 한미 연합군사 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한 것은 북미 비핵화 협상의 교착 상태에 대해 미국이 강하게 불만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매티스 장관은 그 동안 몇몇 대규모 훈련이 중단된 적은 있지만, 한반도에서 군사 훈련을 안 한 적은 없었다, 따라서 군사 훈련 재개가 아니라 일부 훈련 중단을 취소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가 대화보다는 압박 모드로 전환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기자]
트럼프 정부의 기본 정책은 북핵 문제를 미국 안보의 최우선 순위에 놓고 평화적 방법으로 해결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핵 문제의 주도권을 잡고 매티스 국방장관은 후방에서 지원하는 정도의 역할 분담을 맡아 왔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매티스 국방장관이 발언을 하고 나선 점이 주목됩니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도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재고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제기하면서 대북 제재 유지를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북핵 해법에 대한 미국의 전면적 정책 기조 전환으로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 약속을 이행할 준비가 되면 미국도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며 여전히 방북 가능성을 열어 뒀습니다.
현재로서는 북한이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오도록 하기 위한 미국의 다각적 조치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미국이 한미 연합군사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하고 나섰습니다.
비핵화 협상의 교착 국면에서 나온 이야기인데 향후 북미 간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됩니다.
워싱턴 연결합니다.
이재원 특파원, 미국 국방장관이 한미 연합군사 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 했는데 어떤 맥락에서 나온 발언인가요?
[기자]
네, 매티스 국방장관이 오늘 기자 브리핑에서 한 발언인데, 보다 정확히 말하면 한미 연합군사 훈련을 더 이상 중단할 계획이 없다, 이렇게 말했습니다.
한미 연합군사 훈련 중단은 아시다시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처음 밝힌 내용입니다.
북한의 비핵화 약속에 대한 우호적인 조치로 이해가 됐었습니다.
그런 만큼 한미 연합군사 훈련 재개 방침을 시사한 것은 북미 비핵화 협상의 교착 상태에 대해 미국이 강하게 불만을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매티스 장관은 그 동안 몇몇 대규모 훈련이 중단된 적은 있지만, 한반도에서 군사 훈련을 안 한 적은 없었다, 따라서 군사 훈련 재개가 아니라 일부 훈련 중단을 취소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앵커]
그렇다면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가 대화보다는 압박 모드로 전환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기자]
트럼프 정부의 기본 정책은 북핵 문제를 미국 안보의 최우선 순위에 놓고 평화적 방법으로 해결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핵 문제의 주도권을 잡고 매티스 국방장관은 후방에서 지원하는 정도의 역할 분담을 맡아 왔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매티스 국방장관이 발언을 하고 나선 점이 주목됩니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도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재고할 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제기하면서 대북 제재 유지를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북핵 해법에 대한 미국의 전면적 정책 기조 전환으로 보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 약속을 이행할 준비가 되면 미국도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며 여전히 방북 가능성을 열어 뒀습니다.
현재로서는 북한이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오도록 하기 위한 미국의 다각적 조치의 일환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재원입니다.
-
-
이재원 기자 ljw@kbs.co.kr
이재원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