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앵커&리포트] 가습기살균제 참사 7년…‘독성 조사’ 아직도 진행중
입력 2018.08.31 (21:37) 수정 2018.08.31 (21:56) 뉴스 9
[앵커]
7년전 오늘(31일), 가습기 살균제의 유해성이 세상에 공개됐습니다.
당시 만연하던 폐 손상의 원인으로 질병관리본부가 가습기 살균제를 지목했는데요.
4차례에 걸쳐 피해자를 조사했고, 6천 70여 명이 피해 신고를 했습니다.
사망자가 1337명, 생존환자가 4천 7백여 명입니다.
이중 현재 공식 피해자로 인정받은 사람은 10% 정돕니다.
새 정부들어 이를 사회적 참사로 규정하고 일년전에는 대통령이 직접 사과까지 했지만, 실험은 아직 진행중이고 피해입증은 어렵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류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따리마다 수북한 약봉지들, 대략 30가지가 넘습니다.
조순미 씨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 뒤 천식을 앓다가, 7년 만인 올해에서야 겨우 피해자로 인정받았습니다.
[조순미/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 "저희 피해자들이 뛰어다녀야만 하는 그런 현실인 거예요. 가서 매달리고 외치고 요구해야 되는..."]
구입 영수증이 없다는 이유로, 병원에 가지 않았다는 이유로, 수천 명이 여전히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 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그거 다 보상받지 않았어? 다 나라에서 해줬다고 하던데...이렇게 알고들 계시지만 전혀 그렇지 않거든요"]
특별법까지 시행됐지만, 피해구제는 여전히 소걸음입니다.
과학적 입증이 안 됐다는 이유로 'SK케미칼'과 '애경산업'이 만들어 판 살균제의 피해자들은 배상은커녕 사과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김미향/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가족 : "저희도 똑같은 가습기 피해자라고 정부에서 인정을 했는데 왜 지금 저희가 뒷전에 있는 상황인지는 저희도 모르겠어요" ]
올해 3월에는 나온다던 독성실험 결과도 기약 없이 미뤄졌습니다.
[김기태/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모임 대표 : "피해자들이 원하는 건 단계에 그 병의 증세에 맞춰서 치료해 달라는 겁니다. 그런데 무슨 큰거라도 뜯어내려고 하는 줄 알고 너무 피해자들하고 안 만나주는 것이 제일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살균제 피해를 조사하는 제2기 사회적참사 특조위는 오는 10월에야 본격 가동됩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7년전 오늘(31일), 가습기 살균제의 유해성이 세상에 공개됐습니다.
당시 만연하던 폐 손상의 원인으로 질병관리본부가 가습기 살균제를 지목했는데요.
4차례에 걸쳐 피해자를 조사했고, 6천 70여 명이 피해 신고를 했습니다.
사망자가 1337명, 생존환자가 4천 7백여 명입니다.
이중 현재 공식 피해자로 인정받은 사람은 10% 정돕니다.
새 정부들어 이를 사회적 참사로 규정하고 일년전에는 대통령이 직접 사과까지 했지만, 실험은 아직 진행중이고 피해입증은 어렵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류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따리마다 수북한 약봉지들, 대략 30가지가 넘습니다.
조순미 씨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 뒤 천식을 앓다가, 7년 만인 올해에서야 겨우 피해자로 인정받았습니다.
[조순미/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 "저희 피해자들이 뛰어다녀야만 하는 그런 현실인 거예요. 가서 매달리고 외치고 요구해야 되는..."]
구입 영수증이 없다는 이유로, 병원에 가지 않았다는 이유로, 수천 명이 여전히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 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그거 다 보상받지 않았어? 다 나라에서 해줬다고 하던데...이렇게 알고들 계시지만 전혀 그렇지 않거든요"]
특별법까지 시행됐지만, 피해구제는 여전히 소걸음입니다.
과학적 입증이 안 됐다는 이유로 'SK케미칼'과 '애경산업'이 만들어 판 살균제의 피해자들은 배상은커녕 사과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김미향/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가족 : "저희도 똑같은 가습기 피해자라고 정부에서 인정을 했는데 왜 지금 저희가 뒷전에 있는 상황인지는 저희도 모르겠어요" ]
올해 3월에는 나온다던 독성실험 결과도 기약 없이 미뤄졌습니다.
[김기태/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모임 대표 : "피해자들이 원하는 건 단계에 그 병의 증세에 맞춰서 치료해 달라는 겁니다. 그런데 무슨 큰거라도 뜯어내려고 하는 줄 알고 너무 피해자들하고 안 만나주는 것이 제일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살균제 피해를 조사하는 제2기 사회적참사 특조위는 오는 10월에야 본격 가동됩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 [앵커&리포트] 가습기살균제 참사 7년…‘독성 조사’ 아직도 진행중
-
- 입력 2018-08-31 21:40:16
- 수정2018-08-31 21:56:52

[앵커]
7년전 오늘(31일), 가습기 살균제의 유해성이 세상에 공개됐습니다.
당시 만연하던 폐 손상의 원인으로 질병관리본부가 가습기 살균제를 지목했는데요.
4차례에 걸쳐 피해자를 조사했고, 6천 70여 명이 피해 신고를 했습니다.
사망자가 1337명, 생존환자가 4천 7백여 명입니다.
이중 현재 공식 피해자로 인정받은 사람은 10% 정돕니다.
새 정부들어 이를 사회적 참사로 규정하고 일년전에는 대통령이 직접 사과까지 했지만, 실험은 아직 진행중이고 피해입증은 어렵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류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따리마다 수북한 약봉지들, 대략 30가지가 넘습니다.
조순미 씨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 뒤 천식을 앓다가, 7년 만인 올해에서야 겨우 피해자로 인정받았습니다.
[조순미/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 "저희 피해자들이 뛰어다녀야만 하는 그런 현실인 거예요. 가서 매달리고 외치고 요구해야 되는..."]
구입 영수증이 없다는 이유로, 병원에 가지 않았다는 이유로, 수천 명이 여전히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 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그거 다 보상받지 않았어? 다 나라에서 해줬다고 하던데...이렇게 알고들 계시지만 전혀 그렇지 않거든요"]
특별법까지 시행됐지만, 피해구제는 여전히 소걸음입니다.
과학적 입증이 안 됐다는 이유로 'SK케미칼'과 '애경산업'이 만들어 판 살균제의 피해자들은 배상은커녕 사과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김미향/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가족 : "저희도 똑같은 가습기 피해자라고 정부에서 인정을 했는데 왜 지금 저희가 뒷전에 있는 상황인지는 저희도 모르겠어요" ]
올해 3월에는 나온다던 독성실험 결과도 기약 없이 미뤄졌습니다.
[김기태/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모임 대표 : "피해자들이 원하는 건 단계에 그 병의 증세에 맞춰서 치료해 달라는 겁니다. 그런데 무슨 큰거라도 뜯어내려고 하는 줄 알고 너무 피해자들하고 안 만나주는 것이 제일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살균제 피해를 조사하는 제2기 사회적참사 특조위는 오는 10월에야 본격 가동됩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7년전 오늘(31일), 가습기 살균제의 유해성이 세상에 공개됐습니다.
당시 만연하던 폐 손상의 원인으로 질병관리본부가 가습기 살균제를 지목했는데요.
4차례에 걸쳐 피해자를 조사했고, 6천 70여 명이 피해 신고를 했습니다.
사망자가 1337명, 생존환자가 4천 7백여 명입니다.
이중 현재 공식 피해자로 인정받은 사람은 10% 정돕니다.
새 정부들어 이를 사회적 참사로 규정하고 일년전에는 대통령이 직접 사과까지 했지만, 실험은 아직 진행중이고 피해입증은 어렵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류란 기자입니다.
[리포트]
보따리마다 수북한 약봉지들, 대략 30가지가 넘습니다.
조순미 씨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 뒤 천식을 앓다가, 7년 만인 올해에서야 겨우 피해자로 인정받았습니다.
[조순미/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 "저희 피해자들이 뛰어다녀야만 하는 그런 현실인 거예요. 가서 매달리고 외치고 요구해야 되는..."]
구입 영수증이 없다는 이유로, 병원에 가지 않았다는 이유로, 수천 명이 여전히 피해자로 인정받지 못 하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그거 다 보상받지 않았어? 다 나라에서 해줬다고 하던데...이렇게 알고들 계시지만 전혀 그렇지 않거든요"]
특별법까지 시행됐지만, 피해구제는 여전히 소걸음입니다.
과학적 입증이 안 됐다는 이유로 'SK케미칼'과 '애경산업'이 만들어 판 살균제의 피해자들은 배상은커녕 사과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김미향/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가족 : "저희도 똑같은 가습기 피해자라고 정부에서 인정을 했는데 왜 지금 저희가 뒷전에 있는 상황인지는 저희도 모르겠어요" ]
올해 3월에는 나온다던 독성실험 결과도 기약 없이 미뤄졌습니다.
[김기태/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모임 대표 : "피해자들이 원하는 건 단계에 그 병의 증세에 맞춰서 치료해 달라는 겁니다. 그런데 무슨 큰거라도 뜯어내려고 하는 줄 알고 너무 피해자들하고 안 만나주는 것이 제일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
살균제 피해를 조사하는 제2기 사회적참사 특조위는 오는 10월에야 본격 가동됩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뉴스홈페이지 : https://goo.gl/4bWbkG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류란 기자 nany@kbs.co.kr
류란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