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북한은] 추위 가른 체육 훈련…목표는 우승! 외
입력 2019.02.23 (08:02)
수정 2019.02.23 (08: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북한의 최근 소식을 알아보는 <요즘 북한은>입니다.
양궁과 사격, 국가대표 선발전이 곧 세계대회 수준이라 할 만큼 우리가 강세를 보이는 스포츠 종목들인데요.
같은 민족이라서일까요?
북한의 양궁과 사격 실력도 만만치 않습니다.
메달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는 북한의 스포츠 선수들을 만나보시죠.
[리포트]
바람을 가르며 과녁 중앙에 정확히 꽂히는 화살.
날아가는 원반도 백발백중 맞추는 사격 솜씨.
[조선중앙TV/1월 23일 : "정확한 자세 잡기와 무기 유지, 숨 조절과 조준, 격발 동작들을 기계와 같이 이어 나가며 명중탄의 불줄기를 연속 터뜨립니다."]
세계 군인 체육대회와 아시아 선수권대회 등 각종 국제 스포츠대회를 전문적으로 준비하는 북한 군 내 체육단의 훈련 모습인데요.
호된 기초 체력 훈련은 모든 운동의 기본!
[리철수 : "국제 경기들에서 더 많은 금메달을 쟁취하기 위해 지난해에 비해 훈련 목표를 1.2배로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바람 같이 기후 영향을 많이 받는 양궁은, 야외 실내 모두에서 적응 훈련이 이뤄지는데요.
활을 들고 줄을 당기고, 다시 놓을 때까지.
동작마다 정확성을 높이는 연습이 반복됩니다.
[김윤철/감독 : "선수들의 개별적 특성에 맞게 기술 동작을 다섯 내지 여덟 개의 동작으로 세분화하고, 그 세분화한 동작을 매 선수들이 훈련과 경기에서 항상 생 각하면서 의식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구성을 높여 나갔습니다."]
고정된 목표지점뿐 아니라 이동 목표물까지 명중시켜야 하는 사격.
아시안게임 사격 금메달리스트가 말하는 가장 신경 써야 할 훈련은 무엇일까요?
[박명원/공훈 체육인 : "이동 목표 사격에서도 조준을 아무리 정확히 하고 유지가 좋다고 해도 마지막 발사 순간에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면 정확한 10점을 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난 시기 훈련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는데 기본을 두고 (훈련을 많이 진행하였습니다)."]
체제 유지를 위해 대중 체육은 물론 전문 체육도 강조해온 북한.
스포츠 대회도 전투라 칭할 정도로 중시하는데요.
선수들 입장에서도 능력 있는 전문 체육인들은 평양 이주나 해외에 나갈 기회를 얻을 수 있는데다, 메달을 따면 인민체육인이나 공훈체육인으로 대우받고 포상도 두둑해 선망의 대상이라고 합니다.
“싱싱한 채소의 비결은 성장 촉진제”
[앵커]
어떻게 하면 더 싱싱한 작물을 더 많이 수확할 수 있을까, 모든 농민들의 고민일 텐데요.
북한에서도 이런 고민을 하는가 봅니다.
최근 북한 TV가 작물의 생장을 돕는 촉진제를 대대적으로 선전하고 나섰는데요.
어떤 이유에서일까요?
[리포트]
선명한 초록빛으로 튼실하게 자란 오이.
짙은 녹색을 띠는 커다란 배추.
한겨울에도 싱싱하고 먹음직스러워 보이는 채소들이 온실에서 잘 자라고 있습니다.
[차철진/장천남새전문협동농장 부위원장 : "우리 농장에서는 고온 피해와 장마 피해를 받는 속에서도 남새 농사를 잘했습니다. 토마토, 오이, 고추, 수박, 진짜 남새농사가 멋있게 됐습니다. 통배추 하나가 이만했습니다."]
농장이 자랑하는 농사 성공의 비결은 ‘유기생장활성촉진제’라는 채소 성장 촉진제.
지역 풍토에 맞춰 개발한 이 촉진제를 종자에 담그거나 퇴비에 섞어 효과를 봤다고 합니다.
[김지섭/농업연구원 연구사 박사 부교수 : "농업 과학자들이 농작물 상류 활성제로서 여러 가지 새로운 약재를 개발해서 농업생산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농작물 수확을 올릴 뿐만 아니라 굼벵이 피해도 막습니다."]
병균도 막고, 토양도 비옥하게 만드는 촉진제 덕분에 아직 어린 나무들까지도 잘 자랐다는데요.
[김태석/증산군 산림경영소 모체양묘장 직장장 : "보십시오. 기림(유기생장활성촉진제 제품)을 이용한 나무와 요수를 이용한 나무의 뿌리가 얼마나 천지차이가 납니까? (예, 정말 차이가 심하게 납니다)."]
화학비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북한.
거름을 더 모으기 위한 주민들의 거름 전투가 매년 반복될 정도라서, 농사에 쓰이는 성장촉진제들은 개발될 때마다 비중 있게 보도되는데요.
농업 생산량을 늘리고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북한의 노력이 엿보이는 대목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북한의 최근 소식을 알아보는 <요즘 북한은>입니다.
양궁과 사격, 국가대표 선발전이 곧 세계대회 수준이라 할 만큼 우리가 강세를 보이는 스포츠 종목들인데요.
같은 민족이라서일까요?
북한의 양궁과 사격 실력도 만만치 않습니다.
메달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는 북한의 스포츠 선수들을 만나보시죠.
[리포트]
바람을 가르며 과녁 중앙에 정확히 꽂히는 화살.
날아가는 원반도 백발백중 맞추는 사격 솜씨.
[조선중앙TV/1월 23일 : "정확한 자세 잡기와 무기 유지, 숨 조절과 조준, 격발 동작들을 기계와 같이 이어 나가며 명중탄의 불줄기를 연속 터뜨립니다."]
세계 군인 체육대회와 아시아 선수권대회 등 각종 국제 스포츠대회를 전문적으로 준비하는 북한 군 내 체육단의 훈련 모습인데요.
호된 기초 체력 훈련은 모든 운동의 기본!
[리철수 : "국제 경기들에서 더 많은 금메달을 쟁취하기 위해 지난해에 비해 훈련 목표를 1.2배로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바람 같이 기후 영향을 많이 받는 양궁은, 야외 실내 모두에서 적응 훈련이 이뤄지는데요.
활을 들고 줄을 당기고, 다시 놓을 때까지.
동작마다 정확성을 높이는 연습이 반복됩니다.
[김윤철/감독 : "선수들의 개별적 특성에 맞게 기술 동작을 다섯 내지 여덟 개의 동작으로 세분화하고, 그 세분화한 동작을 매 선수들이 훈련과 경기에서 항상 생 각하면서 의식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구성을 높여 나갔습니다."]
고정된 목표지점뿐 아니라 이동 목표물까지 명중시켜야 하는 사격.
아시안게임 사격 금메달리스트가 말하는 가장 신경 써야 할 훈련은 무엇일까요?
[박명원/공훈 체육인 : "이동 목표 사격에서도 조준을 아무리 정확히 하고 유지가 좋다고 해도 마지막 발사 순간에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면 정확한 10점을 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난 시기 훈련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는데 기본을 두고 (훈련을 많이 진행하였습니다)."]
체제 유지를 위해 대중 체육은 물론 전문 체육도 강조해온 북한.
스포츠 대회도 전투라 칭할 정도로 중시하는데요.
선수들 입장에서도 능력 있는 전문 체육인들은 평양 이주나 해외에 나갈 기회를 얻을 수 있는데다, 메달을 따면 인민체육인이나 공훈체육인으로 대우받고 포상도 두둑해 선망의 대상이라고 합니다.
“싱싱한 채소의 비결은 성장 촉진제”
[앵커]
어떻게 하면 더 싱싱한 작물을 더 많이 수확할 수 있을까, 모든 농민들의 고민일 텐데요.
북한에서도 이런 고민을 하는가 봅니다.
최근 북한 TV가 작물의 생장을 돕는 촉진제를 대대적으로 선전하고 나섰는데요.
어떤 이유에서일까요?
[리포트]
선명한 초록빛으로 튼실하게 자란 오이.
짙은 녹색을 띠는 커다란 배추.
한겨울에도 싱싱하고 먹음직스러워 보이는 채소들이 온실에서 잘 자라고 있습니다.
[차철진/장천남새전문협동농장 부위원장 : "우리 농장에서는 고온 피해와 장마 피해를 받는 속에서도 남새 농사를 잘했습니다. 토마토, 오이, 고추, 수박, 진짜 남새농사가 멋있게 됐습니다. 통배추 하나가 이만했습니다."]
농장이 자랑하는 농사 성공의 비결은 ‘유기생장활성촉진제’라는 채소 성장 촉진제.
지역 풍토에 맞춰 개발한 이 촉진제를 종자에 담그거나 퇴비에 섞어 효과를 봤다고 합니다.
[김지섭/농업연구원 연구사 박사 부교수 : "농업 과학자들이 농작물 상류 활성제로서 여러 가지 새로운 약재를 개발해서 농업생산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농작물 수확을 올릴 뿐만 아니라 굼벵이 피해도 막습니다."]
병균도 막고, 토양도 비옥하게 만드는 촉진제 덕분에 아직 어린 나무들까지도 잘 자랐다는데요.
[김태석/증산군 산림경영소 모체양묘장 직장장 : "보십시오. 기림(유기생장활성촉진제 제품)을 이용한 나무와 요수를 이용한 나무의 뿌리가 얼마나 천지차이가 납니까? (예, 정말 차이가 심하게 납니다)."]
화학비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북한.
거름을 더 모으기 위한 주민들의 거름 전투가 매년 반복될 정도라서, 농사에 쓰이는 성장촉진제들은 개발될 때마다 비중 있게 보도되는데요.
농업 생산량을 늘리고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북한의 노력이 엿보이는 대목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요즘 북한은] 추위 가른 체육 훈련…목표는 우승! 외
-
- 입력 2019-02-23 08:25:20
- 수정2019-02-23 08:52:10

[앵커]
북한의 최근 소식을 알아보는 <요즘 북한은>입니다.
양궁과 사격, 국가대표 선발전이 곧 세계대회 수준이라 할 만큼 우리가 강세를 보이는 스포츠 종목들인데요.
같은 민족이라서일까요?
북한의 양궁과 사격 실력도 만만치 않습니다.
메달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는 북한의 스포츠 선수들을 만나보시죠.
[리포트]
바람을 가르며 과녁 중앙에 정확히 꽂히는 화살.
날아가는 원반도 백발백중 맞추는 사격 솜씨.
[조선중앙TV/1월 23일 : "정확한 자세 잡기와 무기 유지, 숨 조절과 조준, 격발 동작들을 기계와 같이 이어 나가며 명중탄의 불줄기를 연속 터뜨립니다."]
세계 군인 체육대회와 아시아 선수권대회 등 각종 국제 스포츠대회를 전문적으로 준비하는 북한 군 내 체육단의 훈련 모습인데요.
호된 기초 체력 훈련은 모든 운동의 기본!
[리철수 : "국제 경기들에서 더 많은 금메달을 쟁취하기 위해 지난해에 비해 훈련 목표를 1.2배로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바람 같이 기후 영향을 많이 받는 양궁은, 야외 실내 모두에서 적응 훈련이 이뤄지는데요.
활을 들고 줄을 당기고, 다시 놓을 때까지.
동작마다 정확성을 높이는 연습이 반복됩니다.
[김윤철/감독 : "선수들의 개별적 특성에 맞게 기술 동작을 다섯 내지 여덟 개의 동작으로 세분화하고, 그 세분화한 동작을 매 선수들이 훈련과 경기에서 항상 생 각하면서 의식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구성을 높여 나갔습니다."]
고정된 목표지점뿐 아니라 이동 목표물까지 명중시켜야 하는 사격.
아시안게임 사격 금메달리스트가 말하는 가장 신경 써야 할 훈련은 무엇일까요?
[박명원/공훈 체육인 : "이동 목표 사격에서도 조준을 아무리 정확히 하고 유지가 좋다고 해도 마지막 발사 순간에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면 정확한 10점을 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난 시기 훈련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는데 기본을 두고 (훈련을 많이 진행하였습니다)."]
체제 유지를 위해 대중 체육은 물론 전문 체육도 강조해온 북한.
스포츠 대회도 전투라 칭할 정도로 중시하는데요.
선수들 입장에서도 능력 있는 전문 체육인들은 평양 이주나 해외에 나갈 기회를 얻을 수 있는데다, 메달을 따면 인민체육인이나 공훈체육인으로 대우받고 포상도 두둑해 선망의 대상이라고 합니다.
“싱싱한 채소의 비결은 성장 촉진제”
[앵커]
어떻게 하면 더 싱싱한 작물을 더 많이 수확할 수 있을까, 모든 농민들의 고민일 텐데요.
북한에서도 이런 고민을 하는가 봅니다.
최근 북한 TV가 작물의 생장을 돕는 촉진제를 대대적으로 선전하고 나섰는데요.
어떤 이유에서일까요?
[리포트]
선명한 초록빛으로 튼실하게 자란 오이.
짙은 녹색을 띠는 커다란 배추.
한겨울에도 싱싱하고 먹음직스러워 보이는 채소들이 온실에서 잘 자라고 있습니다.
[차철진/장천남새전문협동농장 부위원장 : "우리 농장에서는 고온 피해와 장마 피해를 받는 속에서도 남새 농사를 잘했습니다. 토마토, 오이, 고추, 수박, 진짜 남새농사가 멋있게 됐습니다. 통배추 하나가 이만했습니다."]
농장이 자랑하는 농사 성공의 비결은 ‘유기생장활성촉진제’라는 채소 성장 촉진제.
지역 풍토에 맞춰 개발한 이 촉진제를 종자에 담그거나 퇴비에 섞어 효과를 봤다고 합니다.
[김지섭/농업연구원 연구사 박사 부교수 : "농업 과학자들이 농작물 상류 활성제로서 여러 가지 새로운 약재를 개발해서 농업생산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농작물 수확을 올릴 뿐만 아니라 굼벵이 피해도 막습니다."]
병균도 막고, 토양도 비옥하게 만드는 촉진제 덕분에 아직 어린 나무들까지도 잘 자랐다는데요.
[김태석/증산군 산림경영소 모체양묘장 직장장 : "보십시오. 기림(유기생장활성촉진제 제품)을 이용한 나무와 요수를 이용한 나무의 뿌리가 얼마나 천지차이가 납니까? (예, 정말 차이가 심하게 납니다)."]
화학비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북한.
거름을 더 모으기 위한 주민들의 거름 전투가 매년 반복될 정도라서, 농사에 쓰이는 성장촉진제들은 개발될 때마다 비중 있게 보도되는데요.
농업 생산량을 늘리고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북한의 노력이 엿보이는 대목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북한의 최근 소식을 알아보는 <요즘 북한은>입니다.
양궁과 사격, 국가대표 선발전이 곧 세계대회 수준이라 할 만큼 우리가 강세를 보이는 스포츠 종목들인데요.
같은 민족이라서일까요?
북한의 양궁과 사격 실력도 만만치 않습니다.
메달을 위해 구슬땀을 흘리는 북한의 스포츠 선수들을 만나보시죠.
[리포트]
바람을 가르며 과녁 중앙에 정확히 꽂히는 화살.
날아가는 원반도 백발백중 맞추는 사격 솜씨.
[조선중앙TV/1월 23일 : "정확한 자세 잡기와 무기 유지, 숨 조절과 조준, 격발 동작들을 기계와 같이 이어 나가며 명중탄의 불줄기를 연속 터뜨립니다."]
세계 군인 체육대회와 아시아 선수권대회 등 각종 국제 스포츠대회를 전문적으로 준비하는 북한 군 내 체육단의 훈련 모습인데요.
호된 기초 체력 훈련은 모든 운동의 기본!
[리철수 : "국제 경기들에서 더 많은 금메달을 쟁취하기 위해 지난해에 비해 훈련 목표를 1.2배로 높여 나가고 있습니다."]
바람 같이 기후 영향을 많이 받는 양궁은, 야외 실내 모두에서 적응 훈련이 이뤄지는데요.
활을 들고 줄을 당기고, 다시 놓을 때까지.
동작마다 정확성을 높이는 연습이 반복됩니다.
[김윤철/감독 : "선수들의 개별적 특성에 맞게 기술 동작을 다섯 내지 여덟 개의 동작으로 세분화하고, 그 세분화한 동작을 매 선수들이 훈련과 경기에서 항상 생 각하면서 의식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구성을 높여 나갔습니다."]
고정된 목표지점뿐 아니라 이동 목표물까지 명중시켜야 하는 사격.
아시안게임 사격 금메달리스트가 말하는 가장 신경 써야 할 훈련은 무엇일까요?
[박명원/공훈 체육인 : "이동 목표 사격에서도 조준을 아무리 정확히 하고 유지가 좋다고 해도 마지막 발사 순간에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못하면 정확한 10점을 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난 시기 훈련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는데 기본을 두고 (훈련을 많이 진행하였습니다)."]
체제 유지를 위해 대중 체육은 물론 전문 체육도 강조해온 북한.
스포츠 대회도 전투라 칭할 정도로 중시하는데요.
선수들 입장에서도 능력 있는 전문 체육인들은 평양 이주나 해외에 나갈 기회를 얻을 수 있는데다, 메달을 따면 인민체육인이나 공훈체육인으로 대우받고 포상도 두둑해 선망의 대상이라고 합니다.
“싱싱한 채소의 비결은 성장 촉진제”
[앵커]
어떻게 하면 더 싱싱한 작물을 더 많이 수확할 수 있을까, 모든 농민들의 고민일 텐데요.
북한에서도 이런 고민을 하는가 봅니다.
최근 북한 TV가 작물의 생장을 돕는 촉진제를 대대적으로 선전하고 나섰는데요.
어떤 이유에서일까요?
[리포트]
선명한 초록빛으로 튼실하게 자란 오이.
짙은 녹색을 띠는 커다란 배추.
한겨울에도 싱싱하고 먹음직스러워 보이는 채소들이 온실에서 잘 자라고 있습니다.
[차철진/장천남새전문협동농장 부위원장 : "우리 농장에서는 고온 피해와 장마 피해를 받는 속에서도 남새 농사를 잘했습니다. 토마토, 오이, 고추, 수박, 진짜 남새농사가 멋있게 됐습니다. 통배추 하나가 이만했습니다."]
농장이 자랑하는 농사 성공의 비결은 ‘유기생장활성촉진제’라는 채소 성장 촉진제.
지역 풍토에 맞춰 개발한 이 촉진제를 종자에 담그거나 퇴비에 섞어 효과를 봤다고 합니다.
[김지섭/농업연구원 연구사 박사 부교수 : "농업 과학자들이 농작물 상류 활성제로서 여러 가지 새로운 약재를 개발해서 농업생산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농작물 수확을 올릴 뿐만 아니라 굼벵이 피해도 막습니다."]
병균도 막고, 토양도 비옥하게 만드는 촉진제 덕분에 아직 어린 나무들까지도 잘 자랐다는데요.
[김태석/증산군 산림경영소 모체양묘장 직장장 : "보십시오. 기림(유기생장활성촉진제 제품)을 이용한 나무와 요수를 이용한 나무의 뿌리가 얼마나 천지차이가 납니까? (예, 정말 차이가 심하게 납니다)."]
화학비료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북한.
거름을 더 모으기 위한 주민들의 거름 전투가 매년 반복될 정도라서, 농사에 쓰이는 성장촉진제들은 개발될 때마다 비중 있게 보도되는데요.
농업 생산량을 늘리고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북한의 노력이 엿보이는 대목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