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적]철도公 부실 자회사 무더기 설립
입력 2005.05.23 (21:56)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러시아 유전인수를 추진하다 거액의 손해를 본 철도공사가 직원들의 자리를 만들어주기 위해 자회사를 무더기로 만들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원도 특별감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박진영 기자입니다.
⊙기자: 러시아 유전사업이 본격화되던 지난해 8월, 철도공사가 49.45%의 지분을 인수한 전자화폐업체입니다.
당시 누적적자가 125억원이나 됐지만 철도공사는 11억원이나 들여 인수했습니다.
구속된 왕영용 본부장이 이사로 임명됐습니다.
한 달 뒤 이번에는 또 다른 전자화폐업체를 50억원을 들여 만듭니다.
구속된 박상조 본부장과 철도청 전 인력개발원장이 공동 대표를 맡았습니다.
⊙IPC 관계자: 현재까지는 특별히 큰 수입은 없죠.
서비스를 별로 안 했으니까...
⊙기자: 철도공사의 자회사는 17개, 이 가운데 11개가 지난해 집중적으로 설립됐습니다.
특히 철도청에서 철도공사로 바뀌기 직전인 지난해 12월에만 다섯 개의 자회사가 무더기로 만들어졌습니다.
지난해 9월 설립돼 부동산업을 하고 있는 이 자회사의 경우 지금까지 사업실적이 전혀 없습니다.
⊙한국철도개발 관계자: 부동산이 작년에 경기가 워낙 안 좋았어요.
저희가 준비한 것은 상당히 있습니다.
⊙기자: 심지어 부채비율이 1만%가 넘을 정도로 재정상태가 부실한 곳도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설립된 자회사 11곳 가운데 당기순이익을 낸 곳은 단 두 곳에 불과합니다.
철도공사의 자회사 임원 명단입니다.
대표이사부터 상무, 감사, 전무 등 대부분의 임원직을 철도공사 출신들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확인 결과 임원자리 94개 가운데 전현직 철도공사 직원들이 70%인 66개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철도공사가 가진 지분액수에 따라서 임원 수가 결정됐다고 공사측은 설명합니다.
⊙유재영(철도공사 사업개발본부장): 철도청 출신 임원들은 나름대로 안정적인 경영수익이나 경영에 대해서 추구하는 바가 큽니다.
또 저희가 대주주의 지분을 가지고 있을 때는 거기에 따라서 임원을 조금 더 보낼 수도 있고...
⊙기자: 3년간 임기가 보장되는 임원들의 연봉은 6000만원에서 8000만원선.
여기에다 공무원연금과 각종 복리후생비, 퇴직금까지 합치면 한 해 1억원 내외의 돈을 받는 셈입니다.
철도공사의 총부채는 8조원, 감사원은 지난해 철도청이 철도공사로 전환되기 직전 무더기로 자회사를 만든 경위에 대해 특별감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박진영입니다.
감사원도 특별감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박진영 기자입니다.
⊙기자: 러시아 유전사업이 본격화되던 지난해 8월, 철도공사가 49.45%의 지분을 인수한 전자화폐업체입니다.
당시 누적적자가 125억원이나 됐지만 철도공사는 11억원이나 들여 인수했습니다.
구속된 왕영용 본부장이 이사로 임명됐습니다.
한 달 뒤 이번에는 또 다른 전자화폐업체를 50억원을 들여 만듭니다.
구속된 박상조 본부장과 철도청 전 인력개발원장이 공동 대표를 맡았습니다.
⊙IPC 관계자: 현재까지는 특별히 큰 수입은 없죠.
서비스를 별로 안 했으니까...
⊙기자: 철도공사의 자회사는 17개, 이 가운데 11개가 지난해 집중적으로 설립됐습니다.
특히 철도청에서 철도공사로 바뀌기 직전인 지난해 12월에만 다섯 개의 자회사가 무더기로 만들어졌습니다.
지난해 9월 설립돼 부동산업을 하고 있는 이 자회사의 경우 지금까지 사업실적이 전혀 없습니다.
⊙한국철도개발 관계자: 부동산이 작년에 경기가 워낙 안 좋았어요.
저희가 준비한 것은 상당히 있습니다.
⊙기자: 심지어 부채비율이 1만%가 넘을 정도로 재정상태가 부실한 곳도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설립된 자회사 11곳 가운데 당기순이익을 낸 곳은 단 두 곳에 불과합니다.
철도공사의 자회사 임원 명단입니다.
대표이사부터 상무, 감사, 전무 등 대부분의 임원직을 철도공사 출신들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확인 결과 임원자리 94개 가운데 전현직 철도공사 직원들이 70%인 66개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철도공사가 가진 지분액수에 따라서 임원 수가 결정됐다고 공사측은 설명합니다.
⊙유재영(철도공사 사업개발본부장): 철도청 출신 임원들은 나름대로 안정적인 경영수익이나 경영에 대해서 추구하는 바가 큽니다.
또 저희가 대주주의 지분을 가지고 있을 때는 거기에 따라서 임원을 조금 더 보낼 수도 있고...
⊙기자: 3년간 임기가 보장되는 임원들의 연봉은 6000만원에서 8000만원선.
여기에다 공무원연금과 각종 복리후생비, 퇴직금까지 합치면 한 해 1억원 내외의 돈을 받는 셈입니다.
철도공사의 총부채는 8조원, 감사원은 지난해 철도청이 철도공사로 전환되기 직전 무더기로 자회사를 만든 경위에 대해 특별감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박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현장추적]철도公 부실 자회사 무더기 설립
-
- 입력 2005-05-23 21:37:02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러시아 유전인수를 추진하다 거액의 손해를 본 철도공사가 직원들의 자리를 만들어주기 위해 자회사를 무더기로 만들었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원도 특별감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박진영 기자입니다.
⊙기자: 러시아 유전사업이 본격화되던 지난해 8월, 철도공사가 49.45%의 지분을 인수한 전자화폐업체입니다.
당시 누적적자가 125억원이나 됐지만 철도공사는 11억원이나 들여 인수했습니다.
구속된 왕영용 본부장이 이사로 임명됐습니다.
한 달 뒤 이번에는 또 다른 전자화폐업체를 50억원을 들여 만듭니다.
구속된 박상조 본부장과 철도청 전 인력개발원장이 공동 대표를 맡았습니다.
⊙IPC 관계자: 현재까지는 특별히 큰 수입은 없죠.
서비스를 별로 안 했으니까...
⊙기자: 철도공사의 자회사는 17개, 이 가운데 11개가 지난해 집중적으로 설립됐습니다.
특히 철도청에서 철도공사로 바뀌기 직전인 지난해 12월에만 다섯 개의 자회사가 무더기로 만들어졌습니다.
지난해 9월 설립돼 부동산업을 하고 있는 이 자회사의 경우 지금까지 사업실적이 전혀 없습니다.
⊙한국철도개발 관계자: 부동산이 작년에 경기가 워낙 안 좋았어요.
저희가 준비한 것은 상당히 있습니다.
⊙기자: 심지어 부채비율이 1만%가 넘을 정도로 재정상태가 부실한 곳도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설립된 자회사 11곳 가운데 당기순이익을 낸 곳은 단 두 곳에 불과합니다.
철도공사의 자회사 임원 명단입니다.
대표이사부터 상무, 감사, 전무 등 대부분의 임원직을 철도공사 출신들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확인 결과 임원자리 94개 가운데 전현직 철도공사 직원들이 70%인 66개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철도공사가 가진 지분액수에 따라서 임원 수가 결정됐다고 공사측은 설명합니다.
⊙유재영(철도공사 사업개발본부장): 철도청 출신 임원들은 나름대로 안정적인 경영수익이나 경영에 대해서 추구하는 바가 큽니다.
또 저희가 대주주의 지분을 가지고 있을 때는 거기에 따라서 임원을 조금 더 보낼 수도 있고...
⊙기자: 3년간 임기가 보장되는 임원들의 연봉은 6000만원에서 8000만원선.
여기에다 공무원연금과 각종 복리후생비, 퇴직금까지 합치면 한 해 1억원 내외의 돈을 받는 셈입니다.
철도공사의 총부채는 8조원, 감사원은 지난해 철도청이 철도공사로 전환되기 직전 무더기로 자회사를 만든 경위에 대해 특별감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현장추적 박진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