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체크K] 애기뿔소똥구리 사진 조작 논란…환경단체 “사과하라”

입력 2020.12.03 (21:42) 수정 2020.12.03 (21: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주도의회에서 때아닌 '소똥구리'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비자림로 공사와 관련해 김경학 의원이 어제 "환경단체가 멸종위기종인 애기뿔소똥구리 사진을 조작했다'는 주장을 제기한 건데요.

환경단체는 즉각 반발하며 사과를 요구했는데, 문준영 기자가 팩트체크했습니다.

[리포트]

[김경학/도의원/어제 : "이 쇠(소)똥구리를 잡아다가 삼나무에 매달아 놓고 사진을 찍어서 쇠(소)똥구리 서식지라고 해서 방송을 탑니다. 신이 내린 기적이에요. 왜곡하고 조작하는 것 이것은 안 된다."]

비자림로 확장 공사구간이 지역구인 김경학 도의원이 들고 있는 사진.

비자림로 시민 모니터링단이 지난해 5월 29일 촬영해 비자림로 확장 구간에서 애기뿔소똥구리가 발견됐다며 언론에 배포한 겁니다.

취재진이 국립생물자원관과 민간연구소에 문의한 결과, 사진에 나온 곤충은 멸종위기종인 애기뿔소똥구리가 아닌, 뿔소똥구리 암컷이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시민 모니터링단이 당시 배포한 사진설명이 잘못됐던 겁니다.

하지만 김 의원의 주장대로 삼나무에 매달아 찍은 조작된 사진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 측은 소똥구리의 다리 구조상 나무에 매달리는 건 드물지만, 잘 날아다니는 특성이 있어 스스로 매달릴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비자림로 생태조사에 참여한 곤충 전문가 역시 같은 의견입니다.

[이강운/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 "똥냄새를 맡고 빛에 유인돼서 날아가다가 비행할 때 간섭하는 게 있으면 그쪽에 붙는다고요. 그게 꼭 삼나무에 붙어서 삼나무에 서식한다는 뜻이 아니라 비행 중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취재진은 직접 사진을 촬영한 비자림로 시민 모니터링 단원에게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습니다.

시민 모니터링단은 뿔소똥구리를 애기뿔소똥구리로 명시한 것은 잘못이지만, 일부러 나무에 가져다 붙여 놓는 등의 조작은 없었다며 김 의원이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반발했습니다.

[김순애/비자림로 시민모니터링단 : "전문가들의 견해로 뿔소똥구리라고 확인을 받았습니다. 그건 정정합니다. 삼나무에 서식한다 아니다가 중요한 게 아니라, 비자림로가 그만큼 중요한 서식환경인지 아닌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6월 제주대학교와 환경단체가 참여해 작성한 비자림로 확장 '1·3 구간 추가 생태 조사 최종보고서'에는 삼나무 군락지에 애기뿔소똥구리가 서식하지 않는다고 적혀 있습니다.

다만 비자림로 확장공사 전 구간에서 애기뿔소똥구리가 높은 밀도로 서식하고 있다며 공사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의견 역시 담겨 있습니다.

김경학 의원은 이에 대해 애기뿔소똥구리가 비자림로 확장 구간 주변에 서식하는 부분은 이해하지만, 벌목 구간인 삼나무 숲에서 발견됐다는 건 동의하기 어렵다며 사진이 연출됐다는 강한 의심이 든다는 입장을 전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팩트체크K] 애기뿔소똥구리 사진 조작 논란…환경단체 “사과하라”
    • 입력 2020-12-03 21:42:11
    • 수정2020-12-03 21:53:23
    뉴스9(제주)
[앵커]

제주도의회에서 때아닌 '소똥구리' 논란이 불거졌습니다.

비자림로 공사와 관련해 김경학 의원이 어제 "환경단체가 멸종위기종인 애기뿔소똥구리 사진을 조작했다'는 주장을 제기한 건데요.

환경단체는 즉각 반발하며 사과를 요구했는데, 문준영 기자가 팩트체크했습니다.

[리포트]

[김경학/도의원/어제 : "이 쇠(소)똥구리를 잡아다가 삼나무에 매달아 놓고 사진을 찍어서 쇠(소)똥구리 서식지라고 해서 방송을 탑니다. 신이 내린 기적이에요. 왜곡하고 조작하는 것 이것은 안 된다."]

비자림로 확장 공사구간이 지역구인 김경학 도의원이 들고 있는 사진.

비자림로 시민 모니터링단이 지난해 5월 29일 촬영해 비자림로 확장 구간에서 애기뿔소똥구리가 발견됐다며 언론에 배포한 겁니다.

취재진이 국립생물자원관과 민간연구소에 문의한 결과, 사진에 나온 곤충은 멸종위기종인 애기뿔소똥구리가 아닌, 뿔소똥구리 암컷이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시민 모니터링단이 당시 배포한 사진설명이 잘못됐던 겁니다.

하지만 김 의원의 주장대로 삼나무에 매달아 찍은 조작된 사진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 측은 소똥구리의 다리 구조상 나무에 매달리는 건 드물지만, 잘 날아다니는 특성이 있어 스스로 매달릴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비자림로 생태조사에 참여한 곤충 전문가 역시 같은 의견입니다.

[이강운/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 "똥냄새를 맡고 빛에 유인돼서 날아가다가 비행할 때 간섭하는 게 있으면 그쪽에 붙는다고요. 그게 꼭 삼나무에 붙어서 삼나무에 서식한다는 뜻이 아니라 비행 중에 있는 것이기 때문에."]

취재진은 직접 사진을 촬영한 비자림로 시민 모니터링 단원에게 수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닿지 않았습니다.

시민 모니터링단은 뿔소똥구리를 애기뿔소똥구리로 명시한 것은 잘못이지만, 일부러 나무에 가져다 붙여 놓는 등의 조작은 없었다며 김 의원이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고 반발했습니다.

[김순애/비자림로 시민모니터링단 : "전문가들의 견해로 뿔소똥구리라고 확인을 받았습니다. 그건 정정합니다. 삼나무에 서식한다 아니다가 중요한 게 아니라, 비자림로가 그만큼 중요한 서식환경인지 아닌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난 6월 제주대학교와 환경단체가 참여해 작성한 비자림로 확장 '1·3 구간 추가 생태 조사 최종보고서'에는 삼나무 군락지에 애기뿔소똥구리가 서식하지 않는다고 적혀 있습니다.

다만 비자림로 확장공사 전 구간에서 애기뿔소똥구리가 높은 밀도로 서식하고 있다며 공사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의견 역시 담겨 있습니다.

김경학 의원은 이에 대해 애기뿔소똥구리가 비자림로 확장 구간 주변에 서식하는 부분은 이해하지만, 벌목 구간인 삼나무 숲에서 발견됐다는 건 동의하기 어렵다며 사진이 연출됐다는 강한 의심이 든다는 입장을 전했습니다.

KBS 뉴스 문준영입니다.

촬영기자:부수홍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