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지대 “우리도 통합”…기호 3번 노린다
입력 2020.02.10 (19:25)
수정 2020.02.10 (19: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호남 지역 의원들이 주축인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본격적인 통합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3당은 첫 회동에서 통합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지만, 통합방식과 지도부 구성 등에 대한 이견도 확인했습니다.
총선에서 원내 3당, '기호 3번'으로 중도 개혁층의 표심을 공략한다는 게 3당의 목표입니다.
조태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총선까지 남은 시간 불과 두 달.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통합'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정동영/민주평화당 대표 :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과 3자 통합을 통해 다당제 정치를 이끌어갈 제1야당 교체라는 꿈을 이루기 위한..."]
지역 기반 '도로 호남당' 아닌 '중도 개혁'의 가치 통합이라 강조했습니다.
[손학규/바른미래당 대표 : "중도통합은 단순히 호남정당을 만들기 위한 통합이 아닙니다. 당장의 정치적 이합집산에 그쳐서도 안 됩니다."]
3당은 통합추진기구 첫 회동에서 총선 전 통합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습니다.
1단계 통합 뒤 소상공인과 청년 세력을 끌어들인다는 데도 의견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통합 방식부터 이견입니다.
바른미래당은 자신들을 주축으로 한 '흡수 통합'을, 대안신당과 평화당은 '당대당 통합'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통합 정당'의 리더십을 외부인사에게 모두 넘길지, 현재 각 당 지도부가 참여할지도 이견입니다.
[박지원/대안신당 의원/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 : "통합해서 좋은 외부인사를 모셔서 그분에게 전권을 줘가지고, 공천 또는 비례대표 공천도 그분 책임 하에서..."]
세 당이 통합에 성공하면 바른미래당 '안철수계'가 탈당하더라도 곧바로 '원내 3당'이 됩니다.
비례명부 '기호 2번'을 노리는 한국당의 비례 전담 정당, 미래한국당의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호남 지역 의원들이 주축인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본격적인 통합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3당은 첫 회동에서 통합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지만, 통합방식과 지도부 구성 등에 대한 이견도 확인했습니다.
총선에서 원내 3당, '기호 3번'으로 중도 개혁층의 표심을 공략한다는 게 3당의 목표입니다.
조태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총선까지 남은 시간 불과 두 달.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통합'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정동영/민주평화당 대표 :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과 3자 통합을 통해 다당제 정치를 이끌어갈 제1야당 교체라는 꿈을 이루기 위한..."]
지역 기반 '도로 호남당' 아닌 '중도 개혁'의 가치 통합이라 강조했습니다.
[손학규/바른미래당 대표 : "중도통합은 단순히 호남정당을 만들기 위한 통합이 아닙니다. 당장의 정치적 이합집산에 그쳐서도 안 됩니다."]
3당은 통합추진기구 첫 회동에서 총선 전 통합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습니다.
1단계 통합 뒤 소상공인과 청년 세력을 끌어들인다는 데도 의견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통합 방식부터 이견입니다.
바른미래당은 자신들을 주축으로 한 '흡수 통합'을, 대안신당과 평화당은 '당대당 통합'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통합 정당'의 리더십을 외부인사에게 모두 넘길지, 현재 각 당 지도부가 참여할지도 이견입니다.
[박지원/대안신당 의원/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 : "통합해서 좋은 외부인사를 모셔서 그분에게 전권을 줘가지고, 공천 또는 비례대표 공천도 그분 책임 하에서..."]
세 당이 통합에 성공하면 바른미래당 '안철수계'가 탈당하더라도 곧바로 '원내 3당'이 됩니다.
비례명부 '기호 2번'을 노리는 한국당의 비례 전담 정당, 미래한국당의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제3지대 “우리도 통합”…기호 3번 노린다
-
- 입력 2020-02-10 19:27:41
- 수정2020-02-10 19:54:02

[앵커]
호남 지역 의원들이 주축인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본격적인 통합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3당은 첫 회동에서 통합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지만, 통합방식과 지도부 구성 등에 대한 이견도 확인했습니다.
총선에서 원내 3당, '기호 3번'으로 중도 개혁층의 표심을 공략한다는 게 3당의 목표입니다.
조태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총선까지 남은 시간 불과 두 달.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통합'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정동영/민주평화당 대표 :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과 3자 통합을 통해 다당제 정치를 이끌어갈 제1야당 교체라는 꿈을 이루기 위한..."]
지역 기반 '도로 호남당' 아닌 '중도 개혁'의 가치 통합이라 강조했습니다.
[손학규/바른미래당 대표 : "중도통합은 단순히 호남정당을 만들기 위한 통합이 아닙니다. 당장의 정치적 이합집산에 그쳐서도 안 됩니다."]
3당은 통합추진기구 첫 회동에서 총선 전 통합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습니다.
1단계 통합 뒤 소상공인과 청년 세력을 끌어들인다는 데도 의견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통합 방식부터 이견입니다.
바른미래당은 자신들을 주축으로 한 '흡수 통합'을, 대안신당과 평화당은 '당대당 통합'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통합 정당'의 리더십을 외부인사에게 모두 넘길지, 현재 각 당 지도부가 참여할지도 이견입니다.
[박지원/대안신당 의원/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 : "통합해서 좋은 외부인사를 모셔서 그분에게 전권을 줘가지고, 공천 또는 비례대표 공천도 그분 책임 하에서..."]
세 당이 통합에 성공하면 바른미래당 '안철수계'가 탈당하더라도 곧바로 '원내 3당'이 됩니다.
비례명부 '기호 2번'을 노리는 한국당의 비례 전담 정당, 미래한국당의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호남 지역 의원들이 주축인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본격적인 통합 논의를 시작했습니다.
3당은 첫 회동에서 통합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지만, 통합방식과 지도부 구성 등에 대한 이견도 확인했습니다.
총선에서 원내 3당, '기호 3번'으로 중도 개혁층의 표심을 공략한다는 게 3당의 목표입니다.
조태흠 기자입니다.
[리포트]
총선까지 남은 시간 불과 두 달.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통합'에 시동을 걸었습니다.
[정동영/민주평화당 대표 : "바른미래당과 대안신당과 3자 통합을 통해 다당제 정치를 이끌어갈 제1야당 교체라는 꿈을 이루기 위한..."]
지역 기반 '도로 호남당' 아닌 '중도 개혁'의 가치 통합이라 강조했습니다.
[손학규/바른미래당 대표 : "중도통합은 단순히 호남정당을 만들기 위한 통합이 아닙니다. 당장의 정치적 이합집산에 그쳐서도 안 됩니다."]
3당은 통합추진기구 첫 회동에서 총선 전 통합에 원칙적으로 합의했습니다.
1단계 통합 뒤 소상공인과 청년 세력을 끌어들인다는 데도 의견을 모았습니다.
하지만, 통합 방식부터 이견입니다.
바른미래당은 자신들을 주축으로 한 '흡수 통합'을, 대안신당과 평화당은 '당대당 통합'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통합 정당'의 리더십을 외부인사에게 모두 넘길지, 현재 각 당 지도부가 참여할지도 이견입니다.
[박지원/대안신당 의원/KBS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 : "통합해서 좋은 외부인사를 모셔서 그분에게 전권을 줘가지고, 공천 또는 비례대표 공천도 그분 책임 하에서..."]
세 당이 통합에 성공하면 바른미래당 '안철수계'가 탈당하더라도 곧바로 '원내 3당'이 됩니다.
비례명부 '기호 2번'을 노리는 한국당의 비례 전담 정당, 미래한국당의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조태흠입니다.
-
-
조태흠 기자 jotem@kbs.co.kr
조태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21대 국회의원 선거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