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아르헨티나, 쇠고기 수출 급증…달러는 어디로?
입력 2018.09.10 (09:51)
수정 2018.09.10 (10: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IMF 구제금융을 받으며 외환위기를 겪고 있는 아르헨티나의 올해 쇠고기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수출로 벌어들이는 1조 원에 가까운 달러가 금융 시장 안정에 별 도움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 이재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손님들로 북적이는 아르헨티나의 한 음식점입니다.
와인과 함께 숯불에 구워 '아사도'로 불리는 쇠고기 요리를 즐깁니다.
[음식점 종업원 : "요즘에 하루에 백 명 정도 손님이 옵니다. 지난해에는 60명 정도 왔습니다."]
5천만 명의 인구보다 더 많은 소를 기르는 나라 아르헨티나, 우리나라 소와 비슷한 생김새의 소들이 초원 팜파스에서 방목되고 있습니다.
쇠고기 소비량 증가와 함께 수출이 호기를 맞고 있습니다.
올들어 6월까지 아르헨티나의 쇠고기 수출량은 지난해보다 64%, 2016년보다는 두배 증가했습니다.
[사르놀도/축산업자 : "1년 동안 키운 소를 하루에 다 팔았습니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과 유럽, 페소화 가치 하락이 수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상반기 수출액은 약 1조 원 정도, 지난해보다 50% 증가했지만 외환 보유고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월터 모랄레스/금융 전문가 : "수출 대금으로 받은 달러를 외국에 10년 동안 둘 수 있습니다. 정부에 달러가 부족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업자들이 쇠고기를 팔아 번 달러를 페소화로 바꾸지 않고 보유하고 있다는 겁니다.
곡물과 쇠고기 수출로 경제 부국을 자랑했던 아르헨티나, 수출로 번 달러의 유입이 더디자 곡물에 수출세 부과라는 극약처방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IMF 구제금융을 받으며 외환위기를 겪고 있는 아르헨티나의 올해 쇠고기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수출로 벌어들이는 1조 원에 가까운 달러가 금융 시장 안정에 별 도움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 이재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손님들로 북적이는 아르헨티나의 한 음식점입니다.
와인과 함께 숯불에 구워 '아사도'로 불리는 쇠고기 요리를 즐깁니다.
[음식점 종업원 : "요즘에 하루에 백 명 정도 손님이 옵니다. 지난해에는 60명 정도 왔습니다."]
5천만 명의 인구보다 더 많은 소를 기르는 나라 아르헨티나, 우리나라 소와 비슷한 생김새의 소들이 초원 팜파스에서 방목되고 있습니다.
쇠고기 소비량 증가와 함께 수출이 호기를 맞고 있습니다.
올들어 6월까지 아르헨티나의 쇠고기 수출량은 지난해보다 64%, 2016년보다는 두배 증가했습니다.
[사르놀도/축산업자 : "1년 동안 키운 소를 하루에 다 팔았습니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과 유럽, 페소화 가치 하락이 수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상반기 수출액은 약 1조 원 정도, 지난해보다 50% 증가했지만 외환 보유고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월터 모랄레스/금융 전문가 : "수출 대금으로 받은 달러를 외국에 10년 동안 둘 수 있습니다. 정부에 달러가 부족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업자들이 쇠고기를 팔아 번 달러를 페소화로 바꾸지 않고 보유하고 있다는 겁니다.
곡물과 쇠고기 수출로 경제 부국을 자랑했던 아르헨티나, 수출로 번 달러의 유입이 더디자 곡물에 수출세 부과라는 극약처방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IMF’ 아르헨티나, 쇠고기 수출 급증…달러는 어디로?
-
- 입력 2018-09-10 09:53:08
- 수정2018-09-10 10:06:41

[앵커]
IMF 구제금융을 받으며 외환위기를 겪고 있는 아르헨티나의 올해 쇠고기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수출로 벌어들이는 1조 원에 가까운 달러가 금융 시장 안정에 별 도움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 이재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손님들로 북적이는 아르헨티나의 한 음식점입니다.
와인과 함께 숯불에 구워 '아사도'로 불리는 쇠고기 요리를 즐깁니다.
[음식점 종업원 : "요즘에 하루에 백 명 정도 손님이 옵니다. 지난해에는 60명 정도 왔습니다."]
5천만 명의 인구보다 더 많은 소를 기르는 나라 아르헨티나, 우리나라 소와 비슷한 생김새의 소들이 초원 팜파스에서 방목되고 있습니다.
쇠고기 소비량 증가와 함께 수출이 호기를 맞고 있습니다.
올들어 6월까지 아르헨티나의 쇠고기 수출량은 지난해보다 64%, 2016년보다는 두배 증가했습니다.
[사르놀도/축산업자 : "1년 동안 키운 소를 하루에 다 팔았습니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과 유럽, 페소화 가치 하락이 수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상반기 수출액은 약 1조 원 정도, 지난해보다 50% 증가했지만 외환 보유고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월터 모랄레스/금융 전문가 : "수출 대금으로 받은 달러를 외국에 10년 동안 둘 수 있습니다. 정부에 달러가 부족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업자들이 쇠고기를 팔아 번 달러를 페소화로 바꾸지 않고 보유하고 있다는 겁니다.
곡물과 쇠고기 수출로 경제 부국을 자랑했던 아르헨티나, 수출로 번 달러의 유입이 더디자 곡물에 수출세 부과라는 극약처방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IMF 구제금융을 받으며 외환위기를 겪고 있는 아르헨티나의 올해 쇠고기 수출이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수출로 벌어들이는 1조 원에 가까운 달러가 금융 시장 안정에 별 도움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지, 이재환 특파원이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손님들로 북적이는 아르헨티나의 한 음식점입니다.
와인과 함께 숯불에 구워 '아사도'로 불리는 쇠고기 요리를 즐깁니다.
[음식점 종업원 : "요즘에 하루에 백 명 정도 손님이 옵니다. 지난해에는 60명 정도 왔습니다."]
5천만 명의 인구보다 더 많은 소를 기르는 나라 아르헨티나, 우리나라 소와 비슷한 생김새의 소들이 초원 팜파스에서 방목되고 있습니다.
쇠고기 소비량 증가와 함께 수출이 호기를 맞고 있습니다.
올들어 6월까지 아르헨티나의 쇠고기 수출량은 지난해보다 64%, 2016년보다는 두배 증가했습니다.
[사르놀도/축산업자 : "1년 동안 키운 소를 하루에 다 팔았습니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과 유럽, 페소화 가치 하락이 수출 증가로 이어지고 있는 겁니다.
상반기 수출액은 약 1조 원 정도, 지난해보다 50% 증가했지만 외환 보유고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월터 모랄레스/금융 전문가 : "수출 대금으로 받은 달러를 외국에 10년 동안 둘 수 있습니다. 정부에 달러가 부족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업자들이 쇠고기를 팔아 번 달러를 페소화로 바꾸지 않고 보유하고 있다는 겁니다.
곡물과 쇠고기 수출로 경제 부국을 자랑했던 아르헨티나, 수출로 번 달러의 유입이 더디자 곡물에 수출세 부과라는 극약처방을 내놓기도 했습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KBS 뉴스 이재환입니다.
-
-
이재환 기자 happyjhl@kbs.co.kr
이재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