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원인 규명 한 걸음 더
입력 2005.08.22 (22:04)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치매와 같은 난치성 신경질환의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냈습니다.
보도에 정지주 기자입니다.
⊙기자: 신경세포를 만드는 신경줄기세포입니다.
이 신경줄기세포가 죽어가는 것이 치매 등 고치기 힘든 퇴행성 신경질환의 원인으로 꼽혀왔습니다.
서울대 수의학과 강경선 교수팀은 줄기세포 사멸과정에 NPC1이라는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실험용 쥐들에게 퇴행성질환의 하나인 미이만핏병을 유발시켰고 여기서 태어난 새끼쥐의 뇌에서 신경줄기세포를 만들었습니다.
이 줄기세포에는 NPC1유전자가 제거된 것이 확인됐습니다.
⊙강경선(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이 유전자가 없을 때에는 신경줄기세포가 자체 재생도 안 되고 그 다음에 다른 신경들을 만들어주는 그런 분화능력도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기자: 연구진은 또 P38이라는 단백질이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줄기세포의 분화와 재생능력이 현격하게 떨어진다는 것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줄기세포는 죽음에 이르게 되고 결국 난치성 신경질환이 유발된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입니다.
국내외 특허출원을 낸 이번 성과는 줄기세포와 관련된 국제학술지 스탬셀인터넷판에 긴급 논문으로 소개됐습니다.
KBS뉴스 정지주입니다.
보도에 정지주 기자입니다.
⊙기자: 신경세포를 만드는 신경줄기세포입니다.
이 신경줄기세포가 죽어가는 것이 치매 등 고치기 힘든 퇴행성 신경질환의 원인으로 꼽혀왔습니다.
서울대 수의학과 강경선 교수팀은 줄기세포 사멸과정에 NPC1이라는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실험용 쥐들에게 퇴행성질환의 하나인 미이만핏병을 유발시켰고 여기서 태어난 새끼쥐의 뇌에서 신경줄기세포를 만들었습니다.
이 줄기세포에는 NPC1유전자가 제거된 것이 확인됐습니다.
⊙강경선(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이 유전자가 없을 때에는 신경줄기세포가 자체 재생도 안 되고 그 다음에 다른 신경들을 만들어주는 그런 분화능력도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기자: 연구진은 또 P38이라는 단백질이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줄기세포의 분화와 재생능력이 현격하게 떨어진다는 것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줄기세포는 죽음에 이르게 되고 결국 난치성 신경질환이 유발된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입니다.
국내외 특허출원을 낸 이번 성과는 줄기세포와 관련된 국제학술지 스탬셀인터넷판에 긴급 논문으로 소개됐습니다.
KBS뉴스 정지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치매 원인 규명 한 걸음 더
-
- 입력 2005-08-22 21:30:29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치매와 같은 난치성 신경질환의 원인을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해냈습니다.
보도에 정지주 기자입니다.
⊙기자: 신경세포를 만드는 신경줄기세포입니다.
이 신경줄기세포가 죽어가는 것이 치매 등 고치기 힘든 퇴행성 신경질환의 원인으로 꼽혀왔습니다.
서울대 수의학과 강경선 교수팀은 줄기세포 사멸과정에 NPC1이라는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연구팀은 실험용 쥐들에게 퇴행성질환의 하나인 미이만핏병을 유발시켰고 여기서 태어난 새끼쥐의 뇌에서 신경줄기세포를 만들었습니다.
이 줄기세포에는 NPC1유전자가 제거된 것이 확인됐습니다.
⊙강경선(서울대 수의학과 교수): 이 유전자가 없을 때에는 신경줄기세포가 자체 재생도 안 되고 그 다음에 다른 신경들을 만들어주는 그런 분화능력도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이 되고 있습니다.
⊙기자: 연구진은 또 P38이라는 단백질이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줄기세포의 분화와 재생능력이 현격하게 떨어진다는 것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줄기세포는 죽음에 이르게 되고 결국 난치성 신경질환이 유발된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입니다.
국내외 특허출원을 낸 이번 성과는 줄기세포와 관련된 국제학술지 스탬셀인터넷판에 긴급 논문으로 소개됐습니다.
KBS뉴스 정지주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