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집 교육’ 없고, CPR 교육도 1년에 2시간

입력 2022.11.01 (23:12) 수정 2022.11.08 (00: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이른바 '군중 밀집'시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교육은 빠져있고, 심폐소생술을 배우는 시간도 1년에 2시간 뿐입니다.

보도에 박영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교실에서 심폐소생술 수업이 한창입니다.

학교로 찾아가는 체험교육의 일환입니다.

["(가슴뼈의)반을 나눠서 그 아래쪽의 중간 부분을 주먹 쥐었을 때 개방되는 이 부분을 손꿈치라고 하는데 손꿈치를 가슴 부분에 올려요. 그리고 반대쪽 손으로 깍지를 끼고 팔은 딱 수직으로 만들어줘요."]

성인의 경우 5센티미터 깊이로 30회에 걸쳐 가슴 압박을 시행합니다.

실습까지 해 본 학생들은 몰랐던 사실을 깨닫습니다.

[박민서/삼산초등학교 5학년 : "저는 사람을 그 정도로 힘있게 눌러야 하는지 몰랐는데 5센티미터 정도 눌러야 하는 것을 알게 됐어요."]

[이주영/삼산초등학교 5학년 : "사람이 쓰러졌을 때 저렇게 빨리 대처 해야 하는지 몰랐는데 빨리 대처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전문가들은 특히 '심정지시 골든타임은 4분'임을 강조합니다.

[문지연/대한적십자사 울산지사 응급처리강사 : "4분 이내에 얼마나 빨리 대응을 하는가, 응급처치하는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가에 따라서 이 환자의 삶이 어떻게 바뀌는지가 달려있거든요."]

학생들은 생활안전과 응급처치 등 7개 영역에 걸쳐 연간 51시간씩 안전교육을 받습니다.

그러나 심폐소생술을 체험하는 기회는 1년에 2시간이 전부입니다.

[손서윤/삼산초등학교 교사 : "배운대로 아이들이 적용하려면 평소에 이런 체험 위주의 실습이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봅니다."]

특히 안전교육 영역에는 인파가 몰릴 때를 대비한 교육은 빠져있습니다.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학교 안전교육 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영하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밀집 교육’ 없고, CPR 교육도 1년에 2시간
    • 입력 2022-11-01 23:12:17
    • 수정2022-11-08 00:53:25
    뉴스9(울산)
[앵커]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안전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학교에서는 이른바 '군중 밀집'시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한 교육은 빠져있고, 심폐소생술을 배우는 시간도 1년에 2시간 뿐입니다.

보도에 박영하 기자입니다.

[리포트]

초등학교 교실에서 심폐소생술 수업이 한창입니다.

학교로 찾아가는 체험교육의 일환입니다.

["(가슴뼈의)반을 나눠서 그 아래쪽의 중간 부분을 주먹 쥐었을 때 개방되는 이 부분을 손꿈치라고 하는데 손꿈치를 가슴 부분에 올려요. 그리고 반대쪽 손으로 깍지를 끼고 팔은 딱 수직으로 만들어줘요."]

성인의 경우 5센티미터 깊이로 30회에 걸쳐 가슴 압박을 시행합니다.

실습까지 해 본 학생들은 몰랐던 사실을 깨닫습니다.

[박민서/삼산초등학교 5학년 : "저는 사람을 그 정도로 힘있게 눌러야 하는지 몰랐는데 5센티미터 정도 눌러야 하는 것을 알게 됐어요."]

[이주영/삼산초등학교 5학년 : "사람이 쓰러졌을 때 저렇게 빨리 대처 해야 하는지 몰랐는데 빨리 대처해야 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전문가들은 특히 '심정지시 골든타임은 4분'임을 강조합니다.

[문지연/대한적십자사 울산지사 응급처리강사 : "4분 이내에 얼마나 빨리 대응을 하는가, 응급처치하는가,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가에 따라서 이 환자의 삶이 어떻게 바뀌는지가 달려있거든요."]

학생들은 생활안전과 응급처치 등 7개 영역에 걸쳐 연간 51시간씩 안전교육을 받습니다.

그러나 심폐소생술을 체험하는 기회는 1년에 2시간이 전부입니다.

[손서윤/삼산초등학교 교사 : "배운대로 아이들이 적용하려면 평소에 이런 체험 위주의 실습이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봅니다."]

특히 안전교육 영역에는 인파가 몰릴 때를 대비한 교육은 빠져있습니다.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학교 안전교육 체계에 대한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박영하입니다.

촬영기자:최진백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울산-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KBS는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위해 자유로운 댓글 작성을 지지합니다.
다만 해당 기사는 댓글을 통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자체 논의를 거쳐 댓글창을 운영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여러분의 양해를 바랍니다.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