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보] ‘산불 상황도’로 본 합천 산불…위험 지역은?

입력 2023.03.08 (19:05) 수정 2023.03.08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신 것처럼 경남 합천 산불은 현재 강풍을 타고 계속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KBS 재난미디어센터 연결해서 현재 산불 진화 상황과 위험 지역이 어딘지를 하나하나 분석해 보겠습니다.

김진호 기자! 산불이 발생한지 이제 5시간이 넘어가는데, 산불 진화 진척이 좀 있습니까?

[기자]

오늘 일몰시간이 오후 6시 24분이었습니다.

진화헬기가 30분 전쯤만해도 날아다니면서 진화작업에 나서던 것이 확인이 됐는데, 방금 전 제가 CCTV를 확인해 봤더니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제 산불 현장은 지상작전 체제로 들어갔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어서 산림청이 KBS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는 '산불 상황도'로 현황 파악해보겠습니다.

지금 화면에 보이는 곳이 경남 합천인데요.

합천군청이 보이고요.

화재 현장은 군청에서 4.5km 정도 떨어진 곳입니다.

불이 난 곳을 보겠습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곳이 불의 띠, 즉 화선인데요.

북쪽으로 강한 바람을 타고 부채꼴로 퍼져나간 것이 확인됩니다.

7시 기준 진화율 35%로 취재됐습니다.

노란 선은 불이 꺼진 곳으로 보면 되는데요.

불이 시작한 곳 인근 위주로만 불이 꺼진 것으로 확인됩니다.

불이 가장 먼저 시작된 곳을 보겠습니다.

산과 농지의 인접지역에서 최초 발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인근에는 묘지도 보이고요.

아직까지 화재 원인이 뚜렷하게 나오지 않았지만, 실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앵커]

불이 난 곳의 산세가 꽤 험해 보이는데, 지형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불이 난 산의 나무 분포, 그러니까 수종이 급속하게 산불 단계를 올린 배경 중 하나라 보입니다.

네, 불이 시작한 곳에서 위로 쳐다보는 화면인데요.

산불이 시작한 곳인 산 아래에서 정상까지 초기 산불 확대된 곳에서 대부분의 수종이 침엽수 단일 수종으로 확인됐습니다.

침엽수의 경우 불이 났다 하면 나무의 기둥 부분을 넘어 줄기 끝부분까지 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이 불똥을 날리고, 주변 지역으로 불을 번지게 하는 이유인 셈입니다.

이제 일몰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지상작전이 중요한데요.

임도라고 하는 산길이 얼마나 있느냐도 관건입니다.

보이는 하얀 선이 산불 진화 차량이 들어갈 수 있는 임도입니다.

산불의 북동쪽 지역은 임도가 많지 않은 곳이라 진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 진화대원은 500여 명이 가깝게 투입돼 현장에서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앵커]

산불 발생 지역에 위험한 시설물은 없습니까?

[기자]

현재 최대 위험요소는 바로 송전탑입니다.

지도를 확대해 보면 희미하게 보이는 이 선이 송전탑과 송전선입니다.

산 능선을 따라 이렇게 지나가고 있는데요.

일단 송전탑 가동은 중단됐습니다.

대신 대체전력 등을 활용해 바로 전력 부하를 전환한 상태입니다.

이런 조치 때문에 산불로 인한 정전 피해는 아직 없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보이는 것처럼 송전탑 인근의 산불은 진화 마무리 단계입니다.

[앵커]

무엇보다 민가 피해가 걱정입니다.

불이 번질 가능성이 큰 마을이나 위험 지역을 짚어주시죠?

[기자]

현재 바람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불고 있는데요.

풍속이 순간 초속 12m로 상당히 강한 상태라고 말씀드렸죠.

불은 이제 산 정상을 넘어서 산 건너편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산 건너편에는 인곡리와 장계리라는 마을이 있고, 민가가 밀집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이 지역이 가장 위험한 곳인데요.

또한 서산리 일대까지 산불이 커질 수도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게 주민 안전인 만큼 이 지역 주민분들은 대피하셔야 합니다.

또, 불이 민가로 확산하는 걸 막기 위해 주택이나 시설에 물을 충분히 뿌려주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만 작업을 진행하셔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재난미디어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특보] ‘산불 상황도’로 본 합천 산불…위험 지역은?
    • 입력 2023-03-08 19:05:25
    • 수정2023-03-08 22:02:18
    뉴스 7
[앵커]

보신 것처럼 경남 합천 산불은 현재 강풍을 타고 계속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KBS 재난미디어센터 연결해서 현재 산불 진화 상황과 위험 지역이 어딘지를 하나하나 분석해 보겠습니다.

김진호 기자! 산불이 발생한지 이제 5시간이 넘어가는데, 산불 진화 진척이 좀 있습니까?

[기자]

오늘 일몰시간이 오후 6시 24분이었습니다.

진화헬기가 30분 전쯤만해도 날아다니면서 진화작업에 나서던 것이 확인이 됐는데, 방금 전 제가 CCTV를 확인해 봤더니 보이지 않았습니다.

이제 산불 현장은 지상작전 체제로 들어갔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어서 산림청이 KBS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는 '산불 상황도'로 현황 파악해보겠습니다.

지금 화면에 보이는 곳이 경남 합천인데요.

합천군청이 보이고요.

화재 현장은 군청에서 4.5km 정도 떨어진 곳입니다.

불이 난 곳을 보겠습니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곳이 불의 띠, 즉 화선인데요.

북쪽으로 강한 바람을 타고 부채꼴로 퍼져나간 것이 확인됩니다.

7시 기준 진화율 35%로 취재됐습니다.

노란 선은 불이 꺼진 곳으로 보면 되는데요.

불이 시작한 곳 인근 위주로만 불이 꺼진 것으로 확인됩니다.

불이 가장 먼저 시작된 곳을 보겠습니다.

산과 농지의 인접지역에서 최초 발화한 것으로 보입니다.

인근에는 묘지도 보이고요.

아직까지 화재 원인이 뚜렷하게 나오지 않았지만, 실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앵커]

불이 난 곳의 산세가 꽤 험해 보이는데, 지형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불이 난 산의 나무 분포, 그러니까 수종이 급속하게 산불 단계를 올린 배경 중 하나라 보입니다.

네, 불이 시작한 곳에서 위로 쳐다보는 화면인데요.

산불이 시작한 곳인 산 아래에서 정상까지 초기 산불 확대된 곳에서 대부분의 수종이 침엽수 단일 수종으로 확인됐습니다.

침엽수의 경우 불이 났다 하면 나무의 기둥 부분을 넘어 줄기 끝부분까지 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이 불똥을 날리고, 주변 지역으로 불을 번지게 하는 이유인 셈입니다.

이제 일몰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지상작전이 중요한데요.

임도라고 하는 산길이 얼마나 있느냐도 관건입니다.

보이는 하얀 선이 산불 진화 차량이 들어갈 수 있는 임도입니다.

산불의 북동쪽 지역은 임도가 많지 않은 곳이라 진화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재 진화대원은 500여 명이 가깝게 투입돼 현장에서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습니다.

[앵커]

산불 발생 지역에 위험한 시설물은 없습니까?

[기자]

현재 최대 위험요소는 바로 송전탑입니다.

지도를 확대해 보면 희미하게 보이는 이 선이 송전탑과 송전선입니다.

산 능선을 따라 이렇게 지나가고 있는데요.

일단 송전탑 가동은 중단됐습니다.

대신 대체전력 등을 활용해 바로 전력 부하를 전환한 상태입니다.

이런 조치 때문에 산불로 인한 정전 피해는 아직 없는 상태입니다.

그리고 보이는 것처럼 송전탑 인근의 산불은 진화 마무리 단계입니다.

[앵커]

무엇보다 민가 피해가 걱정입니다.

불이 번질 가능성이 큰 마을이나 위험 지역을 짚어주시죠?

[기자]

현재 바람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불고 있는데요.

풍속이 순간 초속 12m로 상당히 강한 상태라고 말씀드렸죠.

불은 이제 산 정상을 넘어서 산 건너편까지 번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산 건너편에는 인곡리와 장계리라는 마을이 있고, 민가가 밀집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이 지역이 가장 위험한 곳인데요.

또한 서산리 일대까지 산불이 커질 수도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게 주민 안전인 만큼 이 지역 주민분들은 대피하셔야 합니다.

또, 불이 민가로 확산하는 걸 막기 위해 주택이나 시설에 물을 충분히 뿌려주는 것도 좋습니다.

다만 안전이 확보된 상태에서만 작업을 진행하셔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재난미디어센터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