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협력 소극적” vs “변화 없다”…한중 전문가 격론
입력 2018.12.22 (06:40)
수정 2018.12.22 (08: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의 비핵화를 둘러싼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중국의 한반도정책이 최근 바뀌었느냐를 놓고 한중 양국 전문가들이 격론을 벌였습니다.
북한의 비핵화는 아직 첫 단계도 이뤄지지 않았다는 회의론도 중국측에서 제기됐습니다.
선양 김명주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중 양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이 모인 2018 동북아공동체 포럼.
남북, 북미 정상회담 이후 중국이 한반도 정책을 수정했다는 주장이 한국측에서 나왔습니다.
[문흥호/한양대 중국문제연구소장 : "북한과 미국의 관계 개선도 너무 빠르게 움직였고, 속도도 문제지만 중국을 은근히 옆으로 밀어내는 듯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미국과 한국에서 이른바 '차이나 패싱'이라는 말이 돌면서 북중 관계를 복원하고 한국과 거리를 두는 쪽으로 중국의 한반도 정책이 바뀌었다는 겁니다.
문 소장은 중국은 앞으로 한반도와 관련한 미국과의 협력에 소극적으로 나올 것이며, 사드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예전의 한중 관계로 복원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측 전문가가 적극 반박에 나섰습니다.
[뤼차오/랴오닝사회과학원 수석연구원 : "한반도 평화 진전 속도가 너무 빨라서 중국이 불만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제가 보기엔 잘못된 것입니다."]
중국측에선 북한의 비핵화 행보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진창이/중국 옌볜대 한반도연구센터 교수 : "북한의 비핵화는 아직 첫 단계에 진입하지 않는 상태여서 다시 예전처럼 핵보유국이 될 가능성이 여전히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내년 초 신년사에서도 좋은 시작이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는 겁니다.
한중 전문가들은 동북 3성 지역에서의 경제협력을 확대해 한국의 신 북방정책과 중국 일대일로 전략을 연계시켜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선양에서 KBS 뉴스 김명주입니다.
북한의 비핵화를 둘러싼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중국의 한반도정책이 최근 바뀌었느냐를 놓고 한중 양국 전문가들이 격론을 벌였습니다.
북한의 비핵화는 아직 첫 단계도 이뤄지지 않았다는 회의론도 중국측에서 제기됐습니다.
선양 김명주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중 양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이 모인 2018 동북아공동체 포럼.
남북, 북미 정상회담 이후 중국이 한반도 정책을 수정했다는 주장이 한국측에서 나왔습니다.
[문흥호/한양대 중국문제연구소장 : "북한과 미국의 관계 개선도 너무 빠르게 움직였고, 속도도 문제지만 중국을 은근히 옆으로 밀어내는 듯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미국과 한국에서 이른바 '차이나 패싱'이라는 말이 돌면서 북중 관계를 복원하고 한국과 거리를 두는 쪽으로 중국의 한반도 정책이 바뀌었다는 겁니다.
문 소장은 중국은 앞으로 한반도와 관련한 미국과의 협력에 소극적으로 나올 것이며, 사드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예전의 한중 관계로 복원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측 전문가가 적극 반박에 나섰습니다.
[뤼차오/랴오닝사회과학원 수석연구원 : "한반도 평화 진전 속도가 너무 빨라서 중국이 불만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제가 보기엔 잘못된 것입니다."]
중국측에선 북한의 비핵화 행보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진창이/중국 옌볜대 한반도연구센터 교수 : "북한의 비핵화는 아직 첫 단계에 진입하지 않는 상태여서 다시 예전처럼 핵보유국이 될 가능성이 여전히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내년 초 신년사에서도 좋은 시작이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는 겁니다.
한중 전문가들은 동북 3성 지역에서의 경제협력을 확대해 한국의 신 북방정책과 중국 일대일로 전략을 연계시켜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선양에서 KBS 뉴스 김명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반도 협력 소극적” vs “변화 없다”…한중 전문가 격론
-
- 입력 2018-12-22 06:42:57
- 수정2018-12-22 08:32:48

[앵커]
북한의 비핵화를 둘러싼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중국의 한반도정책이 최근 바뀌었느냐를 놓고 한중 양국 전문가들이 격론을 벌였습니다.
북한의 비핵화는 아직 첫 단계도 이뤄지지 않았다는 회의론도 중국측에서 제기됐습니다.
선양 김명주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중 양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이 모인 2018 동북아공동체 포럼.
남북, 북미 정상회담 이후 중국이 한반도 정책을 수정했다는 주장이 한국측에서 나왔습니다.
[문흥호/한양대 중국문제연구소장 : "북한과 미국의 관계 개선도 너무 빠르게 움직였고, 속도도 문제지만 중국을 은근히 옆으로 밀어내는 듯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미국과 한국에서 이른바 '차이나 패싱'이라는 말이 돌면서 북중 관계를 복원하고 한국과 거리를 두는 쪽으로 중국의 한반도 정책이 바뀌었다는 겁니다.
문 소장은 중국은 앞으로 한반도와 관련한 미국과의 협력에 소극적으로 나올 것이며, 사드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예전의 한중 관계로 복원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측 전문가가 적극 반박에 나섰습니다.
[뤼차오/랴오닝사회과학원 수석연구원 : "한반도 평화 진전 속도가 너무 빨라서 중국이 불만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제가 보기엔 잘못된 것입니다."]
중국측에선 북한의 비핵화 행보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진창이/중국 옌볜대 한반도연구센터 교수 : "북한의 비핵화는 아직 첫 단계에 진입하지 않는 상태여서 다시 예전처럼 핵보유국이 될 가능성이 여전히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내년 초 신년사에서도 좋은 시작이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는 겁니다.
한중 전문가들은 동북 3성 지역에서의 경제협력을 확대해 한국의 신 북방정책과 중국 일대일로 전략을 연계시켜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선양에서 KBS 뉴스 김명주입니다.
북한의 비핵화를 둘러싼 한반도 정세와 관련해 중국의 한반도정책이 최근 바뀌었느냐를 놓고 한중 양국 전문가들이 격론을 벌였습니다.
북한의 비핵화는 아직 첫 단계도 이뤄지지 않았다는 회의론도 중국측에서 제기됐습니다.
선양 김명주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중 양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이 모인 2018 동북아공동체 포럼.
남북, 북미 정상회담 이후 중국이 한반도 정책을 수정했다는 주장이 한국측에서 나왔습니다.
[문흥호/한양대 중국문제연구소장 : "북한과 미국의 관계 개선도 너무 빠르게 움직였고, 속도도 문제지만 중국을 은근히 옆으로 밀어내는 듯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미국과 한국에서 이른바 '차이나 패싱'이라는 말이 돌면서 북중 관계를 복원하고 한국과 거리를 두는 쪽으로 중국의 한반도 정책이 바뀌었다는 겁니다.
문 소장은 중국은 앞으로 한반도와 관련한 미국과의 협력에 소극적으로 나올 것이며, 사드 문제가 해결되더라도 예전의 한중 관계로 복원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에 대해 중국측 전문가가 적극 반박에 나섰습니다.
[뤼차오/랴오닝사회과학원 수석연구원 : "한반도 평화 진전 속도가 너무 빨라서 중국이 불만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면 제가 보기엔 잘못된 것입니다."]
중국측에선 북한의 비핵화 행보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진창이/중국 옌볜대 한반도연구센터 교수 : "북한의 비핵화는 아직 첫 단계에 진입하지 않는 상태여서 다시 예전처럼 핵보유국이 될 가능성이 여전히 있습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내년 초 신년사에서도 좋은 시작이 있을지 확신할 수 없다는 겁니다.
한중 전문가들은 동북 3성 지역에서의 경제협력을 확대해 한국의 신 북방정책과 중국 일대일로 전략을 연계시켜야 한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선양에서 KBS 뉴스 김명주입니다.
-
-
김명주 기자 silk@kbs.co.kr
김명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