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의 성과와 과제
입력 2003.05.15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에는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와 남은 과제를 짚어봅니다.
이제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미 동맹관계가 한단계 진전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다시 북한을 주목해 봅니다. 백운기 차장의 대표 리포트입니다.
⊙기자: 활짝 웃는 두 정상의 밝은 얼굴, 북한 핵문제와 한미동맹 등 그 동안 불거졌던 갈등을 해소하는 데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두 정상 간의 신뢰였습니다.
부시 대통령의 북한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원칙을 받아들이고 노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추가적 조치 검토를 수용하기로 한 공동성명은 이 같은 두 정상의 신뢰가 바탕이 됐습니다.
⊙현인택(고려대 정외과 교수): 공동의 원칙과 전략을 마련했기 때문에 저는 이것이 첫걸음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자: 미 2사단의 재배치와 관련해 미국의 양보를 얻어낸 것도 이번 회담의 최대 성과 가운데 하나입니다.
당장 우리 기업인과 국제투자가들이 안도하면서 이를 반기고 있습니다.
⊙차영구(국방부 정책실장): 한미 동맹관계에 있어서 대단히 큰 신뢰가 형성이 됐다...
⊙기자: 그러나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남북 교류와 협력을 북한 핵문제에 연계시킨 것은 앞으로 남북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점에서 한가닥 우려를 던져줍니다.
북한이 이에 반발한다면 남북관계는 다시 한 번 진통을 겪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김태효(외교안보연구원 교수): 한미일 공조 측면에서 한국이 또 떠맡아야 될 혹은 참여해야 될 몫도 당연히 생기기 때문에 앞으로 한국에게는 이것이 좀 심사숙고해서 고민해 봐야 될 우리의 도전이라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
⊙기자: 그런 점에서 이제 선택은 북한의 몫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반도 평화와 안정은 한미간 못지않게 남북 간에 신뢰가 쌓일 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KBS뉴스 백운기입니다.
이제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미 동맹관계가 한단계 진전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다시 북한을 주목해 봅니다. 백운기 차장의 대표 리포트입니다.
⊙기자: 활짝 웃는 두 정상의 밝은 얼굴, 북한 핵문제와 한미동맹 등 그 동안 불거졌던 갈등을 해소하는 데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두 정상 간의 신뢰였습니다.
부시 대통령의 북한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원칙을 받아들이고 노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추가적 조치 검토를 수용하기로 한 공동성명은 이 같은 두 정상의 신뢰가 바탕이 됐습니다.
⊙현인택(고려대 정외과 교수): 공동의 원칙과 전략을 마련했기 때문에 저는 이것이 첫걸음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자: 미 2사단의 재배치와 관련해 미국의 양보를 얻어낸 것도 이번 회담의 최대 성과 가운데 하나입니다.
당장 우리 기업인과 국제투자가들이 안도하면서 이를 반기고 있습니다.
⊙차영구(국방부 정책실장): 한미 동맹관계에 있어서 대단히 큰 신뢰가 형성이 됐다...
⊙기자: 그러나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남북 교류와 협력을 북한 핵문제에 연계시킨 것은 앞으로 남북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점에서 한가닥 우려를 던져줍니다.
북한이 이에 반발한다면 남북관계는 다시 한 번 진통을 겪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김태효(외교안보연구원 교수): 한미일 공조 측면에서 한국이 또 떠맡아야 될 혹은 참여해야 될 몫도 당연히 생기기 때문에 앞으로 한국에게는 이것이 좀 심사숙고해서 고민해 봐야 될 우리의 도전이라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
⊙기자: 그런 점에서 이제 선택은 북한의 몫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반도 평화와 안정은 한미간 못지않게 남북 간에 신뢰가 쌓일 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KBS뉴스 백운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와 과제
-
- 입력 2003-05-15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이번에는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와 남은 과제를 짚어봅니다.
이제 노 대통령과 부시 대통령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미 동맹관계가 한단계 진전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다시 북한을 주목해 봅니다. 백운기 차장의 대표 리포트입니다.
⊙기자: 활짝 웃는 두 정상의 밝은 얼굴, 북한 핵문제와 한미동맹 등 그 동안 불거졌던 갈등을 해소하는 데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두 정상 간의 신뢰였습니다.
부시 대통령의 북한 핵문제의 평화적 해결원칙을 받아들이고 노 대통령은 북한에 대한 추가적 조치 검토를 수용하기로 한 공동성명은 이 같은 두 정상의 신뢰가 바탕이 됐습니다.
⊙현인택(고려대 정외과 교수): 공동의 원칙과 전략을 마련했기 때문에 저는 이것이 첫걸음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자: 미 2사단의 재배치와 관련해 미국의 양보를 얻어낸 것도 이번 회담의 최대 성과 가운데 하나입니다.
당장 우리 기업인과 국제투자가들이 안도하면서 이를 반기고 있습니다.
⊙차영구(국방부 정책실장): 한미 동맹관계에 있어서 대단히 큰 신뢰가 형성이 됐다...
⊙기자: 그러나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남북 교류와 협력을 북한 핵문제에 연계시킨 것은 앞으로 남북관계에 커다란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점에서 한가닥 우려를 던져줍니다.
북한이 이에 반발한다면 남북관계는 다시 한 번 진통을 겪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김태효(외교안보연구원 교수): 한미일 공조 측면에서 한국이 또 떠맡아야 될 혹은 참여해야 될 몫도 당연히 생기기 때문에 앞으로 한국에게는 이것이 좀 심사숙고해서 고민해 봐야 될 우리의 도전이라고 볼 수가 있겠습니다.
⊙기자: 그런 점에서 이제 선택은 북한의 몫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반도 평화와 안정은 한미간 못지않게 남북 간에 신뢰가 쌓일 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KBS뉴스 백운기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