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영역
상세페이지
공예 공모전 ‘명장들의 가족잔치?’…공신력 추락
입력 2019.07.03 (21:22) 수정 2019.07.03 (21:54) 뉴스 9
[앵커]
공예 분야의 일부 명장들이 관련 공모전을 둘러싼 가족 특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명장의 아들이 아버지 작품을 마치 자신의 것인양 출품해 수상했다는 겁니다.
지종익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6 년 대한민국 공예품 대전 광주지역 대회에 출품됐던 도자기입니다.
대학원생 손 모 씨가 출품해 학생부 최고상인 우수상을 받았습니다.
작품에 새겨진 낙관을 보니 도자기 아래쪽에 '무하'라고 써있습니다.
손 씨의 아버지이자 도자기 명장인 손동진 씨의 호가 새겨져 있습니다.
바닥의 지석은 손동진 명장의 개인 도요, 즉 가마의 이름입니다.
[당시 공모전 심사위원장/음성변조 : "(학생부 출품작에) 명장 호가 들어간다는 건 말이 안 되지. 아버지 작품을 갖다가 아들이 냈다는 것밖에 안되는데…. 꼼꼼하게 봐야 되는데 못 본 심사위원 책임도 있겠네 그럼."]
손 명장은 1 년 뒤, 대한민국 황실공예 대전에 같은 작품을 자신의 이름으로 출품했습니다.
[손동진/도자기 명장 : "제가 만들고 아들이 문양 같은 것도 고민해서 해요. 그래서 그게 보면 꼭 작품 낸 것이 꼭 제 작품이었을까 생각은 들어요."]
지난 2010년 관광기념품 공모전에는 두 명의 최 모 씨가 옻칠을 한 술잔과 자개 작품으로 각각 입상했습니다.
이들은 나전칠기 명장 최석현 씨의 딸과 아들로 밝혀졌습니다.
또 최 명장의 사위도 같은 공모전에 옻칠 젓가락을 출품해 입상했습니다.
최 명장은 당시 공모전을 주관했던 광주 공예협동조합 이사장이었습니다.
최 명장은 규정상 문제가 없었다고 말합니다.
[최석현/명장 : "아들도, 딸도, 우리 가족 식구들이 다 같이 그렇게 (옻칠과 나전칠기 작업을) 하고 있는 상황이었어요."]
사라져가는 전통 공예의 명맥을 살리려는 공예품 공모전이 일부 명장들의 가족 잔치처럼 변질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공예 분야의 일부 명장들이 관련 공모전을 둘러싼 가족 특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명장의 아들이 아버지 작품을 마치 자신의 것인양 출품해 수상했다는 겁니다.
지종익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6 년 대한민국 공예품 대전 광주지역 대회에 출품됐던 도자기입니다.
대학원생 손 모 씨가 출품해 학생부 최고상인 우수상을 받았습니다.
작품에 새겨진 낙관을 보니 도자기 아래쪽에 '무하'라고 써있습니다.
손 씨의 아버지이자 도자기 명장인 손동진 씨의 호가 새겨져 있습니다.
바닥의 지석은 손동진 명장의 개인 도요, 즉 가마의 이름입니다.
[당시 공모전 심사위원장/음성변조 : "(학생부 출품작에) 명장 호가 들어간다는 건 말이 안 되지. 아버지 작품을 갖다가 아들이 냈다는 것밖에 안되는데…. 꼼꼼하게 봐야 되는데 못 본 심사위원 책임도 있겠네 그럼."]
손 명장은 1 년 뒤, 대한민국 황실공예 대전에 같은 작품을 자신의 이름으로 출품했습니다.
[손동진/도자기 명장 : "제가 만들고 아들이 문양 같은 것도 고민해서 해요. 그래서 그게 보면 꼭 작품 낸 것이 꼭 제 작품이었을까 생각은 들어요."]
지난 2010년 관광기념품 공모전에는 두 명의 최 모 씨가 옻칠을 한 술잔과 자개 작품으로 각각 입상했습니다.
이들은 나전칠기 명장 최석현 씨의 딸과 아들로 밝혀졌습니다.
또 최 명장의 사위도 같은 공모전에 옻칠 젓가락을 출품해 입상했습니다.
최 명장은 당시 공모전을 주관했던 광주 공예협동조합 이사장이었습니다.
최 명장은 규정상 문제가 없었다고 말합니다.
[최석현/명장 : "아들도, 딸도, 우리 가족 식구들이 다 같이 그렇게 (옻칠과 나전칠기 작업을) 하고 있는 상황이었어요."]
사라져가는 전통 공예의 명맥을 살리려는 공예품 공모전이 일부 명장들의 가족 잔치처럼 변질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 공예 공모전 ‘명장들의 가족잔치?’…공신력 추락
-
- 입력 2019-07-03 21:28:20
- 수정2019-07-03 21:54:59

[앵커]
공예 분야의 일부 명장들이 관련 공모전을 둘러싼 가족 특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명장의 아들이 아버지 작품을 마치 자신의 것인양 출품해 수상했다는 겁니다.
지종익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6 년 대한민국 공예품 대전 광주지역 대회에 출품됐던 도자기입니다.
대학원생 손 모 씨가 출품해 학생부 최고상인 우수상을 받았습니다.
작품에 새겨진 낙관을 보니 도자기 아래쪽에 '무하'라고 써있습니다.
손 씨의 아버지이자 도자기 명장인 손동진 씨의 호가 새겨져 있습니다.
바닥의 지석은 손동진 명장의 개인 도요, 즉 가마의 이름입니다.
[당시 공모전 심사위원장/음성변조 : "(학생부 출품작에) 명장 호가 들어간다는 건 말이 안 되지. 아버지 작품을 갖다가 아들이 냈다는 것밖에 안되는데…. 꼼꼼하게 봐야 되는데 못 본 심사위원 책임도 있겠네 그럼."]
손 명장은 1 년 뒤, 대한민국 황실공예 대전에 같은 작품을 자신의 이름으로 출품했습니다.
[손동진/도자기 명장 : "제가 만들고 아들이 문양 같은 것도 고민해서 해요. 그래서 그게 보면 꼭 작품 낸 것이 꼭 제 작품이었을까 생각은 들어요."]
지난 2010년 관광기념품 공모전에는 두 명의 최 모 씨가 옻칠을 한 술잔과 자개 작품으로 각각 입상했습니다.
이들은 나전칠기 명장 최석현 씨의 딸과 아들로 밝혀졌습니다.
또 최 명장의 사위도 같은 공모전에 옻칠 젓가락을 출품해 입상했습니다.
최 명장은 당시 공모전을 주관했던 광주 공예협동조합 이사장이었습니다.
최 명장은 규정상 문제가 없었다고 말합니다.
[최석현/명장 : "아들도, 딸도, 우리 가족 식구들이 다 같이 그렇게 (옻칠과 나전칠기 작업을) 하고 있는 상황이었어요."]
사라져가는 전통 공예의 명맥을 살리려는 공예품 공모전이 일부 명장들의 가족 잔치처럼 변질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공예 분야의 일부 명장들이 관련 공모전을 둘러싼 가족 특혜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명장의 아들이 아버지 작품을 마치 자신의 것인양 출품해 수상했다는 겁니다.
지종익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6 년 대한민국 공예품 대전 광주지역 대회에 출품됐던 도자기입니다.
대학원생 손 모 씨가 출품해 학생부 최고상인 우수상을 받았습니다.
작품에 새겨진 낙관을 보니 도자기 아래쪽에 '무하'라고 써있습니다.
손 씨의 아버지이자 도자기 명장인 손동진 씨의 호가 새겨져 있습니다.
바닥의 지석은 손동진 명장의 개인 도요, 즉 가마의 이름입니다.
[당시 공모전 심사위원장/음성변조 : "(학생부 출품작에) 명장 호가 들어간다는 건 말이 안 되지. 아버지 작품을 갖다가 아들이 냈다는 것밖에 안되는데…. 꼼꼼하게 봐야 되는데 못 본 심사위원 책임도 있겠네 그럼."]
손 명장은 1 년 뒤, 대한민국 황실공예 대전에 같은 작품을 자신의 이름으로 출품했습니다.
[손동진/도자기 명장 : "제가 만들고 아들이 문양 같은 것도 고민해서 해요. 그래서 그게 보면 꼭 작품 낸 것이 꼭 제 작품이었을까 생각은 들어요."]
지난 2010년 관광기념품 공모전에는 두 명의 최 모 씨가 옻칠을 한 술잔과 자개 작품으로 각각 입상했습니다.
이들은 나전칠기 명장 최석현 씨의 딸과 아들로 밝혀졌습니다.
또 최 명장의 사위도 같은 공모전에 옻칠 젓가락을 출품해 입상했습니다.
최 명장은 당시 공모전을 주관했던 광주 공예협동조합 이사장이었습니다.
최 명장은 규정상 문제가 없었다고 말합니다.
[최석현/명장 : "아들도, 딸도, 우리 가족 식구들이 다 같이 그렇게 (옻칠과 나전칠기 작업을) 하고 있는 상황이었어요."]
사라져가는 전통 공예의 명맥을 살리려는 공예품 공모전이 일부 명장들의 가족 잔치처럼 변질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지종익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뉴스 9 전체보기
- 기자 정보
-
-
지종익 기자 jigu@kbs.co.kr
지종익 기자의 기사 모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