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 도심 절반 해일로 쑥대밭
입력 2003.09.15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태풍으로 경남 마산은 도심 절반이 해일로 쑥대밭이 됐습니다.
무방비 상태에서 당한 대형 백화점과 주상복합건물의 피해 실태를 정재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바닷물에 잠겨 있던 대형 백화점 잡화매장이 처참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지하 5층까지 있는 이 백화점에 찬 바닷물은 무려 17만톤에 이릅니다.
사흘 동안 계속된 물빼기 작업으로도 아직 한 개 층도 물을 빼지 못했습니다.
이 백화점은 점포가 입주해 있는 세 개 층이 침수되면서 피해금액만도 300억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부근에 있는 대형 할인점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흙탕물을 뒤집어쓴 냉장고와 진열대는 바닥에 나뒹굴고 각종 상품들은 쓰레기처럼 보입니다.
천장도 폭삭 내려앉아 마치 폭격을 맞은 듯합니다.
⊙할인점 직원: 이틀간 휴무됐기 때문에 사실상 재산피해만 났었지 만일 영업을 했다면 인명피해까지 났었죠.
⊙기자: 지하 주차장은 황토흙을 뒤집어쓴 차량들로 어지럽습니다.
지하 점포들도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로 훼손됐습니다.
전기와 기계시설이 대부분 지하 맨 아래층에 위치해 전기와 수돗물 공급은 언제 재개될지 까마득합니다.
⊙강재영(마산시 신포동): 지금 물이 안 나오지, 전기가 안 들어오지, 그러니까 화장실도 쓰기도 문제가 있고 밥도 못 해 먹죠, 그러니까 하나, 둘이 문제가 아니고 냉장고에 음식이고 뭐고...
⊙기자: 침수된 주상복합 건물은 100여 개, 건물에 찬 바닷물을 빼는 데만 일주일 정도 걸려 주민들의 고통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정재준입니다.
무방비 상태에서 당한 대형 백화점과 주상복합건물의 피해 실태를 정재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바닷물에 잠겨 있던 대형 백화점 잡화매장이 처참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지하 5층까지 있는 이 백화점에 찬 바닷물은 무려 17만톤에 이릅니다.
사흘 동안 계속된 물빼기 작업으로도 아직 한 개 층도 물을 빼지 못했습니다.
이 백화점은 점포가 입주해 있는 세 개 층이 침수되면서 피해금액만도 300억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부근에 있는 대형 할인점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흙탕물을 뒤집어쓴 냉장고와 진열대는 바닥에 나뒹굴고 각종 상품들은 쓰레기처럼 보입니다.
천장도 폭삭 내려앉아 마치 폭격을 맞은 듯합니다.
⊙할인점 직원: 이틀간 휴무됐기 때문에 사실상 재산피해만 났었지 만일 영업을 했다면 인명피해까지 났었죠.
⊙기자: 지하 주차장은 황토흙을 뒤집어쓴 차량들로 어지럽습니다.
지하 점포들도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로 훼손됐습니다.
전기와 기계시설이 대부분 지하 맨 아래층에 위치해 전기와 수돗물 공급은 언제 재개될지 까마득합니다.
⊙강재영(마산시 신포동): 지금 물이 안 나오지, 전기가 안 들어오지, 그러니까 화장실도 쓰기도 문제가 있고 밥도 못 해 먹죠, 그러니까 하나, 둘이 문제가 아니고 냉장고에 음식이고 뭐고...
⊙기자: 침수된 주상복합 건물은 100여 개, 건물에 찬 바닷물을 빼는 데만 일주일 정도 걸려 주민들의 고통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정재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마산, 도심 절반 해일로 쑥대밭
-
- 입력 2003-09-15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이번 태풍으로 경남 마산은 도심 절반이 해일로 쑥대밭이 됐습니다.
무방비 상태에서 당한 대형 백화점과 주상복합건물의 피해 실태를 정재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바닷물에 잠겨 있던 대형 백화점 잡화매장이 처참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지하 5층까지 있는 이 백화점에 찬 바닷물은 무려 17만톤에 이릅니다.
사흘 동안 계속된 물빼기 작업으로도 아직 한 개 층도 물을 빼지 못했습니다.
이 백화점은 점포가 입주해 있는 세 개 층이 침수되면서 피해금액만도 300억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부근에 있는 대형 할인점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흙탕물을 뒤집어쓴 냉장고와 진열대는 바닥에 나뒹굴고 각종 상품들은 쓰레기처럼 보입니다.
천장도 폭삭 내려앉아 마치 폭격을 맞은 듯합니다.
⊙할인점 직원: 이틀간 휴무됐기 때문에 사실상 재산피해만 났었지 만일 영업을 했다면 인명피해까지 났었죠.
⊙기자: 지하 주차장은 황토흙을 뒤집어쓴 차량들로 어지럽습니다.
지하 점포들도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로 훼손됐습니다.
전기와 기계시설이 대부분 지하 맨 아래층에 위치해 전기와 수돗물 공급은 언제 재개될지 까마득합니다.
⊙강재영(마산시 신포동): 지금 물이 안 나오지, 전기가 안 들어오지, 그러니까 화장실도 쓰기도 문제가 있고 밥도 못 해 먹죠, 그러니까 하나, 둘이 문제가 아니고 냉장고에 음식이고 뭐고...
⊙기자: 침수된 주상복합 건물은 100여 개, 건물에 찬 바닷물을 빼는 데만 일주일 정도 걸려 주민들의 고통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KBS뉴스 정재준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