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지구촌 Talk] 호주 폭염…‘코알라는 목마르다’
입력 2019.01.03 (10:52) 수정 2019.01.03 (10:59) 지구촌뉴스
자동재생
동영상영역 시작
동영상영역 끝

[앵커]
남반구 호주에서는 기온이 섭씨 40도를 웃도는 사상 최악의 폭염이 기승입니다.
사람뿐 아니라 동물도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데요.
물을 잘 안 마시기로 유명한 코알라가 대낮에 주민이 건넨 물을 덥석 마시는 모습이 화제가 됐습니다.
<지구촌 톡>에서 함께 보시죠.
[리포트]
우리에겐 한겨울인 지금, 호주 전역은 사상 최악의 불볕더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서호주의 경우 기상 관측이래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영상 49도까지 치솟았습니다.
남동부 지역도 평년 기온보다 무려 16도나 더 높게 나타났는데요.
빅토리아주 스트라스머튼 마을 기온이 섭씨 44도까지 치솟았던 이 날, 한 주민이 나무를 오르려던 코알라에게 생수를 건네 화제가 됐습니다.
호주 원주민들의 말로 '코알라'는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뜻인 데다 심지어 야행성 동물입니다.
그런데 이 대낮에 잠도 안 자고 나무에서 내려와 물을 마실 정도라는 건 이번 폭염이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네요.
남반구 호주에서는 기온이 섭씨 40도를 웃도는 사상 최악의 폭염이 기승입니다.
사람뿐 아니라 동물도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데요.
물을 잘 안 마시기로 유명한 코알라가 대낮에 주민이 건넨 물을 덥석 마시는 모습이 화제가 됐습니다.
<지구촌 톡>에서 함께 보시죠.
[리포트]
우리에겐 한겨울인 지금, 호주 전역은 사상 최악의 불볕더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서호주의 경우 기상 관측이래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영상 49도까지 치솟았습니다.
남동부 지역도 평년 기온보다 무려 16도나 더 높게 나타났는데요.
빅토리아주 스트라스머튼 마을 기온이 섭씨 44도까지 치솟았던 이 날, 한 주민이 나무를 오르려던 코알라에게 생수를 건네 화제가 됐습니다.
호주 원주민들의 말로 '코알라'는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뜻인 데다 심지어 야행성 동물입니다.
그런데 이 대낮에 잠도 안 자고 나무에서 내려와 물을 마실 정도라는 건 이번 폭염이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네요.
- [지구촌 Talk] 호주 폭염…‘코알라는 목마르다’
-
- 입력 2019-01-03 10:54:50
- 수정2019-01-03 10:59:10

[앵커]
남반구 호주에서는 기온이 섭씨 40도를 웃도는 사상 최악의 폭염이 기승입니다.
사람뿐 아니라 동물도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데요.
물을 잘 안 마시기로 유명한 코알라가 대낮에 주민이 건넨 물을 덥석 마시는 모습이 화제가 됐습니다.
<지구촌 톡>에서 함께 보시죠.
[리포트]
우리에겐 한겨울인 지금, 호주 전역은 사상 최악의 불볕더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서호주의 경우 기상 관측이래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영상 49도까지 치솟았습니다.
남동부 지역도 평년 기온보다 무려 16도나 더 높게 나타났는데요.
빅토리아주 스트라스머튼 마을 기온이 섭씨 44도까지 치솟았던 이 날, 한 주민이 나무를 오르려던 코알라에게 생수를 건네 화제가 됐습니다.
호주 원주민들의 말로 '코알라'는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뜻인 데다 심지어 야행성 동물입니다.
그런데 이 대낮에 잠도 안 자고 나무에서 내려와 물을 마실 정도라는 건 이번 폭염이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네요.
남반구 호주에서는 기온이 섭씨 40도를 웃도는 사상 최악의 폭염이 기승입니다.
사람뿐 아니라 동물도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는데요.
물을 잘 안 마시기로 유명한 코알라가 대낮에 주민이 건넨 물을 덥석 마시는 모습이 화제가 됐습니다.
<지구촌 톡>에서 함께 보시죠.
[리포트]
우리에겐 한겨울인 지금, 호주 전역은 사상 최악의 불볕더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서호주의 경우 기상 관측이래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영상 49도까지 치솟았습니다.
남동부 지역도 평년 기온보다 무려 16도나 더 높게 나타났는데요.
빅토리아주 스트라스머튼 마을 기온이 섭씨 44도까지 치솟았던 이 날, 한 주민이 나무를 오르려던 코알라에게 생수를 건네 화제가 됐습니다.
호주 원주민들의 말로 '코알라'는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뜻인 데다 심지어 야행성 동물입니다.
그런데 이 대낮에 잠도 안 자고 나무에서 내려와 물을 마실 정도라는 건 이번 폭염이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네요.
지구촌뉴스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KBS
KBS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