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치료도 공공의료…경남 최대 규모 ‘치매 요양원’ 개원

입력 2022.03.29 (21:45) 수정 2022.03.29 (22: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기초 자치단체들의 지방 살리기 정책을 짚어봅니다.

정부가 치매 국가책임제를 선언한 지 4년이 지난 가운데, 경남에서는 자치단체가 치매 전담 치료기관을 설립했습니다.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와 치매 돌봄이라는 이중고를 덜어주기 위해서 입니다.

보도에 황재락 기자입니다.

[리포트]

16년 전 문을 닫았던 농촌 학교가 새 단장을 마쳤습니다.

실내로 들어가자, 어르신들이 물리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국비 등 74억 원이 투입된 창녕군 치매 전담 요양원, 치매 노인 1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경남 최대 규모입니다.

전문 법인이 운영을 맡아 치매 치료를 위한 현실 인식 훈련과 운동 치료, 음악 활동 등을 제공합니다.

[이학현/창녕군 치매 전담 요양원 원장 : "산책이나 물리치료나 재활치료를 함으로써 어르신들이 치매가 진전되는 것을 상당히 늦추는 그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한 달 비용은 최대 50만 원대, 민간 시설보다 10% 가까이 저렴합니다.

경남에서는 지난해 말 하동군이 처음으로 70명이 이용할 수 있는 치매 전담 요양시설을 열었습니다.

이처럼 자치단체가 공립 치매 전담 요양시설을 갖추는 것은 치매와 같은 노인성 질환의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낮추기 위해섭니다.

경남의 65살 이상 노인 인구 59만 명 가운데, 치매 환자 수는 6만 2천여 명.

노인 인구 100명당 치매 환자 수를 뜻하는 치매 유병률은 10.52%로, 부·울·경에서 가장 높습니다.

[이상용/창녕군 노인복지팀장 : "노인성 질환과 치매가 국가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우리 군 어르신들뿐만 아니라 인근에 계신 어르신들께도 많은 혜택일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5년 뒤, 경남의 65살 이상 노인 인구는 현재 두 배인 120만 명이 넘을 전망입니다.

인구 감소를 막고 치매 노인 돌봄 부담을 덜기 위한 치매 치료 정책이 소멸 위기에 빠진 자치단체들의 대응책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재락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치매 치료도 공공의료…경남 최대 규모 ‘치매 요양원’ 개원
    • 입력 2022-03-29 21:45:34
    • 수정2022-03-29 22:04:52
    뉴스9(창원)
[앵커]

기초 자치단체들의 지방 살리기 정책을 짚어봅니다.

정부가 치매 국가책임제를 선언한 지 4년이 지난 가운데, 경남에서는 자치단체가 치매 전담 치료기관을 설립했습니다.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농촌 지역의 인구 감소와 치매 돌봄이라는 이중고를 덜어주기 위해서 입니다.

보도에 황재락 기자입니다.

[리포트]

16년 전 문을 닫았던 농촌 학교가 새 단장을 마쳤습니다.

실내로 들어가자, 어르신들이 물리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국비 등 74억 원이 투입된 창녕군 치매 전담 요양원, 치매 노인 1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경남 최대 규모입니다.

전문 법인이 운영을 맡아 치매 치료를 위한 현실 인식 훈련과 운동 치료, 음악 활동 등을 제공합니다.

[이학현/창녕군 치매 전담 요양원 원장 : "산책이나 물리치료나 재활치료를 함으로써 어르신들이 치매가 진전되는 것을 상당히 늦추는 그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한 달 비용은 최대 50만 원대, 민간 시설보다 10% 가까이 저렴합니다.

경남에서는 지난해 말 하동군이 처음으로 70명이 이용할 수 있는 치매 전담 요양시설을 열었습니다.

이처럼 자치단체가 공립 치매 전담 요양시설을 갖추는 것은 치매와 같은 노인성 질환의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낮추기 위해섭니다.

경남의 65살 이상 노인 인구 59만 명 가운데, 치매 환자 수는 6만 2천여 명.

노인 인구 100명당 치매 환자 수를 뜻하는 치매 유병률은 10.52%로, 부·울·경에서 가장 높습니다.

[이상용/창녕군 노인복지팀장 : "노인성 질환과 치매가 국가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우리 군 어르신들뿐만 아니라 인근에 계신 어르신들께도 많은 혜택일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5년 뒤, 경남의 65살 이상 노인 인구는 현재 두 배인 120만 명이 넘을 전망입니다.

인구 감소를 막고 치매 노인 돌봄 부담을 덜기 위한 치매 치료 정책이 소멸 위기에 빠진 자치단체들의 대응책이 되고 있습니다.

KBS 뉴스 황재락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창원-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