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화하면 발암물질인데…실태 조사는 없어

입력 2023.06.01 (19:14) 수정 2023.06.01 (20: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최근 양식장에서 일했던 외국인 노동자가 백혈병으로 산재 승인을 받았는데요.

기생충을 없애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수산용 포르말린에 노출된 것이 이유인데, 원료인 포름알데히드는 작업환경측정을 해야 하지만 양식장 조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곽선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의약품으로 허가받은 수산용 포르말린입니다.

기생충 구제를 위해 양식장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양식장 관계자/음성변조 : "양식장에서는 있어야 해요. 소독도 하는 겸."]

포름알데히드가 37% 함유된 수용액이다 보니, 약을 뿌리는 과정에서 기화하면서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나옵니다.

양식장 어류에는 문제가 없더라도, 공기를 흡입하는 노동자들에게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겁니다.

포름알데히드는 고용노동부 특별 관리대상 물질로 작업환경측정대상입니다.

하지만 고용노동부의 작업환경측정 실시결과를 분석해 보니, 조사 사업장 중 어업은 2019년과 2020년 3곳, 2021년 10곳에 그쳤습니다.

전체 조사대상 사업장이 6만 5천~7만 5천인 것을 감안하면 1%도 안 됩니다.

측정 요소도 소음과 분진, 산 및 알칼리류로 포름알데히드는 없습니다.

[문길주/전남노동권익센터장 : "실제로 양식장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 대부분은 규정된 안전 장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고..."]

전남에만 양식장 만 6천여 개가 있고, 외국인 근로자만 8천여 명이 일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실태조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조민웅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기화하면 발암물질인데…실태 조사는 없어
    • 입력 2023-06-01 19:14:25
    • 수정2023-06-01 20:03:39
    뉴스7(광주)
[앵커]

최근 양식장에서 일했던 외국인 노동자가 백혈병으로 산재 승인을 받았는데요.

기생충을 없애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수산용 포르말린에 노출된 것이 이유인데, 원료인 포름알데히드는 작업환경측정을 해야 하지만 양식장 조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곽선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의약품으로 허가받은 수산용 포르말린입니다.

기생충 구제를 위해 양식장에서 흔히 사용하고 있습니다.

[양식장 관계자/음성변조 : "양식장에서는 있어야 해요. 소독도 하는 겸."]

포름알데히드가 37% 함유된 수용액이다 보니, 약을 뿌리는 과정에서 기화하면서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나옵니다.

양식장 어류에는 문제가 없더라도, 공기를 흡입하는 노동자들에게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겁니다.

포름알데히드는 고용노동부 특별 관리대상 물질로 작업환경측정대상입니다.

하지만 고용노동부의 작업환경측정 실시결과를 분석해 보니, 조사 사업장 중 어업은 2019년과 2020년 3곳, 2021년 10곳에 그쳤습니다.

전체 조사대상 사업장이 6만 5천~7만 5천인 것을 감안하면 1%도 안 됩니다.

측정 요소도 소음과 분진, 산 및 알칼리류로 포름알데히드는 없습니다.

[문길주/전남노동권익센터장 : "실제로 양식장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 대부분은 규정된 안전 장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고..."]

전남에만 양식장 만 6천여 개가 있고, 외국인 근로자만 8천여 명이 일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실태조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곽선정입니다.

촬영기자:신한비·조민웅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광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